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T POT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GGT POT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GGT POT

GGT POT

12.3 Km    1     2024-04-03

전라남도 나주시 동촌로 236-42

카페로 들어서는 입구부터 숲에 들어선 듯한 느낌을 받는 카페다. 주차 공간이 넓고, 드넓은 정원이 펼쳐져 있어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기 좋다. 야외 테이블도 갖추고 있어 야외 나들이를 즐기는 듯한 기분도 만끽할 수 있다. 특히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공간들이 마련되어 있어, 가족 단위 고객들이 즐겨 찾는다. 실내는 아기자기하면서도 세련되게 꾸며져 있으며 각종 모임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창밖으로 펼쳐지는 자연경관 뷰도 인상적이기 때문에, 차 한 잔 즐기면서 힐링하기 적합하다. 대표 메뉴는 땅콩의 너티함을 베이스로 옥수수의 구수한 후미가 인상적인 아메리카노와 자연에서 5년 숙성시킨 황매실차, 수제 청으로 만든 한라봉에이드다. 이외 캐러멜마끼아또, 자몽에이드, 젤라토, 피자 등도 맛볼 수 있고, 나주남평은행나무길과 인접해 있어 자연 속 힐링을 하기 좋다.

서창한옥문화관

12.3 Km    0     2023-12-27

광주광역시 서구 눌재로 420
062-373-1365

서창한옥문화관은 방문객들에게 전통문화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인 한옥에 대한 의미를 알리는 곳이다.

광주 우치공원 동물원

12.3 Km    17256     2024-05-21

광주광역시 북구 우치로 677

광주 우치공원 내에 위치한 동물원이다. 국내 멸종 위기 동물인 반달가슴곰, 원앙, 수달 등을 보호·연구해 나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민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2015년 신원숭이사, 해양동물사, 재규어사, 파충류사, 소맹수 및 무플론사를 리모델링하여 동물들을 위한 쾌적한 환경을 마련하였다. 입장요금은 무료이며, 가족과 함께 방문하기 좋은 나들이 명소이다.

패밀리랜드 카라반 캠핑장

패밀리랜드 카라반 캠핑장

12.3 Km    1     2024-03-08

광주광역시 북구 우치로 677

패밀리랜드 카라반 캠핑장은 광주 북구에 위치한 우치공원 내 잔디광장 7천여㎡ 부지에 조성된 럭셔리 글램핑장이다. 도심 속 자연에서 낭만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미국 포레스트리비사의 초대형 카라반을 설치하였으며, 캠핑장 내 모든 카라반에는 최신형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 아울러 캠핑과 함께 체육, 예술, 놀이, 관람 등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되어 있어 누구와 방문해도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카라반 이용 시 화재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개인 바비큐 세트 및 모닥불 장비는 사용할 수 없다.

유니클로 광주연제

유니클로 광주연제

12.3 Km    0     2024-03-23

광주광역시 북구 연양로 2(연제동)

-

물염정

12.3 Km    19791     2024-01-24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물염로 161

중종 명종대에 성균관 전적 및 구례, 풍기군수를 역임한 홍주 송씨 물염 송정순이 16세기 중엽에 건립한 정자이다. 후에 외손 금성 나씨 나무송, 나무춘 형제에게 물려주었고, 그 후 수차례 중수와 함께 1966년, 1981년에 중수하였다. [물염]은 세속에 물들지 말라는 뜻이다. 화순적벽에서 3km 상류에 위치한 물염정은 방랑 시인 김삿갓이 경치에 반해 자주 찾았던 정자로, 정자 옆에는 난고 김병연의 시비와 동상이 있다. 병풍처럼 둘러친 물염적벽의 기암절벽과 소나무 숲의 운치, 그리고 깊은 계곡과 단애의 풍치를 정자 위에서 바라보고 있노라면 마치 신선이 노닐던 선경 속으로 빠져들게 할 만큼 멋진 절경을 연출한다.

