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자의 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여행자의 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여행자의 집

여행자의 집

8.4Km    2025-04-21

광주광역시 동구 동계천로 137-17 (동명동)

이곳은 여행을 채우고 문화를 더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여행자들이 광주의 관광콘텐츠를 지속해서 소비할 수 있도록 킬러 콘텐츠를 담고, 확장, 생산해 내는 차별화된 여행자 편의공간이다. 현재, 여행자의 집은 광주만의 콘셉트형 관광 브랜딩화를 추진하며, 여행자들이 또 오고 싶은 광주로 도약하기 위해 다양한 킬러 콘텐츠를 확산하고 있다.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

8.4Km    2025-04-18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47번길 22 (양림동)

호랑가시나무 창작소 바로 옆에 위치한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은 ‘아트폴리곤’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다각적이고 다면적인 사고로 접근하는 모든 문화 활동을 허용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이곳은 원래 원요한 선교사 사택의 차고로 쓰였던 10평 남짓한 공간이었는데, 문화예술기획사인 아트주가 원래의 구조를 그대로 살리면서 증축해 현재의 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아트주는 과거와 현재의 시공간을 이어놓은 아트폴리곤이, 양림동의 풍부한 역사 스토리들이 현재의 예술가들과 기획자들을 만나 탄생할 다양한 작품과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채널로 기능하길 기대하고 있다.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은 앞으로 전시, 강좌, 공연 등의 형식으로 다양한 문화예술분야의 프로그램들을 자체 기획 혹은 외부의 제안을 받아 진행할 예정이며, 호랑가시나무 창작소의 참여 작가들이 창작한 성과물 역시 정기적으로 전시할 예정이다.

광주광역시립 사직도서관

광주광역시립 사직도서관

8.4Km    2025-03-21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 56

광주광역시립사직도서관은 지하 2층 지상 5층 건물로 광주사직공원에 맞닿아 있으며 양림미술관과 인접해 있다. 2019년 7월 22일 도서관 3층에 북카페 이음을 개관하였고 열람실 일부를 리모델링하여 지역 주민의 복합문화공간이자 소통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약 250,000개의 책을 보유하고 있다.

양림동 호랑가시나무길

양림동 호랑가시나무길

8.4Km    2025-08-06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225-25(호랑가시나무아트폴리곤)

양림동은 1899년 남 장로교의 선교사 배유지, 오웬 두 사람이 목포에서 광주로 이주하여 전도를 시작했던 지역이다. 그때부터 자라고 있는 호랑가시나무는 현재 철책으로 둘러싸여 보호되고 있다. 양림동 호랑가시나무길에는 옛 선교사 사택과 아트 폴리곤, 호랑가시나무 창작소 등 다양한 문화공간과 관광지가 위치해 있다. 호랑가시나무는 전남 남해안과 제주 서해안에 주로 자생하는 상록활엽수 교목이다. 변산반도가 북쪽 한계선이며 중국에도 분포하나 특히 광주, 전남의 나무라고 할 수 있다. 잎은 두꺼운 가죽질과 광택이 있으며 잎끝에 가시 모양의 톱니가 다섯 개 있다. 꽃은 여름철에 흰빛으로 잎겨드랑이에 모여서 가을에 핵과가 붉게 익는데, 겨울철 눈 속에서도 붉은빛을 띠어 관상수로도 제격이다. 양림동의 호랑가시나무는 높이가 6m 정도이며 근원부의 간주가 115㎝로 이 수종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거목이다. 수관의 너비는 남북 7m, 동서 5m이며 가슴 높이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밤실마을

밤실마을

8.4Km    2024-07-11

광주광역시 북구 밤실로 163-9

밤실마을은 광주광역시 풍향동에 있는 생고기 전문점이다. 생고기가 신선하고 맛있어 광주 맛집, 현지인 맛집으로 유명하다. 식당은 1층과 2층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전부 입식 테이블로 되어 있다. 주문 후 바로 밑반찬이 세팅되는데 깍두기, 김치, 고추, 오이나물 등이 나오고 비빔밥을 시켜도 생고기와 곰탕을 기본 국으로 제공할 만큼 인심이 좋다. 대표 메뉴는 생고기, 육회, 갈비찜, 수육 등이지만 갈비탕, 곰탕, 비빔밥도 인기다. 후식으로 제공하는 식혜도 맛봐야 할 별미다.

