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문학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리랑문학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아리랑문학마을

아리랑문학마을

15.0Km    2025-10-27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죽산면 화초로 180

아리랑문학마을은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죽산면에 있는 역사, 문화, 교육 공간으로 조정래의 대하소설 ‘아리랑’의 무대를 재현한 시설이다. 이곳은 일제수탁관 외 18동의 시설이 있고 일제 수탈, 강제 노역, 소작쟁의, 독립운동 등의 우리 근대사를 한자리에서 배울 수 있다. 특히 우리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여 역사의 진실을 한 번 더 되돌아보는 시간이 될 수 있다. 아리랑문학마을 중앙에 있는 당산나무는 하늘 뜻을 받들어 땅을 내리고 땅의 바람을 받들어 하늘에 올리는 고결한 일을 해낸다고 믿었다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마을 전체 위한 일이 있을 때마다 이 당산나무 아래로 모여들었다고 소설 '아리랑'에 쓰여 있다.

원각사(김제)

원각사(김제)

15.1Km    2025-03-05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사정거리1길 20

사찰의 창건 및 연혁에 관하여 1984년에 기록된 ‘원각사사적비(圓覺寺事蹟碑)’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인 1927년 일본인 승려 아오키 타로가 일본 동본원사(東本願寺) 계통의 작은 규모의 사찰을 창건했으며, 창건 당시 이름은 진조사였다고 한다. 1945년 8월 해방 직후에 지금의 주지인 춘명 창석이 진조사를 인수하여 원각사(圓覺寺)로 이름을 바꾸고 사세를 점차 확장했다. 1968년에는 대웅전을 짓고, 1970년에는 종각을 새로 지었다. 1975년에는 최연화 화주의 시주로 오층석탑을 봉안했다. 1976년에는 미륵불상을 봉안하였다.

남계정

남계정

15.1Km    2025-10-29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구이면 원두현길 12-12

남계정은 조선 중기의 학자 김진이 후학을 양성할 목적으로 세운 누각이다. 기록에 의하면 이 건물은 선조 13년(1580)에 신축해 두 차례 중건되었다. 정자는 낮은 기단 위에 세운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청마루와 방으로 이루어져 있는 목조 건물이다. 지붕은 팔작지붕이고 공포는 주심포 양식이다. 구성은 대청마루와 방으로 나뉘어 마루에는 ㄱ자형으로 정면과 측면에 걸쳐 퇴를 두었다. 지면에서 약간 올려 깐 마루에는 전면으로 일반 가옥처럼 출입문을 내고 측면에 한 쌍의 두 짝 여닫이 덧문을 달았다. 귀포의 장식이 화려하며 용마루도 높아, 작지만 품위를 느낄 수 있다. 남계정 안에는 의병장 고경명, 조헌, 부제학 심음시 등 당시의 유림이 남계의 학문과 덕망을 찬양한 현판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으며, 남계정의 밑에 있는 절벽 아래 바위에는 한문으로 남계정이란 암각서가 새겨져 있다. 남계정은 산 끝의 절벽 위에 세워져 있으며, 이 누각에 오르면 두현리와 멀리 모악산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시원한 조망을 안겨준다. 주변으로 구이저수지와 전북도립미술관, 모악산관광단지가 있다.

김제향교

김제향교

15.1Km    2024-11-04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향교길 89-3

향교는 공자와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교육기관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1894년 갑오개혁으로 근대 교육이 본격화되면서 교육적 기능은 폐지되었다. 1404년(태종 4)에 창건되었다가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고 1635년(인조 13)에 중건하였으며, 그 뒤 몇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무, 서무, 동재, 서재, 만화루, 교직사, 내삼문 등이 있다. 김제향교는 유생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석전대제를 알아보고 악[樂]을 배우는 시간으로 해금 강의가 있다.

장어나라

15.2Km    2024-12-1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샘골로 133
0507-1314-3119

전북 정읍시에 위치한 장어나라는 장어구이 전문점으로 소금구이와 양념구이가 대표메뉴이고 그 외에 메뉴로는 장어탕이 준비되어 있다. 매장 내부는 넓고 입식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석 간의 간격이 넓어 쾌적한 식사가 가능하고 테이블수가 많아 단체모임이나 회식장소로도 적합하다. 그리고 룸도 준비되어 있어서 프라이빗한 식사가 가능하다.

지평선바지락죽

지평선바지락죽

15.2Km    2025-01-10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중앙로 99
063-546-3939

맛 좋은 김제 쌀과 국내산 바지락을 맛볼 수 있는 향토 퓨전음식점이다. (사) 한국음식업중앙회 전북지회에서 개최한 2006년도 전라북도 향토음식 품평회 경연 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는 음식점이다.

벽성서원

벽성서원

15.2Km    2025-10-30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향교길 89-16

벽성서원은 1965년 김해 김씨 종친들에 의해서 세워졌다. 건물의 구성은 외삼문인 어덕문, 정면 네 칸과 측면 세 칸 규모의 팔작지붕 구조의 강당, 내삼문인 경의문, 정면 세 칸과 측면 한 칸의 맞배지붕 구조인 사당 충인묘로 구성되어 있다. 벽성서원에서는 봄과 가을 두 차례 제사를 지낸다. 이곳에는 신라 김유신을 중심으로 고운 최치원, 죽강 김보, 도산 김선, 모암 김극일, 숙재 허주, 점필재 김종직, 안경공 김영정, 탁영 김일손, 갑봉 김우항 등 기묘명현들과 신진 사류들을 모시고 있다.

용암서원(김제)

15.2Km    2024-09-13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향교길 89-22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의 사립 교육기관이다. 용암서원은 김제시 교동 성산 동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으며, 바로 우측에는 김제향교가 있다. 조간을 주벽으로 하여 이계맹, 나안세, 윤추, 이세필, 나응삼, 조윤침 등을 배향하고 있는 서원이다. 1488년(성종 19)에 세워졌으나 불에 타 없어지고, 1575년(선조 8)에 다시 지었다. 이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소실되어 1612년(광해군 4) 성산 동쪽 기슭으로 이건하였다. 1868년(고종 5)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1911년 김제 유림에 의해 다시 복구되었다. 용암서원의 입구문은 훼손되어 2004년 새로 만들어졌다. 용암서원은 사당과 강당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고,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섬진강댐 물 문화관

15.2Km    2024-11-12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운암면 강운로 1239

임실에 위치한 섬진강댐 물 문화관은 섬진강의 역사, 섬진강 댐과 물자원에 대한 전시물들을 관람할 수 있는 곳이다. 운암대교에서 국사봉전망대로 향하는 드라이브 코스의 시작점으로 꼭 한번 들러볼 만하다. 특별히 다른 것을 하지 않더라도 주변에 있는 옥정호의 아름다운 풍광을 보러 방문하는 보람이 있다.

콩사랑뚜부장수

15.3Km    2025-01-13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요촌중4길 47-11
063-542-9828

콩사랑뚜부장수는 전북 김제시에 위치하였으며 노화 방지, 고혈압, 치매, 심장질환 예방, 골다공증, 다이어트 등에 좋다는 우리 콩을 재료로 한 다양한 메뉴를 선보인다. 특히 여름철에 고소한 콩 국물과 쫄깃한 면발의 조화가 환상적인 콩국수를 맛보기 위해 많은 이들이 방문한다. 이 외에도 청국장, 두부버섯전골, 두부 탕수육 등 정갈하고 건강한 음식을 맛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