둥구리 농촌체험휴양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둥구리 농촌체험휴양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둥구리 농촌체험휴양마을

11.7 Km    0     2024-05-29

충청남도 논산시 중산길 35
010-3465-5118

둥구리 농촌체험 휴양마을은 충남 논산시 양촌면 중산마을에 위치한 가족모임이나 단체 행사에 적합한 휴양 시설이다. 지역 특산물 체험시설과 숙박 및 운동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명칭은 옛 지명인 ‘둥구리’를 사용하였다. 각종 즐길 거리와 먹거리, 볼거리가 풍성한 이곳에서 몸과 마음의 휴식을 취해볼 수 있다.

연산황산벌오토캠핑장

연산황산벌오토캠핑장

11.8 Km    5     2023-08-21

연산 황산벌 오토캠핑장은 충남 논산시 연산면에 자리 잡고 있는데, 논산시청을 기점으로 논산대로와 신신양로를 번갈아 달려 25분 안팎이면 도착한다. 이곳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어느 쪽으로 고개를 돌려도 멋진 풍경을 눈에 담을 수 있는데, 캠핑장 입구에 들어서면 한눈에 봐도 사이트 구획이 깔끔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외부 모습뿐만 아니라 여러 부대시설을 둘러봐도 청결한데, 일반야영장인 이곳은 데크 30면을 마련했다. 사이트 크기는 가로 7m 세로 8m, 가로 4.5m 세로 7.3m로 두 종류가 있고, 개인 트레일러나 카라반 출입도 허용하지만, 일반야영장 사용료보다 약간의 비용을 더 지불하면 된다. 반려동물 동반이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캠핑장 주변에는 탑정호, 개태사 등 논산의 유명 관광지가 있고, 탑정호 주변에는 민물매운탕 등을 전문으로 요리하는 식당도 많이 있다.

종학당

종학당

11.8 Km    0     2023-10-19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종학길 35

파평 윤 씨 문중에서 자녀교육을 위해 세웠던 교육 도장이다. 조선 인조 때인 1643년 처음 세워졌으며, 화재로 인해 없어졌던 것을 1970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다시 지었다. 이곳에서는 파평 윤 씨 문중의 자녀와 내외척은 물론 처가의 자녀들까지 모여 합숙 교육을 받았다. 일반적인 서원이나 서당과는 다르게 문중에서 정한 교육목표에 따라 교육과정을 운영했으며, 학칙도 따로 정하여 시행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활발하게 운영됐던 종학당은 일제가 신교육제도를 도입하면서 폐쇄되었다. 바로 앞에 저수지를 끼고 있어 고즈넉한 풍경을 즐기기 좋은데, 대청마루나 누각인 정수루에는 직접 올라 앉아볼 수도 있다. 매년 봄이면 매화가 흐드러지게 피어 아름다움을 더한다.

민스시

민스시

1.2 Km    2     2022-11-21

충청남도 논산시 시민로307번길 17 동신아파트

민스시는 충청남도 논산시 강산동에 있는 일식전문점이다. 단체석이 있어 각종 모임을 가지기 좋다. 대표 메뉴는 싱싱한 생선회 등으로 만든 오늘의초밥이다. 이 밖에 모듬초밥, 특초밥, 활어사시미, 참치, 새우롤, 가쓰오우동, 새우튀김, 대게다리튀김 등 여러 가지 음식이 준비되어 있다. 서논산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관촉사와 탑정호 출렁다리가 있다.

두여 정보화마을

12.2 Km    19767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용기길 66

두여 정보화마을은 호남고속도로와 1번 국도가 인접한 곳으로 지역 주민들의 정보화 참여 및 지지율이 높으며 두여 이장단, 농민 후계자, 시설원예 작목반 등 여러 자생 단체가 구성되어 활기차고 풍요로운 농촌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익산시에서 주관하는 농촌 선진지 견학 및 농민 교육 등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고 있으며, 마을 내 두여사랑컴 동호회를 운영하여 정보화 의지를 대변하고 있으며 현재도 꾸준한 컴퓨터 교육으로 인터넷 활용이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두여 정보화마을에서는 발전하는 현대사회에 발맞춰 나가는 것뿐만 아니라 아카시아꽃 튀김 만들기, 딸기 따기, 감자 캐기 및 크로켓 만들기 등 체험프로그램을 통해서 마을을 부흥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산나그네캠핑장

