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Km 2024-12-05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연하로 45
062-385-8888
광주광역시의 신도시 상무지구에 위치해 있다. 가격은 모텔급, 시설은 호텔급, 청결은 특급호텔급의 자부심으로 객실은 은은한 조명과 각각 이색적인 분위기로 편안함과 즐거움을 주는 모텔로 전 객실에 대형 벽걸이 TV(PDP)와 천정형 에어컨, 일부 객실에 월풀 욕조, PC(VOD)를 두어 젊은 이용객에게 호감을 주며 주변에 대형 위락장이 있어 이용에 편의성과 즐거움을 도모한다.
17.9Km 2025-04-02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자유로 149
062-717-7000
2008년 10월에 그랜드 오픈한 라마다플라자 광주호텔은 전 세계적으로 7천여 개의 프랜차이즈 호텔과 58만 개의 객실을 소유하고 있는 세계적인 체인 업체인 미국의 ‘WYNDHAM HOTEL GROUP’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고급스럽고 우아한 외관 디자인, 고급 자재의 인테리어, 다양한 부대시설 그리고 운영진의 서비스 정신 등 모든 부분에서 우수한 판정을 받아 ‘RAMADA’ 브랜드 중 최상급 호텔에 주어지는 ‘PLAZA’라는 칭호를 얻은 광주 유일의 특1급 호텔이다. 호남 광주의 자부심, 라마다플라자 광주호텔은 도시 전체를 빛낼 호텔 외관과 고품격 인테리어 시설, 각 분야 최고의 스페셜리스트로 구성된 인적자원, 세계적 수준의 서비스와 지역사회를 선도할 호텔 문화를 이룩해 나가고 있다. 광주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상무지구의 ‘랜드마크’로서 자리매김한 라마다플라자 광주호텔은 지하 3층, 지상 17층의 규모로 고품격의 객실 123개를 갖추고 국내외 VIP고객의 기대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설계,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세계적인 수준에 맞추었다. 호텔의 건축 외관과 객실 인테리어 설계는 호주 시드니의 ‘ISM DESIGN Co.’이 맡아 모던함과 실용을 돋보이게 했고, 또 호텔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로비와 스카이라운지는 세계적인 인테리어 전문 설계 업체인 일본의 ‘SUPERPOTATO’가 디자인 설계를 맡아 자연과 인공이 조화를 이루는 절제된 미학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탄생시켰다. 광주의 자존심으로 우뚝 서게 될 라마다플라자 광주호텔은 고품격 호텔로서뿐만 아니라 종합문화공간으로도 그 역할을 다할 것이며 ‘작은 것에서부터 지역과 함께 성장한다’는 경영이념 아래 특1급 호텔로서의 고품격 호스피탈리티 서비스를 몸소 실천할 것이다.
17.9Km 2025-07-31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평화로 137
062-374-8760
[중소벤처기업부 2018년도 ‘백년가게’로 선정] 살이 꽉 찬 간장게장과 달달하면서도 끝 맛이 매콤한 양념게장이 인기 있는 곳이다. 흰밥에 게장을 올려 김에 싸 먹기 시작하면 밥 두 공기는 거뜬하게 먹게 된다. 좋은 식재료가 음식의 질과 맛을 결정한다는 철학을 가지고 요리를 만든다. 넓은 매장과 체계적인 서비스로 가족 단위나 모임에도 적합한 곳이다.
17.9Km 2025-07-10
광주광역시 서구 학생독립로 30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은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기념하기 위한 기념관과 도서관, 기념탑 등을 조성해 운영하고 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의 관련 사료를 수집하여 전시하는 도서관과 학생독립운동을 널리 알리는 여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기념관, 광주학생독립운동 당시의 단결된 선열들의 의지를 상징화하고 있는 39m 높이의 기념탑과 야외 원형 무대로 구성되어 있다. 2,556.6㎡ 면적의 지하 1층, 지상 2층 구조로, 1층에는 참배실과 회의실, 관리실이 있으며, 2층에는 전시실과 휴게실, 영상실 등이 있다. 종합자료실·디지털자료실, 어린이실·북카페·장애인실 등의 부속 시설을 갖추고 있다.
