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인낚시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영인낚시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영인낚시터

영인낚시터

15.6 Km    3     2023-11-03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영인낚시터는 영인저수지 남쪽과 서쪽 연안에 총 21개의 좌대를 갖추고 있는 낚시터이다. 규모, 수심, 환경이 다양하여 각자 취향에 맞는 좌대를 선택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다. 약 13만 평의 규모를 자랑하며, 낮에는 배를 타고 저수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고기 및 어패류 조리 등 취사행위는 금지되어 있지만 구내식당에서 백숙, 닭볶음탕, 김치찌개, 된장찌개, 제육볶음으로 식사를 할 수 있다. 영인저수지변에는 각종 맛집과 카페가 들어서 있어 함께 즐기기 좋다. 인근 관광지로는 아산만방조제, 삽교천방조제, 아산스파비스 등이 있다.

노진낚시터

노진낚시터

15.8 Km    0     2024-05-16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남양황라로 188-55

수초 사이 수로 안에 있는 붕어들이 입질을 하는 토종 붕어 잡이터이다. 수심은 40~80cm 정도로 남양호에서 직접 붕어를 잡아다 넣는 형식이다. 자리마다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고 갈대, 부들이 잘 발달된 노지 그대로의 장점을 살려 운영하고 있다. 텐트 천막, 방갈로, 노지 낚시터로 구분되어 있고 낚시터에서 운영하는 식당에서 제육볶음, 김치찌개 등의 식사가 가능하다. 매점 주변 화장실은 모두 불이 들어오지 않아 밤에 이용할 땐 직접 손전등을 들고 가야 하며 거품식 화장실을 갖추었다.

평택허브팜

평택허브팜

15.8 Km    2     2024-01-15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석정리

서평택 IC에서 5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평택허브팜은 농업과 원예를 바탕으로 한 친환경 자연주의 농촌교육농장으로 예약제로 운영하고 있다. 5,500평 규모의 가든&팜, 초록의 자연 친화적 공간의 아름다운 정원, 신선한 채소, 과일나무, 허브, 넓게 펼쳐진 잔디밭은 자연의 편안한 아름다움이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편안한 휴식과 즐거움을 선사한다. 테마별 정원을 산책하고 아담한 연못가에서 휴식을 즐기고 다양한 체험학습과 우리농산물 수확의 기쁨을 누리며 쿠킹체험과 가드닝교실, 그리고 자연 그대로의 공간에서 힐링을 느낄 수 있으며, 정원내에는 평택농부카페가 있다. 팜파티나 가족과 함께하는 다양한 가든파티, 가족 단체 행사를 할 수 있으며,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개인 및 단체의 전문 맞춤 체험 프로그램도 가능하다.

아산레일바이크

아산레일바이크

15.9 Km    5894     2023-12-09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아산만로 199-7

아산레일바이크는 1922년에 개통되었다가 2007년에 직선화로 인해 폐선된 옛 장항선 도고온천역 구간을 활용한 레일바이크이다. 이곳에서는 옛 도고온천역을 출발해 도고온천단지와 가까운 도고온천모두캠핑장까지 다녀오는 왕복 4.8km 구간(약 40분)에서 레일바이크를 즐길 수 있다. 레일바이크를 타면서는 1960년대 말 소도시, 농촌 풍경을 보다 가까이에서 관람할 수 있는데, 봄에는 노란 꽃망울, 여름에는 초록의 물결, 가을에는 황금벌판, 겨울에는 순백의 광야를 뚫고 달릴 수 있다. 마지막 400m는 자동 운행구간으로써 이 구간에서는 페달을 밟지 않고 편하게 즐길 수 있다. 한편, 출발지 및 종착지인 옛 도고온천역에는 승강장에 재미있는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고, 40인 이상 단체를 기준으로는 피자 만들기 체험 예약도 받고 있다. 주변에는 도고온천, 도고온천모두캠핑장, 아산글램핑캠핑장, 도고저수지, 선장저수지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바이크 반환점 인근의 옛 선장역은 가로수가 아름다운 간이역으로 이름나 있다.

