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금사리성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부여금사리성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부여금사리성당

부여금사리성당

14.7 Km    0     2023-12-07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성충로1342번길 21

부여 금사리 성당은 대전교구 소속의 가톨릭 교회로 1901년 4월 27일 공주 본당에서 분리 설립된 부여 지역 최초의 성당이다. 설립 당시에는 [홍산 성당] 또는 [소양리 성당]이라고 불렀다. 초대 신부인 프랑스인 사제 공베르 쥘리앵 신부는 현재 위치에 성당의 터를 잡고 부지를 매입하여 교회 신축 공사를 진행하여 1906년에 완공하였다. 이후 1913년에는 사제관과 사랑채를 완공하고 뮈텔 주교의 집전으로 축성식을 거행하였다. 부여 금사리 성당의 본당은 유럽 성당의 건축 기본 양식인 바실리카형 평면으로 되어 있다. 현재는 본당과 사제관 2동만 남아있다. 본당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본래 건물의 앞면에 종탑이 있었으나 강풍으로 붕괴되어 지금은 종을 치던 구멍만 남아있다. 우리나라 초기 천주교의 성당 형태를 잘 보여주는 부여 금사리 성당은 1998년에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주변에는 반산저수지 등이 있다.

가림상회

가림상회

14.7 Km    0     2024-06-11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97번길 4-5

가림상회는 관광두레 주민사업체로 선정되고 3년이 지난 2023년 7월에 정식 오픈을 했다. 가림상회를 운영하는 만세장터영농조합법인은 60세 이상 여성으로 구성된 만세장터 봉사회가 그 전신이다. 가림상회에서는 슈페너, 스프레드 브레드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음료 주문 시 오란다도 함께 제공된다. 김밥, 밑반찬도 함께 판매중이다. 체험 프로그램 으로는 수제 하트 오란다 만들기(2인 이상), 수제 하트 영양바 만들기(2인 이상) 가 준비되어 있다.

충남 보부상 문화축제

충남 보부상 문화축제

14.8 Km    1     2024-02-06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88
041-630-2913

전국 유일 보부상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충남에서 벌어지는 문화관광 축제이다.
충남지역 4개 로컬 보부상단이 어우러진 이번 축제는 충남 보부상이 간직한 역사, 문화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충남 보부상단 150명으로 이뤄진 본소행진, 길놀이 퍼레이드를 시작으로 축제의 서막을 알린다. 특히 음악, 행차, 공연, 형형색색의 깃발들로 이뤄진 본소행진은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이 축제의 메인행사이다. 이후 4개 상단이 한 데 모여 의식을 진행하는 공문제, 풍물놀이/장문놀이 등 로컬 보부상이 공연하는 난전놀이 등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축제는 무료이며, 플리마켓 전통체험 등 다양한 부스 행사를 참석할 때마다 얻는 9가지의 스탬프를 모으면 보부상 기념품을 증정한다. 주차는 인근 임천행정복지센터, 임천초등학교에 할 수 있다.

부여기와마을

1.5 Km    5173     2023-11-14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월함로 277

부여기와마을은 충남 부여군 부여읍 북동부에 위치한 농촌체험마을이다. 백제시대 기와를 구웠던 곳이라 하여 기와마을이라 한다. 나물 캐기, 수박, 딸기 따기, 고구마 캐기, 밤 줍기 등 다양한 농사체험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발효식초 만들기, 색동인절미 만들기, 주얼리 만들기, 멜론고추장 만들기, 천연 모기 퇴치제 만들기, 천연 공기 청정기 체험, 내가 키우는 보약, 수박떡바 만들기와 화채 체험, 메주비누 만들기, 농산물을 이용한 버거 만들기, 와송 심고 그림 시 쓰기, 양푼비빔밥 만들기, 시골식 뷔페, 낙화암 향초, 추억의 도시락, 오이소박이 만들기, 천연 연잎비누 만들기, 전통 손두부 만들기 등 매우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욕실, 주방이 완비된 숙박시설도 마련되어 있고, 여름철에는 물놀이장도 개장하므로 여유롭게 즐기다가도 좋다. 평화로운 마을 풍광을 감상하고 느긋하게 마을길을 산책하는 재미도 있다. 인근 관광지로는 백제문화단지, 백제보, 부여 청산성, 부소산성, 백마강 등이 있다.

