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북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전북식당

전북식당

12.7 Km    21183     2023-09-13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28-16
062-227-1449

전북 식당은 광주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한식 전문점이다. 구수한 보리밥에 전통 양념장과 여러 가지 나물을 비벼 먹는 보리 비빔밥이 인기다. 스무 가지가 넘는 나물류는 주인이 밭에서 직접 재배한 각종 야채에 조미료를 전혀 섞지 않고 양념을 하여 그 맛이 깔끔하고 담백하다.

한천농악전수회관

한천농악전수회관

12.7 Km    14882     2023-12-13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김삿갓로 720

한천농악전수회관은 한천 농악의 전수교육과 공연 등을 통해 무형 유산인 한천 농악을 보존, 전승하는 공간이다. 1996년 준공된 지상 2층의 1동 건물로, 숙소와 연습실을 갖추고 있다. 20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한천농악은 일반적인 마을의 농악의 경우처럼 마을 내에서 당산굿을 하고, 마당밟이를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역대 상쇠(꽹과리를 치면서 전체를 지휘하는 사람)들의 활동상을 점검해 보면, 1950~60년대에 농악을 매개로 주변 마을과 경쟁하고, 유명 상쇠의 영향을 받아 체계를 갖춰간 사실이 확인된다. 당시 독상리에 살던 이선일 씨가 가장 뛰어난 상쇠로 이름을 날렸고, 그가 한천마을로 이주해 오면서 비로소 한천 농악이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1950년대 농악계를 조직하여 활동하고, 1960~70년대 왕성한 공연 활동을 하면서 외부에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1964년 전국민속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뒤 널리 알려졌으며, 이후 1979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산유원지

지산유원지

12.8 Km    690     2024-03-07

광주광역시 동구 지호로164번길 35-1

1978년 4월 개장한 지산유원지는 약 20만 평 규모의 자연친화적 시설이다. 숲 속을 가로지르는 리프트와 해발 350m에 설치된 모노레일에 탑승하면 광주 시내 전경과 무등산 정상의 모습을 한눈에 구경할 수 있다. 모노레일은 리프트의 종착점에서 숲길로 50m 떨어진 산 중턱에서 출발해 팔각정이 있는 지산유원지 산 정상을 왕복하는 코스로 운행된다. 재개장 후 젊은 세대 층을 중심으로 SNS와 입소문을 타고 광주 무등산에서 스릴을 즐길 수 있는 독특한 놀이시설로 인기몰이 중이다.

활기가 넘치면서도 치열한 가슴을 품어 아름다운 광주 속으로!

활기가 넘치면서도 치열한 가슴을 품어 아름다운 광주 속으로!

12.8 Km    9     2023-08-10

광주광역시 동구 지호로164번길 35-1

무등산부터 5.18민주화운동기록관까지! 무등산 지산유원지, 펭귄마을, 전일빌딩, 5.18민주화 운동기록관에 발걸음하는 일정으로 하루를 보내고, 다음날 무각사, 김대중컨벤션센터에 방문하며 광주의 푸근하고도 즐거운 자연에 품에 안겨 광주의 치열했던 눈물을 느껴보자!

운림동 미술관거리

12.8 Km    0     2023-09-19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9

시민들에게 쉼과 여유를 전해주는 무등산 자락에는 전통문화관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운림동 미술관거리가 있다. 운림동 미술관 거리는 증심사길 입구 국윤미술관에서 시작하여 의재미술관까지 증심사로 가는 길목에 여러 미술관이 모여있는 3Km의 길이다. 소태동의 홍림교 사거리를 넘으면 소박한 붉은 벽돌의 [국윤미술관], 조금 더 올라가면 조각공원과 갤러리가 함께 있는 [우제길 미술관]과 [무등현대 미술관]이 관람객을 기다린다. 바로 옆에는 젊은 미술인들을 지원하는 [드영미술관]과 맞은편에는 [전통문화관]이, 증심사를 올라가는 길목에는 무등을 사랑했던 의재 허백련과 그의 작품을 기리는 [의재미술관]이 자리하고 있다.

무등현대미술관

12.8 Km    718     2023-11-01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9

무등현대미술관은 중진 서양화가인 정송규 화백이 작업실 겸 전시 공간이자 지역 문화 커뮤니티 활성화 문화 공간으로 개관하였다. 주변 공방들과 함께 지역 문화의 소통과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예술인과 시민들이 예술을 향유하는 데 사랑방 역할을 하며, 지역민과 예술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하여 2007년 10월 2일 건립되었다. 대지 700㎡에 노출콘크리트 공법으로 사각형 외벽 구조로 건립된 2층 건물이며 1층의 기획전시실은 층고가 높은 통층 공간으로 특별전과 기획전, 대관전 등이 주로 열리고, 2층은 관장의 작업실 겸 상설 전시 공간, 수장고, 방문객을 위한 휴게 공간 등으로 되어 있다. 무등현대미술관은 기획 전시, 초대 전시, 특별 전시 등을 통해 다양한 현대미술의 장르를 보여줌으로써 일반인들의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동시에 현대미술에 대한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무등산을 주제로 광주광역시와 무등산 자락에서 꾸준히 작업하고 있는 작가들을 초대해 전시를 열어줌은 물론, 최근에는 핫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과 관련된 주제로 매년 미술제를 추진하고 있다. *정송규 화백 정송규 화백은 1944년 나주 출생으로 1966년 조선대학교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1981년 오하이오의 Cleveland Institute Art School을 수료하였다. 국내의 광주광역시·서울특별시와 미국 등지에서 다수 개인전을 가졌다.