영인석불

영인석불

16.0 Km    23476     2023-12-08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영인로96번길 16-6

아산시 영인면에 있는 석불입상으로, 화강암 판석 한 판을 높이 265㎝, 너비 87㎝로 조각하였다. 목에 시멘트로 보수한 흔적이 있는데, 전하는 말에 의하면 청일전쟁 때 석불의 목 부위가 잘린 채 방치되다가 1945년에 보수한 것이라 한다. 머리에는 관(冠)을 쓰고 있으며, 계란형의 얼굴은 양 볼이 통통하게 표현되었다. 당당한 체구에 옷은 왼쪽 어깨만을 감싸고 있는데 옷 주름은 마모로 인해 자세히 보이지 않지만, 배 아래에는 옷 주름을 표현한 흔적이 보인다. 왼손의 손바닥에는 동그란 구슬이 올려져 있으며, 오른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오른쪽 가슴 앞에 올려놓고 있다. 불상의 조각 솜씨나 머리에 쓴 관의 형태, 얼굴 모습 등으로 볼 때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영인석불은 전체적인 조형미가 아름다워서 아산 지역에서 가장 아름다운 불상으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 영인석불 옆에 영인오층석탑이 나란히 서 있다.

도고온천모두캠핑장

도고온천모두캠핑장

16.0 Km    0     2023-11-02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도고온천로 207-20

덤바위 캠핑장은 충북 진천군 문백면에 자리 잡고 있다. 진천군청을 기점으로 자동차로 20분 거리다. 이곳은 고즈넉한 시골길을 달리다 보면 다다르는데, 캠핑장에 들어서면 싱그러운 숲속에 조성한 캠핑장이 캠퍼를 반긴다. 캠핑장에는 일반 야영장 40면을 마련했다. 바닥은 모두 파쇄석으로 이뤄졌으며, 사이트 크기는 가로 6m 세로 7m다. 나무로 둘러싸여 프라이빗한 공간이 있는 반면, 앞이 탁 트인 사이트도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 트레일러와 카라반 동반 입장은 불가능하며, 소형견에 한해 캠핑장 출입이 가능하다. 사계절 내내 운영하며, 예약은 온라인 실시간으로 받는다. 캠핑장에서 청주, 증평, 음성으로의 접근이 용이해 연계관광이 순조롭다. 증평군청 방면으로 나가면 여러 음식점이 성업 중이라서 맘에 드는 요리도 맛볼 수 있다.

[백년가게]이화횟집

[백년가게]이화횟집

16.1 Km    1     2023-08-11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화길 2
031-358-0807

1980년도부터 1대 창업주 박영숙 대표자가 40년째 운영 중이며, 산낙지를 이용하여 전골, 탕, 탕탕이로 요리하는 노포이다. 일반 집을 개조하여 운영하는 곳으로 마치 집밥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 반찬들과 푸짐하게 들어 있는 산낙지 요리를 만날 수 있다.

아산코미디홀

아산코미디홀

16.1 Km    5     2023-09-25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아산만로 171

아산코미디 홀은 아산시 직선화 사업으로 도고온천역이 이전하면서 마을이 쇠락하자 아산시가 마을 살리기에 나서면서 만들어졌다. 최첨단 무대 시스템과 최적의 관람 환경을 갖춘 공연동, 코미디 갤러리가 있는 전시동, 아름다운 석양을 바라보며 차 한잔할 수 있는 카페로 구성되어 있다. 총 260석 규모의 공연장은 다양한 개그 공연과 어린이 연극 등을 관람할 수 있는 문화 공간이다.

여민뜰

여민뜰

16.1 Km    1     2024-01-31

충청남도 아산시 여민루길 62

여민뜰은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에 있는 한옥 음식점이다. 예스러운 멋을 풍기는 외관과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보리굴비, 더덕구이, 떡갈비 등이 상에 오르는 법성포 보리굴비 한상이다. 강원도산 생곤드레를 맛볼 수 있는 영월 곤드레솥밥, 다섯 가지 과일청으로 맛을 낸 제육쌈밥과 보리된장도 별미다. 이 밖에 한우떡갈비, 한방토종백숙 등도 판다.

아산향교

아산향교

16.2 Km    23278     2023-11-13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여민루길 82

조선시대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1575년(선조 8)에 아산리 동쪽 향교골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고, 1864년(고종 1)에 중수하였다. 경내건물로는 대성전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이 향교의 대성전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