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Km 2024-12-1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원동회룡길 53-2 (원동)
1603년(선조 36)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유의손(柳義孫)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황강원(黃岡院)을 설립하여 위패를 모셨다. 1741년(영조 17)에 훼철되었다가 1795년(정조 19)에 용강원(龍岡院)이라는 명칭으로 다시 건립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으며, 1900년에 유림이 복원하여 용강서원이라고 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사당과, 정면 4칸, 측면 2칸인 팔작지붕의 강당 등이 있다.
19.9Km 2025-10-23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황강서원5길 8-7 (효자동3가)
1603년(선조 3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문정[李文挺], 이백유[李伯由], 이경동[李瓊仝], 이목[李穆]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황강서원은 원래 곤지산 아래에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병화로 부서진 뒤 중건하였는데 고종 6년(1869) 철폐되었다가 1898년 3월에 다시 전주 서쪽 황방산 아래에 있는 황강선생 유허지에 중건하였다. 복원과 동시에 유분[柳坋]과 이덕린[李德隣]을 추가 배향하고, 그 뒤 강해우[姜海遇]를 추가 배향하였다. 매년 3월 초정[初丁 : 첫 번째 丁日]에 향사를 지낸다.
20.0Km 2025-03-05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임병찬창의유적지는 구한말 둔헌 임병찬(1851∼1916) 선생이 일본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구하고자 의병들을 모아 훈련시켰던 곳이다. 임병찬 선생은 불법적인 을사조약이 체결된 이듬해인 1906년 면암 최익현 선생과 무성서원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순창전투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최익현과 함께 붙잡혀 대마도로 유배되었다. 1914년 독립의군부를 전국 조직으로 확대하여 대한독립의군부로 만들었으며, 의병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거문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중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 지역은 해발 400m 이상인 산간오지로서 임병찬 선생이 한일합방을 대비,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공자를 모시는 영소전 학당을 지어 제자를 가르쳤다. 또한 병기참 및 탄약제작소, 숙소를 설치하고 활쏘기, 말타기 들를 익히게 하였다. 현재는 당시 건물들의 흔적만이 있을 뿐이며, 최근에 후손들이 기념비를 세웠고, 정읍시에서 안내판과 표석을 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