무진고성지

12.8 Km    24211     2024-05-03

광주광역시 북구 무진성길 190

무진고성은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의 성터로 무등산의 북쪽 지맥인 장원봉을 중심으로 잣고개의 장대봉과 제4수원지 안쪽의 산 능선을 따라 이루어진 타원형 산성이다. 규모는 남북 길이 1,000m, 동서 너비 500m, 둘레 3,500m에 이른다. 계곡과 산 정상부를 함께 두른 포곡식 산성이다. 성의 이름을 무진고성이라 지은 것은 성을 쌓았을 때 광주를 무진주라 하였기 때문이다. 성벽은 능선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쌓았으며, 능선의 7~9부 지점을 L자 형태로 다듬어 5단 정도의 돌로 쌓고, 돌과 경사면 사이에는 잡석으로 채워서 다졌다. 내부에는 17개의 건물지가 있다. 성은 바깥 면만 돌로 쌓고, 그 안은 돌과 흙을 섞어 채웠는데 1988년~1989년 두 차례의 발굴조사 결과 신라 하대에 처음 쌓았으며 부분적으로 다시 고쳐 고려 시대까지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 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관(官), 국성(國城)등의 명문이 있는 평기와 조각과 서조문, 귀면문, 일휘문 등의 막새기와, 그 밖에 순청자, 상감청자 등의 자기류가 있다. 특히 잣고개 남쪽 위층 건물지에서 출토된 서조문 숫막새 는 독특한 새모양을 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으며, 귀면문 암막새는 역동적인 도깨비 문양이 잘 표현되어 있어 통일 신라와 큰 시대적 차이가 없었음을 알 수 있다.

나비야청산가자

나비야청산가자

12.9 Km    20286     2023-11-17

광주광역시 동구 성촌길 1
062-263-4477

흑돼지, 오리 등을 방목·사육하여 매일 신선한 원육을 매실로 숙성하여 흑염소 숯불구이, 돼지바비큐 및 약닭, 약 오리(가시오갈피, 엄나무, 헛개나무, 황기, 당귀 및 10여 가지의 한약재를 이용 잡냄새가 전혀 나지 않게 요리) 등을 제공하고 있는 곳이다. 직접 재배한 유기농 야채를 제공하고, 화학조미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누구나 안심하고 즐길 수 있는 최고의 음식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후식으로 냉면을 즐길 수 있다.

광주 전통문화관

광주 전통문화관

12.9 Km    2     2023-12-14

광주광역시 동구 의재로 222

전통문화관은 남도의 자랑스러운 전통문화를 보존, 전수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공간이자 함께 만들고 배우는 창작공방(創作工房)이다. 무등산 국립공원 초입에 위치한 전통문화관은 2012년 전통한옥 무송원撫松院을 이설, 복원해 조성하고, 무형문화재 작품전시관과 전수실 및 서석당, 입석당, 너덜마당 등의 문화공간이 있다. 시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주말상설공연(토요상설공연, 무등풍류뎐), 무형문화재 대시 민 교육인 전통문화예술강좌, 내외국인 관광객 및 청소년을 위한 전통문화예술체험, 공예 및 전통음식 체험 등의 친환경적 프로그램, 그리고 무등산 문화자원을 기반으로 한 특별기획프로그램과 무등산권 활성화를 위한 10월의 무등울림 축제를 진행하고 있다. 아름답고 넉넉한 무등의 품속에서 우리의 옛것을 보고 배우며 즐길 수 있는 전통문화관이다.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과도 연계 관광이 가능하다.

무등산 리프트모노레일(지산유원지)

무등산 리프트모노레일(지산유원지)

13.0 Km    3     2024-03-19

광주광역시 동구 지호로164번길 14-10

광주시 지산유원지에 위치한 리프트·모노레일은 1층 편의점 안에 설치된 매표소에서 표를 사서 2층 탑승장으로 올라가면 된다. 리프트를 올라타고 무등산의 경치를 즐기면서 20분가량 올라가면, 모노레일로 갈아탈 수 있는 빛고을 역에 도착한다. 20여 명 정도가 한 번에 탈 수 있는 모노레일을 타고 정상을 향해 달리는 동안 스릴도 느낄 수 있고 사방으로 보이는 무등산의 절경에 감탄이 절로 나온다. 모노레일 종착점에 있는 팔각정 전망대에 올라서서 보는 광주의 전경은 스릴을 극복하고서라도 꼭 한 번은 봐야 할 아름다운 광경이다. 광주를 제대로 보고 즐길 수 있는 명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