연산나그네캠핑장

12.2 Km    1     2023-08-09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선비로866번길 166-4

나그네캠핑장은 충남 논산시 연산면에 자리 잡고 있는데, 논산시청을 기점으로 논산대로와 백일헌로를 거쳐 약 30이면 도착한다. 이곳은 고즈넉한 농촌의 논밭을 지나면 나오는데, 입구에 들어서면 수목이 우거진 숲 속에 요새처럼 조성된 캠핑장을 만날 수 있다. 이곳저곳에 시선을 옮기다 보면 아날로그 감성을 자극하는 소품 등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캠핑장은 20면의 자갈로 이뤄졌으며, 사이트 크기는 가로 9m 세로 8m다. 사이트 주변에 나무가 빼곡해 여름철에 캠핑을 만끽하기에도 무리가 없다. 화장실과 개수대는 각각 2개소씩 설치했고, 샤워장은 곳곳에 6개소를 마련했다. 반려견을 동반할 수 있지만 소형견에 한해 가능하다. 캠핑장 인근에 골프를 즐길 수 있는 더힐 cc 등 관광지가 있고, 공주의 특산물로 만든 먹거리를 제공하는 식당 등이 있다.

소나무한정식

소나무한정식

1.2 Km    25797     2023-08-29

충청남도 논산시 논산대로 357
041-735-7191

전통한옥에서 맛보는 임금님 수라상 같은 푸짐한 맛과 멋을 자랑하는 곳이다. 전통 한옥의 고풍스러운 외관과 아늑한 실내 분위기 속에서 궁중식 탕평채, 소 불고기, 솔잎 보쌈, 활어회, 낙지볶음 등 계절별, 가격별로 다양한 종류의 음식과 맛깔스러운 밑반찬, 구수한 된장찌개 등을 맛볼 수 있다.

신동회관

신동회관

12.5 Km    21077     2023-01-09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백일헌로 999
041-733-9252

농장 직영 국내산 소고기의 각 부위별 모든 고기를 드실 수 있는 곳! 시골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자연환경과 더불어 직접 사육한 소와 직접 재배한 농산물을 사용, 가장 신선하고 엄선된 재료를 제공하여 육질이 부드럽고 감칠맛 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정육점도 같이 운영하고 있어 각 부위별 모든 소고기를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다.

부여 세탑리오층석탑

부여 세탑리오층석탑

12.6 Km    18277     2023-01-20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백제탑의 양식에 따라 2층 이상의 탑신(塔身)이 1층에 비해 높이가 급격히 낮아진다. 높이 2.2m이다. 탑이 서 있는 터 주변에는 청량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며, 곳곳에 절을 이루는 건물에 쓰였던 돌과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다. 탑의 둘레에 높이 1m 가량의 석축을 쌓아 기단부(基壇部)는 거의 보이지 않아 맨윗돌만 드러나 있고, 그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각층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다.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고, 네 귀퉁이는 약간 들려 있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 장식 받침)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만이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는데, 후대에 만들어 보충한 것이다. 위로 오를수록 탑신의 몸돌 높이를 낮게 하고 지붕돌의 너비는 조금씩 줄어들어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오층석탑은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기단부가 땅에 묻혀 있는데, 지붕돌이 두껍고, 낙수면의 경사가 급하다. 지붕돌의 폭에 별다른 변화가 없어 좁고 긴 일직선 모양을 하고 있다. 1층 몸쳇돌에 비해 2층부터 그 높이가 점차 줄어드는 점 등은 부여 정림사탑을 많이 닮았다. 주변에 고려시대 기와의 특징인 어골무늬를 가진 기와 조각이 흩어져 있다. 조선시대의 연호인(順治)라는 명문이 새겨진 기와도 발견되어 조선시대까지 절이 있었던 듯하다.

수덕정

12.6 Km    14794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태성1길 199

수덕정은 여산면 태성리 화산 중턱, 남서쪽으로 현천저수지를 바라보는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정면 2칸, 측면 2칸의 정사각형 정자로 조선 고종 때의 문신 농은 송기인의 뜻을 받들어 1938년에 건립하였다. 초석은 대리석을 흘림기법으로 정교하게 다듬은 높이 67㎝의 원형 장초석이며 기둥은 두리기둥이다. 평면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정방형이다. 마루는 우물마루로서 지면에서 90cm 떨어져 있고 주위에는 난간을 시설했다. 난간은 띠장과 지방 사이에 몇 개의 각재를 끼워 간단히 구성했다. 전면은 출입을 위해 난간이 끊어져 있고 그 앞에 두 단의 콘크리트 계단이 각각 놓여 있다. 정지의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함석으로 차양을 덧달았으며, 전통 기법을 유지하면서도 일제 강점기 그 당시의 건축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정자 바로 옆에는 농은 송기인 선생의 커다란 유허비가 세워져 있다. 송기인은 호가 농은이고 본관은 여산이며, 근검절약하여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고종 때 아이들을 가르치는 동몽교관으로 임명되었으며, 후에 정3품 당하관인 통훈대부 장례원 좌장례에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