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향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익산향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익산향교

익산향교

14.5Km    2025-03-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고도7길 11-3

익산향교(益山鄕校)는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에 있는 조선 시대 지방교육기관이다. ‘금마향교’라고도 부른다. 1398년(태조 7) 건립되어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매월 음력 초하루와 보름 15일에 봉심을 올리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던 곳이었다. 향교는 고을의 크기에 따라 대설위(大說位), 중설위(中設位), 소설위(小設位)로 설립되었는데, 익산향교는 공자와 4성, 10철, 송조6현, 동국 18현 등 39위를 모신 중설위 향교로 세워졌다.

주노글램핑 완주점

14.5Km    2025-09-03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비봉면 천호로 235-38

완조힐조타운 & 주노글램핑 완주점은 합리적인 가격에 아름다운 뷰를 즐길 수 있는 글램핑장이다. 특색 있고 이색적인 글램핑을 찾는 이들에게 추천할 만한 곳으로, 감성적인 분위기와 럭셔리한 시설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매점은 가격이 합리적이며, 수영장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넓고 쾌적한 텐트에는 포근한 침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호텔에 버금가는 청결함을 유지하고 있다. 밤에는 은은한 조명 아래에서 바비큐를 즐기며 별빛 가득한 하늘을 바라보는 순간이 특별한 추억으로 남는다. 부모님과 함께하는 가족 힐링 캠프로도 적합한 장소이다.

아석정

14.6Km    2024-05-31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아리랑로 9-34

아석정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있는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진 정자이다. 1934년 소진홍이 자신의 선조인 진주소씨 곤암 소세량, 양곡 소세양의 자손이 대대로 살았고, 문정공 약곡 소세양이 퇴휴당에서 활을 쏘던 과녁터 서편에 세웠다고 전한다. 당시 아석정 앞에 맑고 시원한 물이 흐르며, 넓은 바위도 있어 쉬는 장소로 제격이었다고 전한다. 아석정은 산 중턱에 터를 마련해 장대석으로 낮은 기단을 조성하고 원형초석에 기둥을 세웠다. 마루는 우물마루로 기둥뿌리와 마루를 구성하는 멍에 사이에 八자형 빗장을 대어 마루를 바치도록 했다. 마루에는 한자 높이의 난간이 설치되었고 亞자와 안상 형태로 뚫은 판자를 대어 바람이 통하게 하였다. 지붕은 겹처마에 팔작지붕이며 마룻대 밑에는 건립 연도를 적은 상량문이 남아있다. 전체적으로 단정한 모습이며 목가구 기법에서도 비교적 전통적 기법을 유지하면서도 일제 강점기 당시의 새로운 건축 수법이 반영되어 있는 의미 있는 유적이다.

남계정

남계정

14.6Km    2025-10-29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구이면 원두현길 12-12

남계정은 조선 중기의 학자 김진이 후학을 양성할 목적으로 세운 누각이다. 기록에 의하면 이 건물은 선조 13년(1580)에 신축해 두 차례 중건되었다. 정자는 낮은 기단 위에 세운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청마루와 방으로 이루어져 있는 목조 건물이다. 지붕은 팔작지붕이고 공포는 주심포 양식이다. 구성은 대청마루와 방으로 나뉘어 마루에는 ㄱ자형으로 정면과 측면에 걸쳐 퇴를 두었다. 지면에서 약간 올려 깐 마루에는 전면으로 일반 가옥처럼 출입문을 내고 측면에 한 쌍의 두 짝 여닫이 덧문을 달았다. 귀포의 장식이 화려하며 용마루도 높아, 작지만 품위를 느낄 수 있다. 남계정 안에는 의병장 고경명, 조헌, 부제학 심음시 등 당시의 유림이 남계의 학문과 덕망을 찬양한 현판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으며, 남계정의 밑에 있는 절벽 아래 바위에는 한문으로 남계정이란 암각서가 새겨져 있다. 남계정은 산 끝의 절벽 위에 세워져 있으며, 이 누각에 오르면 두현리와 멀리 모악산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시원한 조망을 안겨준다. 주변으로 구이저수지와 전북도립미술관, 모악산관광단지가 있다.