화순적벽

화순적벽

12.3 Km    37431     2023-08-02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적벽로 630-1

동복천 상류인 창랑천에는 약 7km에 걸쳐 수려한 절벽 경관이 발달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동복댐 상류에 있는 적벽(노루목 적벽)과 보산리, 창랑리, 물염적벽 등 4개의 군으로 나뉘어 있다. 적벽은 수려한 자연경관이라든가 웅장함 그리고 위락공간으로서 주변의 적절한 자연조건 때문에, 동복댐이 만들어지기 직전까지 옛날부터 널리 알려진 명승지이다. 1519년 기묘사화 후 동복에 유배 중이던 신재 최산두가 이곳의 절경을 보고 중국의 소동파가 선유하며 그 유명한 적벽부를 지어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했던 적벽에 버금간다 하여 적벽이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깎아 세운 듯한 수백 척 단애 절벽의 절경에 젖어 방랑 시인 김삿갓(김병연)도 이곳에서 방랑을 멈추고 생을 마쳤다. 그러나 김삿갓을 비롯한 많은 시인, 묵객들이 좋아했던 상류의 노루 목적벽은 85년 동복댐 준공을 계기로 수몰되어 25m 가량 잠겨버렸다. 또한 1807년(순조 7년) 3월 13일 경기도 양주군 회동면에서 출생하여 전국을 떠돌다가 이곳 적벽에 매료되어 1863년 4월 29일 작고할 때까지 살았던 김삿갓의 초분지(初墳地 - 3년 후 차남이 고향 영월군 하동면 와석리에 모심)가 보존되어 있다. 그가 생전 동복에서 고향 영월을 바라보며 그리워하였을 자리에 망향정(望鄕亭)을 건립하였다.

죽림사(나주)

12.4 Km    20176     2023-10-04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풍림죽림길 255

중봉산 계곡 깊숙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사찰로 백양사의 말사이다. 사적에 의하면 죽림사는 백제 비유왕 24년(440) 경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는 주장이 있으나 확실치 않다. 통일신라 때 것으로 추정되는 사리 16과와 불두가 발견되어 통일신라 이전이나 같은 시대로 추정된다. 1983년 극락보전을 보수할 때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사리 16과와 청동불두가 발견되어 죽림사는 적어도 통일신라시대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창건 시의 규모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7전(殿), 3당(堂), 2실(室), 3요(寮), 6암(庵), 1사(寺)가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극락보전과 영산전·삼성각 등의 전각과 염화실·청향각·회심당 등의 요사, 수각·부도(5기)·대형맷돌·석조여래좌상 등이 있다. 죽림사에는 다양한 문화재가 있다. 청향각에는 1998년 6월 29일 보물로 지정된 죽림사 세존괘불탱이 있으며, 죽림사 극락보전은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영산전 앞뜰에는 전체 높이 141cm의 석조여래좌상이 놓여 있으며, 사찰 입구 축대 앞에 청계당대사 부도와 월하당대사 부도 등 18세기 중엽에 조성된 부도 5개가 일렬로 놓여 있다.

광주 서창 억새축제

광주 서창 억새축제

12.4 Km    2152     2024-06-11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둑길 377
062-350-4792

영산강변 테마가있는 산책로를 걸으며 특색있는 걷기프로그램과 함께 가을포토존에서 인생샷을 찍고 즐길수있는 축제이다. 3.5km에 이르는 대규모 억새군락지에 펼쳐진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와 체험프로그램 및 도심속에 있는 가을을 만끽할 수 있는 생태환경축제이다.

영산강 자전거길

영산강 자전거길

12.4 Km    4     2023-10-31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둑길 377

영산강 자전거길은 담양댐 물문화관부터 목포 영산강하구인 인근 황포돛단배 매표소까지 영산강변을 따라 총 133km가 조성돼 있다. 코스는 승촌보-나주대교-영산포-황포돛배-앙암바위-천연염색 박물관-죽산보-영산 나루마을이다. 자전거 길을 달리면서 중간중간 쉬어가면서 영산5경을 만날 수 있는데 영산강의 아름다운 경관을 즐길 수 있는 5곳의 절경이다. 1경은 저녁노을이 물든 아름다운 영산석조이고 2경은 강위로 잔잔한 바람이 갈대숲에 스며들어 은은하게 마디마디 스치게 하는 곡강의 그림자가 잠깐 쉬었다 가는 식영정이다. 3경은 황포돛배와 석관정에서 바라보는 석관귀범이고, 4경은 봄날 꽃의 향연을 만낄할 수 있는 나주 죽산보의 죽산춘효이다. 5경은 영산포구에서 바라보는 황금물결 일렁이는 나주평야의 금성상운을 말한다. 승촌보, 죽산보도 감상하고 죽녹원, 메타세쿼이아, 갓바위 등 관광지와 도시를 두루 둘러 볼 수 있으며 먹거리도 다양하고 풍부한 라이딩 투어 길이다. 영산강 자전거길 안내센터에서 무료로 자전거 대여도 가능하고 안내센터 앞에는 자전거 안전 교육장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