손길게스트하우스

8.4Km    2020-03-18

광주광역시 동구 경양로 362-1
062-264-8745

#본 업소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외국인만 이용이 가능하며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아시아문화의전당 1km안에 있는 갤러리와 게스트하우스가 함께 하는 곳 이다.

벗초밥

벗초밥

8.4Km    2025-01-08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순환로 150 (풍암동)

벗초밥은 항상 좋은 재료만 사용한다는 철학으로 요리를 만드는 초밥 전문점이다. 다양한 초밥을 맛볼 수 있는 벗초밥과 반반초밥, 모둠초밥이 인기가 많다. 초밥뿐만 아니라 참치회, 대광어회 등의 생선회 메뉴와 연어롤, 게살롤, 회덮밥 등도 판매하고 있다.

조아라기념관

조아라기념관

8.5Km    2025-04-29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46번길 3-6

‘광주의 어머니’로 불리는 조아라 선생은 민족계몽운동가인 아버지의 영향을 받고 자라 광주 수피아여학교 3학년 때 광주독립학생운동에 참여해 옥고를 치렀고, 졸업 후에도 신사참배 거부 등으로 감옥살이를 했다. 1945년 해방 후 광주 YWCA 총무를 거쳐 명예회장을 지내며 평생을 YWCA 운동에 헌신했다. 한국전쟁 중 전쟁고아를 위한 성빈여사와 불우소녀 가장을 위한 호남여숙을 세웠고 청소년 야학 별빛학원과 성매매여성 직업훈련을 위한 계명여사 등을 통해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도왔다. 광주민주화운동 때는 수습대책위원으로 활동하다 6개월간 투옥되기도 했다. 1980년대 가족법개정운동에 앞장섰고 광주어머니회, 걸스카웃, 광주여성단체협의회 등을 육성·발전시키며 여성들의 권익향상을 위해 앞장섰다. 여성·평화·인권·민주화 운동의 선구자로 평생을 살아온 조아라 선생은 2003년 타계해 국립 5·18 민주묘지에 안치됐다. 광주 YWCA는 2015년 그가 기거했던 곳을 리모델링한 ‘소심당 조아라기념관’을 설립해 뜻을 기리고 있다. 소심당(素心堂)은 속옷을 기워 입을 정도로 검소했던 그에게 허백련 화백이 ‘티 없이 결백하다’는 뜻으로 지어준 호이다. 기념관에는 선생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유물 및 각종 기록물들이 전시돼 생전의 선생의 사랑·정의·평화·봉사 정신 등을 엿볼 수 있다.

컬러브릿지협동조합

8.5Km    2025-07-28

광주광역시 남구 백서로 101-2 (양림동)

컬러브릿지협동조합은 ‘컬러로 세상과 연결하다’라는 슬로건 아래, 컬러를 통해 사람과 지역, 시대를 잇고 일상 속에서 문화와 정체성을 경험할 수 있는 문화예술 플랫폼이다. 광주 근대역사문화마을을 기반으로 한복과 근대 의상 등 다양한 시대의 복식을 대여해주며, 퍼스널 컬러 진단과 이미지 메이킹을 통해 각자의 고유한 색을 찾아주는 활동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금당

금당

8.5Km    2025-05-13

광주광역시 서구 송풍로17번길 15 (풍암동, 수정빌라)
062-384-8808

금당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중식 전문점이다. 지역주민들 사이에서 짬뽕이 맛있기로 유명하다. 차돌짬뽕이 대표메뉴이며, 간짜장, 금당특밥, 탕수육, 유린기 등이 인기 메뉴이다. 넓은 홀과 개별 룸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각종 단체 모임을 하기 좋으며 개별 룸은 예약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다. 주차는 불가능하므로 인근 공영주차장 이용 후 매장에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