만세장터 봉사회

14.8 Km    0     2023-12-14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88번길 10
010-6797-2288

만세장터봉사회는 임천면에 거주하는 평균 62세 여성들로 구성된 조직이다. 지역 농가에서 직접 생산해 가져온 농특산물을 직거래로 판매한다. 여기서 발생한 수익금과 임천면 소재 휴경지를 개간해 수확한 무, 배추로 김장김치를 담가 기초생활 보장 수급자, 경로당 등 저소득 취약계층 50여 가구와 나눔 행사 등을 가진다. 동지를 앞둔 시점에는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동지팥죽 무료 나눔 행사를 개최하기도 했다. 동지팥죽 나눔 행사는 임천면 로컬푸드 장터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자 봉사회 회원 20여 명이 직접 300인분의 팥죽을 쑤어 준비하였다. 동네에 있는 ‘사랑 나무’를 모티브로 한 도시락과 관광 상품도 만들 예정이다. * 상품명 : 수제 견과류 바 지역의 회원농가에서 생산한 오색미 유기농쌀, 땅콩, 블루베리, 대추, 호두와 해바라기씨, 호박씨와 쌀 조청으로 만든 영양 듬뿍 수제 견과바 사랑나무의 하트모양 등 크기가 다양하고 전통의 강정을 견과류와 촉촉함을 더한 알찬 간식 * 상품명 : 엄마손 장아찌 청정지역 임천 산골에서 자란 제철 머위 순, 엄나무 순, 취나물, 회원농가에서 재배한 깻잎, 노각오이, 마늘등으로 만든 고향이 그리운 엄마손 장아찌 짜지 않아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밥도둑! * 상품명 : 향교에서 만나는 문화체험 1) 다도 및 떡 만들기 체험 : 임천의 농산물로 만드는 차와 맛있는 떡 만들기 체험 2) 압회체험 : 사랑나무 누름꽃을 사용한 액자 한지등 만들기 체험

창렬사

15.1 Km    1191     2023-12-08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금사남로 78

부여군 구룡면에 있는 사우로 삼학사라고 불리는 조선 중기 충신 윤집·오달제·홍익한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숙종 43년(1717)에 건립하였고 경종 1년(1721)에 창열사란 현판을 임금이 내렸다. 이곳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훼손되지 않았다. 사당 건물은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의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내삼문을 거쳐 아래로 내려가면 강당 건물이 있고 그 앞에는 근래 지은 외삼문이 있다. 병자호란 때인 인조 14년 조선을 속국으로 하려는 모욕적인 문서를 가져온 청나라 사신을 살려 보내지 말자고 주장하였으나, 이듬해 남한산성에서 삼전도의 굴욕을 겪으며 모욕적인 화의를 하게 되었고 그 이후 삼학사는 청나라에 잡혀가게 되었다. 청 태종이 직접 이들의 심문에 참여하여 설득과 회유를 하였으나 심한 고문을 견디면서 끝까지 척화를 주장하다가 결국 중국 선양에서 처형되었다. 그러나 청 태종도 이들의 기개에 찬사를 아끼지 않았으며 후대인들도 이들을 삼학사라고 부르고 높은 충절과 고귀한 죽음을 기렸다. 주변 관광 명소는 부여 금사리 성당, 청일사, 홍산향교, 부여 상천지가 있다.

간곡서원

15.2 Km    1765     2023-12-08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283번길 31-4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의 사립 교육기관이다. 간곡서원은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의 나지막한 언덕에 자리 잡고 있는 서원으로 조선 후기 문신인 류동수를 제향하고 있다. 1730년(영조 6)에 양호사림이 임천 간곡에 창건한 향현사에서 출발하여 1732년(영조 8)에 사당의 이름을 창의사라고 개칭하였고, 1740년에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859년(철종 10)에 사액을 청하였으나 받지 못하였고, 1868년(고종 5)에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69년 옛터에 사우와 서원을 복원하였다. 류동수는 1646년(인조 24)에 노성현감으로 재직 시 토호가 일으킨 반란을 진압한 공을 세웠다. 간곡서원 인근에는 대조사(부여), 부여 가림성, 만세 장터영농조합법인, 반산서원이 있다.

