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박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려대학교박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고려대학교박물관

고려대학교박물관

10.1 Km    24663     2023-12-04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박물관은 국보 3건, 보물 6건을 비롯하여 민속, 도자기, 서화, 현대미술 등 다양한 유물을 소장한 종합박물관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대학 박물관 중 하나로 1934년 도서관 일부 공간에 남창 손진태 선생이 수집한 민속품을 전시하면서 개관하였다. 1936년 안함평 여사의 기부금으로 민속 유물을 수집하고, 신창재・박재표 등 뜻있는 분들의 유물 기증이 이어지면서 2005년 고려대학교 개교 100주년을 맞아 준공한 백주년기념관으로 이전・개관하면서 현재의 박물관이 되었다. 박물관 전시실에는 각각의 주제에 맞게 혼천시계, 동궐도를 비롯한 국보 문화재와 정선, 김홍도 등의 고회화 작품, 이중섭, 박수근, 권진규 등의 근현대 미술작품, 고려대학교 역사와 함께해 온 근현대사 기록물에 이르기까지 600여 점이 전시되어 있다. 100년사 전시실 및 제1전시실(역사/민속 전시실), 제2전시실(고미술 전시실), 그리고 제3전시실(현대미술전시실)이 있으며 이 밖에 기증자기념전시실, 기획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10.1 Km    23589     2024-05-3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이 건물은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가 개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세운 중앙도서관이다. 본관과 마찬가지로 한국인 건축가 박동진(1899~1982)이 설계하였고, 건축의 양식과 구조는 당시 교수로 있던 오천석의 모교인 미국의 듀크대학 도서관을 참고하였다고 한다. 중앙 도서관을 준공할 당시 국내외적으로 많은 관심과 성원을 보여 당시 금액으로 22만 원의 공사비를 들여 차질 없이 마쳤다고 한다. 본관 건축 다음 해인 1935년 6월에 착공하여 1937년 9월에 본관의 왼쪽 언덕에 화강암으로 고딕 양식의 5층 건물로 완공하였다. 평면은 ㄴ자형으로 모서리 부분의 중앙탑 부를 중심으로 본채가 양쪽에 있는데, 하나는 탑과 나란히 남쪽 정면을 바라보고 있지만, 다른 하나는 탑에서 북쪽으로 꺾여 동쪽을 바라보고 있다. 본채는 3층이고, 남서 모서리의 탑비는 고딕풍의 5층 탑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돌을 덧붙였다. 도서관 준공 당시 1층에는 교수 연구실 32개, 2층에는 250석의 대 열람실을 배치하고, 책상마다 스탠드와 가죽 의자를 비치하였다. 3층에는 20만 권의 장서를 보관하고, 3층 이상은 민속자료, 미술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꾸몄다. 그러나 개교 70주년을 맞아 중앙 도서관 신관이 준공되면서 여유 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지금은 당시의 기능을 대부분 신관으로 넘기고 대학원생들의 열람실과 교수 연구실로 사용하고 있다. 수도권 지하철 6호선 고려대역 1번 출구에서 300m에 위치하고 있다.

개운사(서울)

개운사(서울)

10.1 Km    23961     2023-06-10

서울특별시 성북구 개운사길 73

안암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개운사는 그리 크지는 않지만 한국 불교 개혁의 근원지이고, 현재는 김포에 위치하고 있지만 불교 교육의 근본도량인 중앙승가대학이 있던 곳이다. 이 절은 조선 초 태조 5년(1396)에 왕사(王師)인 무학대사가 동대문 밖 5리 정도되는 안암산 기슭, 현재 고려대학교 이공대학 부근에 절을 짓고 영도사(永導寺)라고 하였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후 정조 3년(1779) 5월에 정조의 후 궁 원빈(元嬪)홍씨가 세상을 떠나자 영도사 자리에 묘소를 정하고, 명인원(明仁圓)이 세워지자 인파당(人波堂) 축홍(竺洪)스님이 영도사를 동쪽으로 몇 리 떨어진 현재의 자리에 절을 옮겨 지었다고 하였으나 '사기(寺記)'라는 문 헌에는 영조 6년(1730)에 영도사가 이전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영도사가 개운사로 이름을 바꾼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개운사는 20세기 이후에 한국 교육불사와 불교의 진보적인 운동을 주도해 왔다. 1926년 근대 불교의 대석학이었던 박한영 스님이 머물었고, 이절의 암자인 대원암에 탄허(呑虛)스님이 머물면서 역경(譯經) 사업에종사 하였다. 이 절은 현재 조계종이지만 최근까지 태고종에서 관리하였으므로 1955년에 대처승 주최로 전국포교사대회(全國布敎師大會)를 개최 하기도 하였다. 1981년부터 중앙승가대학이 이곳을 교육도량으로 사용하면서 현대사 속에서의 개운사 전통을 꽃피우는 계기가 마련 되었다.조선말 고종 10년(1873)에 명부전을 세우고 나서 7년 후인 1880년에는 이벽송(李碧松)대사가 대웅전을 중건하고, 그 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출처: 개운사)

명문막국수

명문막국수

10.1 Km    2359     2023-12-05

서울특별시 성북구 창경궁로 319
02-745-3389

여름철의 별미 막국수로 유명한 곳. 메밀막국수, 메밀들깨칼국수 등 국수 외에도 메밀로 만든 다양한 음식으로 유명하다. 한성대역 5번 출구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 혜화문이 보이는데 한양도성 성곽길이 시작되는 계단이 보인다.

