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군별장 (석파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원군별장 (석파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대원군별장 (석파정)

대원군별장 (석파정)

10.1 Km    20251     2023-03-15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11길 4-1

대원군 별장은 원래 창의문(彰義門) 밖 종로구 부암동 산 16-1번지에 있었던 건물이다. 1958년 서예가 소전(素筌) 손재형(孫在馨)이 이곳에 집을 지으면서 뒤뜰 바위 위 지금의 위치로 이전한 것이다. 부암동 산 16-1번지에는 조선말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별장인 석파정(石坡亭,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석파정 별당)이 지금도 보존되어 있다. 이 대원군 별장 건물은 그 곳 사랑채에 부속되어 있던 건물이었다. 동북향을 하고 있는 현재의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역(逆)'ㄱ'자형 평면으로, 3량 가구의 맞배기와지붕을 하였다. 건평 10평정도 규모의 건물로 가운데에 1칸 대청방을 설치하고, 그 왼쪽인 동쪽에 2칸 반 크기의 큰방, 오른쪽에 1칸 반 크기의 건넌방을 꾸며놓았다. 큰방은 다시 앞으로 2칸 꺾여 나와 'ㄱ'자를 형성하였는데, 이 방은 흥선대원군이 사용하였다. 건넌방은 손님 접대용이었으며, 대청방은 흥선대원군이 즐겨 그리던 사군자의 난초를 그릴 때만 사용하던 방이라고 한다. 회색 전벽돌로 쌓은 큰방 측벽에는 반원형의 창을 내었고, 건넌방 측벽에는 원형의 창을 내어 중국풍의 정취가 나도록 하였다. 대청방과 안방, 그리고 건넌방 사이에는 분합문을 달았고, 큰방 동측면 벽에는 벽장을 설치하여 공간의 이용 밀도를 높였다.

건물 정면에는 'ㄱ'자로 꺾인 곳을 따라 툇마루를 설치하였고, 그 양 끝은 전벽돌로 쌓은 측벽으로 막았으며, 건물 뒷면 중앙 3칸에는 쪽마루를 놓았다. 건물 앞퇴에는 대청마루 앞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난간을 설치하여 고급스런 분위기로 장식하였으며, 기둥에는 주련(柱聯)을 달았다. 양측면 박공벽에는 전벽돌을 처마가 없이 지붕 밑까지 쌓아 중국 건축의 '경산(硬山)'식 지붕으로 처리하였으며, 후면 외벽도 전벽돌로 쌓고 처마를 내었다. 큰방의 아궁이는 동쪽에 두었다. 이 건물은 평면 구성, 공간과 벽면 사용, 창호 디자인, 재료 마감 등에서 빈틈 없이 탄탄하게 처리한 점이 돋보인다. 대청을 중심으로 하는 정면 부분과 내부 구조, 그리고 창살은 전통 한옥형식을 갖추었으나, 외형을 이루는 전반적인 모습은 조선말기에 전래된 중국 청(淸)나라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 이건하면서 원 모습대로 복원하지 않고 평면과 구조를 부분적으로 바꾸었다. 손재형은 일본으로 유출된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를 천신만고 끝에 한국으로 가져온 인물로 유명하다. 그는 말년에 이곳에서 작품활동을 하였다. 이 별장 아래에 있는 손재형이 살던 건물들은 현재 전통음식점 '석파랑'으로 사용되고 있다.

갱매폭포

갱매폭포

10.1 Km    9925     2023-09-12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

갱매폭포는 청계산 매봉(582m)계곡 옥녀봉(376m) 기슭에 있는 폭포로 수종폭포라고도 불린다. 갱매라는 용어는 옛 경기도 시흥군 과천읍 막계리에서 가장 큰 동네 갱맹이의 준말로, 갱매마을이라고 불렀다. 갱맹은 막계2리의 옛지명 광명의 사투리이며, 갱매마을 골짜기 위에 위치하여 자연스럽게 갱매폭포로 불려졌다. 현재는 과천 서울대공원이 들어서면서 갱매마을이 없어지면서 지명도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으로 변경되었다. 이 폭포의 길이는 13m, 폭은 8m이다. 청계산 매봉계곡에서 갱매폭포를 거쳐 서울대공원안에 있는 과천저수지(옛 막계저수지)를 경유한 물은 양재천으로 흘러 탄천과 합류, 한강에 이른다. 옛마을사람들은 갱매폭포를 청계폭포, 동폭포, 갱맹이폭포 등으로 불렀다고 한다. 수도권지하철 4호선 대공원역 2번 출구에서 도보로 30분 정도 걸린다.