17.9Km 2024-11-14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연하로 46
062-382-7700
마스터스관광호텔은 최신식 인테리어로 준비된 객실과 부대시설을 갖추고 고객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객실은 보다 현대적인 감각으로 안락하게 꾸며져 있으며 다양한 콘셉트로 고객 취향에 한 걸음 더 다가가고자 노력했다. 고품격 인테리어와 차원이 다른 서비스로 고객 감동 그 이상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또 말끔하고 안락한 로비의 비즈니스센터, 전통 독일식 제조맥주의 시원한 맛과 라이브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뮌헨브로이, 편안한 만남의 장소로 전면창이 시원한 커피숍이 항상 고객을 맞이하고 있다. 다양한 서비스로 최고의 호텔 문화를 선도해 나갈 마스터스관광호텔은 늘 고개에게 빠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 편안하고 실용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고객이 호텔에 머무르는 동안 불편함이 없도록 전 직원이 고객의 소리에 귀 기울여 최상의 정성과 서비스로 고객 감동의 품격 높은 호텔로서의 명성을 이어가고자 노력하고 있다.
18.0Km 2025-01-20
전라남도 함평군 영산로 3280
무안 IC에서 3분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좋은 브런치 카페로 자연과 어우러진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곳이다. 넓은 주차장과 테라스가 마련되어 있으며, 다양한 브런치 메뉴와 수제 디저트가 있어 가족 단위 손님들이 즐겨 찾는다. 인루트는 환경 보호를 위해 모든 음료를 다회용 컵에 제공하고 있다. 하얀색 벽돌의 건물이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 사진 명소로도 유명하여,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에스프레소 바나나, 자몽에이드를 비롯한 각종 커피, 음료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자산서원, 봉산대첩화승비 등의 유적지가 주변에 있어 연계 관광하기 수월하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목줄 착용, 배변봉투 지참)
18.0Km 2024-11-04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기산길 163-16
함평문화원은 1965년 설립된 곳으로, 지역사회의 문화 개발 및 문화 진흥을 목적으로 생겨났다. 향토사를 조사 수집, 향토 민속과 민속행사를 발굴 및 지원하고 지역 문화행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또한 문화 교실을 통한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생활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주된 사업내용으로는 향토 고유문화 보존과 전승, 향토 사료 수집 보존, 지역사회 교육, 전시 활동, 지역 문화개발, 충효 교실 운영, 문화 가족화 운동 전개 등이 있다. 함평문화원의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를 돕는 문화학교 강좌로는 문인화, 일본어, 사진, 민요교실이 있다. 그리고 문화원 행사로는 군민화합을 도모하고 지역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하는 함평문화제와 문화유산을 방문하고 문화재 정화 활동을 실시해 문화재 보존 의식을 함양하는 문화재 보호대회 등이 있다.
18.0Km 2024-10-25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곤재로 688
정개청이 1589년 일어난 기축옥사(정여립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세상을 떠나자 그의 문인들이 스승의 신원운동을 전개하면서 1616년 건립하였다. 1678년 조정으로부터 자산서원이라는 사액을 받았으나 계속되는 남인과 서인의 당쟁으로 훼철과 복설(復說)을 되풀이하였다. 이후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이르기까지 무려 5차례의 훼철을 당하였고 8·15 해방 이후 1957년에 복설 된 뒤 1988년 대규모의 복원공사를 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1987년 6월 1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정개청 문집 《곤재 우득록(愚得綠)》 목판이 소장되어 있다.
18.0Km 2025-07-18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기각리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는 우리나라 난대성 식물 중 붉가시나무의 자생북한계지대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 자생하는 붉가시나무는 1962년 12월 7일에 천연기념물 제110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차지하는 면적은 33㎡이며, 부락 집 뒤에 울타리와 같이 자라고 있으며 높이는 8m, 수관의 너비가 5m 정도이다. 목재의 빛깔이 붉다는 뜻에서 붉가시나무라 불리게 되었으며, 재질이 단단하고 잘 쪼개지지 않아 가구나 선박 등을 만드는데 이용된다. 붉가시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늘푸른 넓은 잎나무의 난대성식물로 추위에 약해서 주로 산기슭과 계곡의 양지에서 자란다. 제주도와 남쪽 해안지방에 주로 분포하지만, 육지에서는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이 붉가시나무가 자라는 북쪽 한계선이 되기 때문에 식물분포학상 보존가치가 커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