유러피언 크리스마스 마켓

유러피언 크리스마스 마켓

10.1 Km    67584     2024-05-03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6길 성북천분수마루
02-2241-6381,3,4

올해로 제 12회째 맞이하는 유러피언 크리스마스 마켓은 11개국 주한유럽대사관들과 인근 상인협의회의 참여와 후원으로 유럽 전통 크리스마스 시즌 음식과 특산품을 선보인다. 시즌 음식에는 프랑스 소시지, 스페인 빠에야, 럼커피, 독일 글뤼와인, 불가리아 미트볼스테이크, 헝가리 굴라쉬와 특산품에는 폴란드 도자기, 체코 꿀케이크, 불가리아 화장품 등 유럽 각국의 전통 음식과 특산품 그리고 크리스마스 시즌 음식들로 유럽풍의 크리스마스를 즐길 수 있다. 내·외국인이 한자리에 모여 거주 외국인은 고향의 향수를 느끼고 내국인은 유럽의 다양한 크리스마스 문화를 체험하며 상호 이해를 통해 함께하는 공동체를 실현하고, 판매 수익 기부를 통해 나누고 베푸는 크리스마스 본연의 의미를 전파한다. 주한외교대사 등 주요 내외빈이 함께 참여하여 행사를 축하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행사는 공연 및 이벤트를 축소하여 안전하고 차분하게 진행한다.

벨벳문

벨벳문

10.1 Km    2     2021-03-26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5길 39
010-4028-9957

직접 로스팅한 커피 전문점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에스프레소이다.

국립민속박물관&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10.1 Km    1     2024-05-13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7

국립민속박물관은 우리나라 전통 생활양식과 관련된 4,000여 점의 민속자료가 전시되어 있는 국내 유일의 민속생활사 관련 국립박물관이다. 본관과 파주관이 있는데 본관은 경복궁 경내에 있다. 본관 안에는 어린이박물관이 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민속문화의 연구·수집·보존과 문화교육 및 생활문화 전시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통한 민족적 자긍심을 일깨울 수 있는 문화교육의 현장이다. 전통과 현대가 어우른 문화의 전당으로 3개의 상설전시실과 야외 전시, 2개의 기획전시실이 있다. 상설 전시 [1전시실]에서는 한국인의 하루, [2전시실]에서는 한국인의 일 년, [3전시실]에서는 한국인의 일생에 대해서 전시한다. 야외 전시에는 열두 띠 동상과 연자방아, 장승 동상 등이 전시되어 있고, 1970~1980년대 서울 지역 동네 골목을 재현한 [추억의 거리]가 재현되어 있다. 다양한 문화교육 프로그램과 행사는 홈페이지의 [교육안내∙신청]을 통해 선착순으로 참여할 수 있다. 설날이나 추석과 같은 전통 명절에도 전통 놀이와 공연 등이 다채롭게 진행된다. 주한 외국인을 위한 체험행사도 진행하여 한국문화알기에 도움을 준다.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우리나라 전통생활양식에 관련하여 어린이들에게 알기 쉽게 설명해 주고 체험해 볼 수 있도록 전시해 놓은 박물관이다. 어린이박물관은 홈페이지를 통해 1인당 1일 1회만 전시예약이 가능하고 사전예약을 해야 관람할 수 있다.

수와래

수와래

10.1 Km    22700     2023-07-27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82
02-739-2122

분위기 있는 삼청동 길은 드라이브를 하거나 걸어서 데이트를 즐기기에 안성맞춤인 곳이다. 고즈넉한 분위기와 특색 있는 건물들과 나무 사이를 걷다 보면 절로 마음이 가라앉는 서울에서 보기 드문 장소임에 틀림없다. 이 길을 걷다 보면 나오는 수와래는 거리의 분위기와 많이 닮아 있는 공간이다. 건물 외부에 그려져 있는 나무와 재미있는 인형이 반겨주는 이곳은 외관만큼이나 내부의 인테리어도 특색 있다. 정물화에서 튀어나온 듯한 이곳의 내부 인테리어는 풍요로워 보이고, 조명도 은은한 노란빛으로 따스함을 준다. 메뉴는 수프, 전채요리, 샐러드, 소스별로 나뉘는 스파게티, 그라탱 등 종류도 다양하다. 분위기가 좋아서 커플들이 많이 찾는 곳으로 유명하며, 여성들끼리 모임을 갖기에도 적당하다.

죽미인

죽미인

10.1 Km    3696     2023-05-30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2길 12
02-719-9264

유동인구가 많아 접근이 용이한 마포구 신촌 로터리에 위치한 죽미인은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들도 좋아하는 죽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이다. 30가지 이상의 메뉴와 다양하고 특별한 맛으로 어머니의 정성을 담아 죽을 만드는 죽전문점으로, 미리 죽을 만들어 놓지 않고 주문 후 바로 조리하여 더욱 깔끔하고 맛있는 죽을 제공한다. 외관은 죽집이 아닌 카페같이 예쁘고 아기자기하며 깔끔한 내부 인테리어도 돋보이는 식당이다. 매장 내 식사 뿐 아니라 전 메뉴 포장 가능하며, 근거리는 배달도 가능하다.

빠네파스타 종로

빠네파스타 종로

10.1 Km    1     2022-10-05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7길 11
02-777-6556

서울특별시 경복궁(정부 서울 청사)역 부근에 위치한 양식당이다. 정통 이탈리아 화덕피자와 파스타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마르게리따피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