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한국관

한국관

11.3 Km    18451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20
063-538-7790

한국관은 전라북도 정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갈하고 토속적인 맛의 산채정식을 내는 곳이다. 특히 등산을 하고 내려가는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산채정식과 불고기 초회를 맛볼 수 있으며 고소한 도토리묵이나 파전 또한 인기 메뉴이다.

정원한정식

정원한정식

11.4 Km    17493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25
063-538-1232

청결하고 야단스럽지 않은 분위기에 정갈하고 깔끔한 음식맛이 어우러진 곳으로 내장산 일대에서 나오는 자연 산나물과 채소류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든 산채한정식이 대표메뉴인 곳이다. 돌솥산채비빔밥은 내장산을 찾는 외지인이 꼭 한번 맛볼 만한 음식이다. 취나물, 신선초, 당귀, 씀바귀, 더덕잎 등 푸짐한 산나물과 맛깔스런 찌개는 각종 공해에 시달리는 도시인들에게 새로운 미각을 느끼게 해준다.

장성 입암산성

11.4 Km    25795     2024-06-03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 산 20

예로부터 전라남도를 방어하는데 중요한 곳으로 노령산맥에 이어져 전라북도 정읍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성이다. 입암산(해발 626m)의 계곡 능선을 따라 만든 포곡식 산성으로 약 3.2km 정도 남아 있다. 입암산성의 축성시기는 기록이 없으나 삼한시대의 성으로 추측되고 있다. 후백제시대 나주를 왕건에게 점령당한 견훤의 중요한 요새이기도 했던 이곳은 고려 고정 43년(1256) 몽골 6차 침입 때의 격전지였음이 고려사절요에 기록되어 있다. 성의 밑부분은 백제의 양식이며 상부는 조선시대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태종 9년(1409)에 고쳐 쌓고, 이후 성의 폭을 넓히고 낮은 곳을 높이 쌓았다. 남문과 북문은 옛 모습 그대로 남아있다. 성벽은 수직에 가까우며 물을 막아 충분한 양의 물을 준비해 오랜 시간 성을 지킬 수 있도록 한, 조선 후기 방어시설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읍문화원

정읍문화원

1.1 Km    16089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조곡천1길 1

문화원은 지역축제, 민속행사 등 전통문화의 발굴·보존과 각종 문화행사를 주최하는 등 지역 문화진흥을 위한 문화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정읍문화원은 전북에서는 최초로 창립된 문화원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향토문화총서를 발간하여 시민과 고향을 떠난 사람들에게 정신적 자양분을 공급하였고, 정읍시민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향토사 강좌와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국의 사적지를 찾아가는 역사 문화답사 활동도 지속하고 있다. 또한, 향토사 연구 기관지인 [정읍문화], 정읍의 향토 문화지인 [샘고을], 관내 청소년 문화 예술 소식지인 [꽃Book]을 발간하고 있다. 문화학교에서는 샘골공연단, 극단메아리, 청소년 향토사 동아리, 향토사 강좌, 문화 강좌, 향제줄풍류 강좌가 운영되고 있어 지역민들의 큰 호응을 받고 있다.

연자봉

연자봉

11.5 Km    20167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36

연자봉은 정읍 내장산의 봉우리 중의 하나이다. 이곳에 제비 명당이 있다고 하여 연자봉이라고 하였다. 풍수지리상 연자봉을 중심으로 장군봉과 신선봉이 있는 모습이 마치 날개를 펼친 제비모습과 흡사하여 붙여졌다고 전해진다. 장군봉과 1.8Km 거리에 팔각정의 2층 전망대가 세워져 있고, 그곳에서 바라본 내장산은 벽련암을 기준으로 그 위로 서래봉, 왼쪽으로 원적암, 불출봉, 망해봉이 있고 오른쪽에는 월영봉이 있다. 연자봉과 전망대를 쉽게 오르려면 내장산 탐방안내소 인근의 내장산 케이블카를 타고 오르면 된다. 연자봉에서 1.1km 정도 더 가면 내장산 최고봉인 신선봉에 이른다.

대궐식당

11.5 Km    4254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37
063-538-9488

대궐식당은 전북 정읍시 내장산로에 위치한 산채요리 전문점으로 40년 넘게 운영하고 있는 음식점이다. 내장산 골짜기에는 사람의 손을 타지 않은 갖가지 청정 산채가 많고 정읍 사람들은 내장산 곳곳에서 자라는 산채를 즐겨 먹는다고 한다. 대궐식당의 대표 메뉴인 산채비빔밥 또한 고사리, 취나물, 도라지, 더덕, 버섯 외 10가지의 산나물 등 내장산에서 자생하는 각종 산채를 이용하여 만든다. 신선한 재료로 더욱 맛이 좋고 믿고 방문할 수 있다.