왕궁 포레스트

왕궁 포레스트

14.6Km    2025-08-04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호반로 71

왕궁 포레스트는 익산시 왕궁저수지 근처에 위치한 힐링 복합 문화 공간이다. 1,300평대의 아열대 식물원과 갤러리 카페, 힐링 족욕, 원예 체험, 넓은 잔디 정원과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수 있는 어린이 숲 놀이터 등으로 조성되어 있다. 가을에는 익산의 핑크뮬리 명소이기도 하다. 지치고 힘든 일상을 벗어나 자연과 함께 편안한 마음으로 힐링의 시간을 가질 수 있고 가족과 함께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기에도 안성맞춤이다. 인근 보석박물관과 공룡테마공원도 함께 둘러보면 일석이조의 여행이 될수 있다.

물머리집

14.6Km    2025-03-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고도1길 56-5
063-836-8558

물머리집은 공기 맑고 경치 좋은 미륵산 아래에 위치한 매운탕 전문점이다. 전통 고추장 외 10여 가지의 양념에 마른 시래기를 듬뿍 넣어 메기, 빠가, 참게 등의 맛을 한층 돋우어 준다. 미륵사지 유적, 익산토성, 금마저수지, 서동공원, 축구공원, 익산향교, 사자사지, 금마도토성, 아석정 등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어 주변 경관을 즐기거나 명소를 찾기에도 좋은 위치에 있다.

뚜부카페

14.6Km    2024-12-16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고도9길 23
063-833-1088

익산시 음식문화대전에서 우수상, 전라북도 음식경연대회에서 장려상 수상, 넥서스북 ‘대한민국 대표 맛집 1000’에 선정되었다. 다양한 두부 요리 전문점으로 일체의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100% 국내산 콩으로 두부와 청국장을 직접 제조하여 요리하고 있다. 8~10인석의 좌식 방 3실, 8~10인석의 개폐식 방 3실, 50석의 입식 홀로 이루어져 있다.

우연하게도

14.7Km    2024-12-17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우림로 188-13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 위치한 우연하게도는 아름답게 잘 꾸며져 있는 정원과 시원한 물줄기를 내뿜는 분수를 바라보며 여유롭게 휴식하기에 좋다. 야외 테이블에서는 반려견 동반입장이 가능해 사랑하는 반려견과 함께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기에도 좋다. 대표메뉴는 부팔라마르게리따이며 그 외에 리코타버섯화덕피자, 매콤한 디아볼라 등 다양한 양식메뉴와 음료가 준비되어 있다.

서부 생선가

14.7Km    2024-10-10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배산로 191
063-855-5325

‘서부생선가’는 전북 익산시에 위치한 식당으로 회는 산지에서 직송한다. 또한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은 천연 재료로 만든 매운탕과 이밖에도 별미인 아귀찜이 있다. 매장 내부는 입식 좌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별도로 룸도 있어서 미리 예약 시 개별적인 식사가 가능하며 매장 전용 주차장이 있어 주차걱정 없이 편안하게 식사가 가능하다. 이곳은 배산체육공원, 혜봉원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모현동부도, 백산서원, 매곡사 등의 관광 명소가 인근에 자리하고 있어 익산을 관광하는 데도 지리적 이점이 있다.

흥복사(김제)

흥복사(김제)

14.7Km    2025-11-03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승반길 103 (흥사동)

흥복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이다. 650년(의자왕 10) 고구려에서 온 보덕이 창건하여 승가사라 하였다. 여러 차례 중건과 중수를 거듭하였으나 현재로서는 알 수 없고,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절은 완전히 불타버려 절은 폐허가 되어 버렸다. 1625년(인조 3) 김제에 살던 흥복 처사가 부처님의 감응을 받아 이 절을 기원도량으로 삼아 극락전을 중건하면서 절의 이름을 흥복사라 불렀다. 그 뒤 절은 다시 퇴락하였는데 근대에 들어와서는 1943년 법운 스님이 극락전과 관음전 등을 중수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1954년 불교정화운동 때는 교단의 행정본부가 되었으며, 1961년에는 월주 스님이 금산사와 흥복사의 주지를 겸임하면서 전라북도 지역 불교정화운동의 핵심역할을 했다. 1976-1979년에 걸쳐서 대대적 중창 불사가 거행되어 절의 면모가 일신되었다. 절에는 대웅전을 비롯해서 미타전, 미륵전, 삼성각, 사천왕전, 정혜원(요사), 요사 및 수각인 불유각 등 여러 채의 건물이 널찍널찍하게 자리 잡고 있다. 사찰 경내에는 수령 600년 가량의 신단수와 설천이라는 우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