홍무양꼬치

홍무양꼬치

10.1 Km    1     2021-03-12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로60가길 1
02-6449-0326

저렴한 가격에 먹을 수 있는 곳으로, 동네 주민들의 맛집이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양꼬치다.

올리브영 합정카페거리

올리브영 합정카페거리

10.1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 13

-

아르고호텔

10.1 Km    3     2024-01-23

서울특별시 강동구 진황도로 93 (길동)

강동구 길동 사거리 바로 앞에 위치한 아르고호텔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호텔이다. 객실은 일반실부터 VIP까지 총 5가지의 객실이 있으며, 전 객실에 개인용 컴퓨터, 욕조가 구비되어 있다. 넉넉한 주차 공간을 보유하여 자차로 방문하는 숙박객에게 용이하다. 강동역과 길동역 사이에 위치하여 주변에 다양한 맛집이 있으며 일자산허브천문공원, 강풀만화거리 등이 인근에 있다. 수도권 지하철 강동역 2번 출구에서 도보 8분, 길동역 1번 출구에서 도보 6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석파랑

10.1 Km    69614     2023-07-13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309

석파랑은 조선왕조의 마지막 왕, 고종의 아버지로 한 시대를 누렸던 흥선대원군이 별장 ‘석파정’의 사랑채를 고스란히 옮겨와 지은 곳이다. 권세가의 아름다운 별장답게 석파랑의 대문을 들어서면 조선 말기 양식의 정원과 세 채의 고풍스러운 한옥이 눈앞에 펼쳐진다. 석파랑의 궁중 한식은 엄선된 식재료와 직접 담근 장으로 한층 더 정성의 기품을 더했으며, 또 전국 각지의 장인들이 만든 전통주를 함께 맛볼 수 있다.

예술고시촌 로컬페스티벌

예술고시촌 로컬페스티벌

10.1 Km    1     2024-02-06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암로22길 51 (신림동)
010-3201-1210

제 3회 예술고시촌 로컬페스티벌은 관악구 최초 어르신(시니어), 청년, 청소년, 어린이가 함께하는 축제이다. 11월 4주간 매주 토요일, 일요일 오후 3시 광태소극장에서 진행된다. 매주 다른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네이버 예약을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첫 째주(4일, 5일)에는 사상최초 시니어 숏무비&실버 영화관을 둘 째주(11일, 12일)에는 어린이 연극 체험&놀이를, 셋 째주(18일, 19일)에는 청년 배우학교&낭독 워크숍을 마지막 넷째 주(25일, 26일)에는 연극 '가족' 공연을 진행한다. 페스티벌 기간 동안엔 청소년 예술 분야상담&시니어 배우/모델 분야 컨설팅도 진행된다.

그레이스 성형외과

그레이스 성형외과

1.0 Km    0     2024-04-24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623(잠원동 4,5층)

-

서울마리나 요트&클럽

서울마리나 요트&클럽

10.1 Km    57373     2023-04-0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서로 160

국회의사당 바로 뒷편에 자리하며 마리나 항만과 한강의 아름다운 경관에 둘러싸여 국내에서는 접하기 쉽지 않은 이국적인 경관이 조성 되어있습니다. 요트 투어로 한강의 야경과 한강의 아름다움을 경험 할수 있으며 서울유일 헬기투어로 서울을 한눈에 내려다 볼수 있는 특징이 대표적이다.

관악산공원 야외식물원

관악산공원 야외식물원

10.1 Km    42625     2024-04-24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학동 203번지 일대

관악산공원 입구에서 5분 정도 걸어 들어가면 관악산공원 야외식물원을 만날 수 있다. 등산로 초입에 야생화 학습장이 있어 신기한 꽃들과 사진도 찍고 푯말에 표기된 꽃들의 이름을 외우는 재미도 있다. 계곡 옆 자연학습장에 조성된 1,000㎡ 규모 휴식 공간에는 19종의 농작물과 1,630본의 식재가 있어 농촌풍경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하다. 5월 말~6월에는 장미농원에서 장미 오감 체험도 할 수 있다. 식물원 중앙의 장미원을 비롯한 초화원, 관목원, 철쭉동산, 자연학습당, 벚나무쉼터, 물놀이데크, 간이퇴비장, 건강쉼터 등이 있다. 또 정자, 그늘막, 원두막 같은 조형물을 만들어 두었다. 상류 쪽으로 1km에 이르는 구간에는 어른 허리까지 물이 차는 자연형 수영장이 있으며, 관악산공원 정문을 통해 야외식물원 쪽으로 올라가면 신림계곡이 있다. 이곳에서 둘레길 2구간인 호압사 방향의 관악산 도란도란 걷는 길로 올라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