신세계회관 (구. 한일회관)

신세계회관 (구. 한일회관)

11.5 Km    13616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41-9
063-538-3515

신세계회관은 산채정식, 갈비탕으로 유명한 집이다. 1960년에 개업하여 주인이 직접 요리를 해왔다. 직접 농사지은 채소와 내장산에서 손수 캔 나물들, 손수 담근 장류로 무려 40종류의 상차림을 마련하는데, 반찬이 너무 많아서 “그릇이 포개져 나오는 집”으로 유명하다. 산생나물, 더덕구이, 홍어찜 등이 상에 오르는 산채정식을 비롯하여 산채돌솥비빔밥, 산채비빔밥 등이 있다. 이외에도 버섯탕, 해물파전, 도토리묵도 있다.

명인관

11.5 Km    12953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41-13
063-538-8981

산나물, 고사리나물, 취나물, 뽕잎, 더덕 등 자연이 선물한 풍부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전라도 향토음식 산채정식이 있다. 명인관 산채비빔밥의 특징은 산채 정식에 표고버섯 매운탕이 추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소고기를 양념장에 잘 버무려 준 후 냄비 안에 각종 재료와 담아놓은 후 표고버섯을 비롯한 각종 버섯들을 담고, 다시다 멸치로 끓인 육수를 부어 재료가 익을 때까지 끓이면 표고버섯 탕이 완성된다. 전라도 버섯 불고기는 각종 채소, 버섯과 함께 고기를 버무린 후 과일을 갈아 만든 특제 불고기 양념을 넣고 주물주물 버무린다. 이때 고기를 연하게 하기위해 키위를 넣는다. 특제 양념을 더한 뒤 뚝배기 양념에 재워둔 고기를 넣고 끓이면 전라도 버섯 불고기가 완성된다.

만석보지

11.5 Km    19426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하송리

이곳은 만석대교와 제방 사이에 위치한 고부군수 조병갑이 쌓은 만석보의 터다. 보(洑)란 논에 물을 대기 위한 목적으로 둑을 쌓고 냇물을 가두어 두는 곳을 말한다. 신태인에서 고부로 가는 약 4km 지점의 동진강을 건너는 다리 하류에는 보뚝을 쌓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주위에는 넓고 비옥한 배들 평야가 펼쳐져 있다. 이 너른 평야에서 1만 석이나 되는 많은 쌀을 거둬들일 수 있다 하여 만석보라 이름하였지만, 굶주리고 착취당해야 했던 농민들의 분노가 서려있기도 하다. 원래 정읍천 상류에는 농민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민보가 있었다. 그런데 조선 고종 30년(1893)에 고부 군수로 부임한 조병갑이 민보 아래에 만석보를 쌓으며 농민들을 강제로 일하게 하였고, 주인의 허락도 없이 큰 나무를 베어 사용하였다. 또한 보를 쌓은 뒤에는 수세 명목으로 많은 세금을 거두어들였다. 결국 1894년 조병갑의 포악한 정치와 과중한 세금으로 힘들어하던 농민들은 만석보를 헐었다. 이는 동학농민혁명의 발단이 되었으며, 1973년 이곳을 기념하기 위해 사적비를 세웠다. 주변 관광지로 만석보 혁파비, 정토사, 정읍 신태인시장, 말목장터와 감나무가 있다.

정읍 피향정

11.5 Km    21506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산로 2951

호남 제일의 정자로 널리 알려진 피향정(披香亭)은 원래 이 정자 앞뒤로 상연지와 하연지라는 연못이 있어 아름다운 경치를 이루었으나 상연지는 일제강점기 때 메워지고 현재는 하연지(태창제)만 남아 있다. 연못에 연꽃이 피면 향기가 주위에 가득하다 하여 피향정이라 했다. 신라 시대에 최치원 선생이 태산 군수로 재임 중에 이곳에서 소요하며 풍월을 읊었다는 전설이 있으나, 정자의 창건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현재의 정자는 조선 시대 중기의 건물로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집이다. 4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고 주위에는 난간이 둘러져 있다. 조선시대 대표가 되는 정자 중 하나로 조선 중기의 목조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어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문화재이다. 해마다 피향정 문화축제에서는 부임 축하연 등의 전통문화를 재현하고 죽력고 시연과 다도 체험을 할 수 있다. 피향정 앞에는 태창제 저수지와 함벽루가 있어 연꽃과 어우러지는 풍경을 배경으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인근 관광지로 태인향교, 태인동헌, 정토사, 고택 문화체험관이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