칠갑산자연휴양림

칠갑산자연휴양림

15.3 Km    68153     2024-05-27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칠갑산로 668-103

칠갑산자연휴양림은 73㏊의 울창한 천연림의 아름다운 경관을 살려 1990년도에 조성하여 1993. 9. 12일에 준공했다. 숲속의집 13동 (84여 명 수용), 산림문화휴양관 2층 건물 24동(108여 명 수용), 원두막 4동, 야영장 야영데크 20개, (80여 명 수용), 강의실 1동(150명 수용), 대피소 1동, 벤치 35개, 잔디광장, 산책로, 체력 단련시설, 물놀이장 2개소, 주차장 2개소 (100대) 등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휴양공간으로 어린이를 위한 자연학습장과 각종 행사를 할 수 있는 잔디공원도 있어 가족 단위나 단체행사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곳이다. 또한 주변에 있는 칠갑호 저수지에 물이 차게 되면 물과 산이 어우러져 경관이 수려한 최상의 자연휴양림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곳이다.

동곡서원

15.4 Km    1369     2023-12-08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성흥로 479-9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의 사립 교육기관이다. 동곡서원은 부여군 세도면 동사리에 있는 조신을 제향하는 서원이다. 조신은 고려 공민왕(재위 1351∼1374) 때 회양 부사(군수)를 역임하였으며, 고려말 신돈이 정권을 장악하자 정치에서 물러나 임천이 덕림(장암면 점상리)에 은거하였다. 조신은 이색, 정몽주와도 교분이 두터웠다고 하며, 이방원의 어릴 적 스승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박팽년·유성원 등의 학자를 길러냈다. 동곡서원은 조선 철종(1849∼1863) 때 지역 유림들이 지었으나,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었다가 1930년에 복원하였다. 건물 배치는 ㅁ자집 평면으로 강당과 재실이 있다. 안마당을 중심으로 각 방이 배치되어 있어 마치 살림집 모습을 보는 것 같은데 바깥채는 전학당이고 안채는 화수루이다. 주변 관광 명소는 낭산사, 간곡서원, 칠원서원, 대조사(부여), 부여 가림성이 있다.

지장정사(논산)

15.4 Km    21596     2023-03-13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화곡안길 103

* 실천하는 불교, 지장정사 *

지장정사(地藏精舍)는 1980년 6월 주지 덕산 창법스님이 계룡산에서 1,000일 기도를 마치신 후 이곳 노성면 화곡리 옛 절터가 있었다는 마을에 자리를 잡고 불사를 시작하였다. 현재의 대웅전(大雄殿)의 부처님이 모셔진 상단부가 바로 초기의 지장암(地藏庵)의 대웅전으로 약 10여평 정도였다. 1995년에는 영산전(천불전)을 조성하였으며 1997년 선재어린이집을 개원하였다. 2002년에는 극락전과 연화대(납골당)를 중창하였다. 2005년부터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으며,2006년에 사회복지법인 지장원을 설립하고 2008년 노인 전문 요양원인 공주효센터를 개원하여 복지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나눔과 실천을 배우는 체험, 지장정사 산사체험 *

지장정사 템플스테이는 풀냄새 그윽한 농촌의 소박한 사찰에서 차명상, 발우공양, 108배 정진, 참부처만나기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섬세한 사찰예절과 상식에 대한 강의로 시작하여 발우공양, 108배 정진, 차 명상을 통한 쉬우면서도 의미 있는 시간을 준비하였다. 또한 딸기따기, 밤줍기, 방울토마토 따기, 채소밭 체험, 야생화 숲길 걷기등 농촌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 지장정사는 “나눔, 실천이 곧 불성이다” 라는 덕산 큰스님의 가르침에 따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하기 위하여 나눔운동으로 회향을 하고 있다.

국수무료급식 봉사, 독거노인돕기등의 봉사활동으로 회향식을 진행한다. 사찰체험뿐만 아니라 나눔과 봉사에 참여하고자 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봉사체험프로그램도 준비하였다. 지장정사는 해마다 경로잔치를 베풀며, 계절 따라 40여만 마리의 물고기를 방생하며, 독거노인들을 찾아가 봉사하며, 국수를 삶아 시장상인들과 나누며, 눈이오나 비가 오나 일요법회를 봉행하며, 스님들의 밤낮 없는 염불수행으로, 법원스님의 주옥같은 법문으로, 덕산 큰스님의 끊임없는 천일기도 정진으로, 지장정사 불자들의 불심으로 이루어내고 있는 대작 불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