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잔한 식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잔잔한 식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잔잔한 식탁

11.9 Km    0     2024-01-22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삼랑성길 (7, 라인빌딩)

잔잔한 식탁은 강화 금품양조장 바로 앞에 위치한 한식당이다. 강화도 특산물로 만든 요리와 한국 전통주를 소개하는 매장으로 낮에는 밥상, 저녁에는 술상으로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갈비찜이 맛있기로 유명한 로컬 맛집이다.

무태돈대

11.9 Km    17351     2023-11-16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창후로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에 있는 무태돈대는 조선시대의 돈대이다. 돈대는 해안가나 접경지역에 쌓은 소규모 관측, 방어시설이다. 강화도는 예부터 해안 방어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1679년(숙종 5) 당시 병조판서 김석주에게 강화도를 돌아보게 한 뒤에 48개의 돈대를 쌓게 했는데, 무태돈대도 이때 만들어졌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인화돈대, 광암돈대, 귀등돈대, 작성돈대와 함께 무태돈대는 인화보의 관리 아래 감시소와 방어진지로서 역할을 했다. 직사각형 형태인 무태돈대는 둘레 210m 성곽 폭은 2m이며 해안을 향해 포좌 4문을 설치했으나 동쪽과 서쪽의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있으나 남쪽 성벽은 하부만 남아있어 최근 새로 상부를 쌓았다.

서해 황금들녘길

서해 황금들녘길

11.9 Km    2845     2023-08-10

제방길로 들어서면 양쪽의 벌판과 바다풍경을 보며 걷는다. 계룡돈대에서의 휴식 후 용두레마을의 소담스런 시골풍경을 감상하고 덕산산림욕장의 고비고갯길로 들어서면 숲이 반긴다. 몸과 마음을 열고 잠시 자연과 소통해 본다. 곶창굿당에서 잠시 쉬면서 외포항을 감상할 수 있다. 수산물센터에 이르면 방금 자연에서 돌아와 세속에 있음을 느끼게 될 것이다.

드리우니

드리우니

11.9 Km    1     2024-02-19

인천광역시 강화군 마니산로 106

드리우니는 강화도 길상면 길상 119 안전센터 맞은편에 있는 디저트 카페다. 매장 앞에 주차장이 있어 차량 이용에 편리하다. 대궐 모양의 큰 한옥으로 대문부터 매장 입구까지 정원이 조성되어 있다. 창가 쪽엔 주로 4인 테이블이 있고 중앙에 단체 손님을 위한 긴 테이블이 있다.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 자리도 있고 외부 테라스도 마련되어 있다. 메뉴는 커피, 핸드메이드 티 앤 에이드, 드리우니 시그니처, 라테류 스무디류, 디저트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 메뉴는 대추차, 카스텔라 수제 찹쌀 경단, 드리우니 눈꽃 팥빙수, 인절미 앙버터 모나카이다.

금풍양조장

11.9 Km    0     2024-05-21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랑성길 8

3대째 이어져 오는 전통이 살아 숨 쉬는 금풍양조장은 3대째 이어오고 있는 강화도 전통주의 역사이다. 100년 전통의 막걸리는 강화도 최고의 친환경쌀을 원료로 하여 고급화 과학화를 위해 정진하고 있다. 금풍양조는 2021년 강화도 최초로 지역특산주(탁주, 약주) 면허를 획득, 지역원료 소비와 세계화 주류제조라는 목표를 가지고 전진하고 있으며, 특징적인 것은 쌀포대를 업사이클링 한 패키지를 제작하여 새로운 이목을 끌고 있다.

서울 근교 강화 당일치기 여행 코스

11.9 Km    2     2023-01-17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랑성길 8

서울 근교 한적한 강화도에서 여행을 즐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당일치기 코스를 소개한다. 막걸리 체험을 즐길 수 있는 금풍양조장, 사적으로 지정된 대한 성공회 강화성당, 유서깊은 전등사까지 즐길 수 있는 강화도 여행코스이다.

계룡돈대

11.9 Km    17456     2023-11-17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에 있는 소규모 관측·방어시설로 1995년 3월 1일 인천광역시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옛날에는 규모가 큰 군사시설을 진이라 하고 작은 것은 돈대라 하여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돈대를 설치해 적군의 침입을 감시하고 싸우기도 해서 오늘날의 초소라 할 수 있다. 현재 강화도에는 53개소의 돈대가 남아 있는데, 1679년(숙종 5)에 설치된 것이다. 계룡돈대는 경상도 군위(軍威)의 어영군사(御營軍士)들이 축조한 돈대로, 강화 53 돈대 중 유일하게 축조연대가 표시되어 있다. 석축 하단 출입문 쪽에 강희 18년 군위어영 축조(康熙十八年軍威禦營築造)라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다. 돈대 쌓은 시기를 알 수 있는 귀중한 명문이다. 둘레가 108m인 방형 구조로 석벽 높이는 290㎝~670㎝로 해변을 향해 정면으로 외적을 볼 수 있다. 광대돈대라고 불리기도 하며 망월(望月)돈대와 함께 직접 영문(營門)에서 관할했다.

학생분식

학생분식

11.9 Km    1     2022-09-16

인천광역시 강화군 온수길 17-2 학생분식

학생분식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에 있다. 이북식 만두 전문점으로 칼만둣국과 떡만둣국이 있고 칼국수나 콩국수도 인기 메뉴이다.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달인으로 소개될 만큼 김치만두의 달인이 직접 운영하는 곳이다. 만두는 자극적이지 않고 국물 맛은 담백하다. 공깃밥은 없고 반찬으로는 묵은지, 열무김치가 나온다. 만두는 계절 메뉴로 가을부터 봄까지만 판매하고 있으며 그마저도 재료 소진 시 영업시간과 관계없이 마감한다. 모든 메뉴는 포장이 가능하다. 시간 맞춰 가도 대기하는 경우가 많다. 식당 인근에는 동막해수욕장, 전등사, 골프장, 박물관, 워터파크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이 가능하다.

석포리선착장

석포리선착장

11.9 Km    0     2023-09-19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삼산북로 4

강화도 외포항에서 서쪽으로 1.5㎞ 해상에 있는 석포리선착장은 석모도에서 가장 큰 선착장이다. 강화도 외포리선착장에서 페리를 타면 10분 이내에 석포리선착장에 도착한다. 선착장에는 석모도 농수산물젓갈시장이 있어 새우젓이나 말린 망둥어, 순무김치 등 석모도에서 나는 특산물을 살 수 있다. 횟집을 비롯한 일반 식당과 슈퍼와 낚시를 겸하는 가게도 있다. 강화나들길 11코스인 석모도 바람길과 상주해안길이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석포~상주 간, 석포~매음리 사이와 보문사나 등산로, 민머루 해수욕장을 운행하는 마을버스도 여기서 출발한다. 외포항에서 석모도 가는 배는 평일에 매 정시와 30분에 출항한다. 외포리항에서 지불한 금액이 왕복 요금이므로, 석포리선착장에서 외포리항으로 갈 때는 외포리항에서 끊은 표를 보여주면 된다. 평일에는 한산한 편이지만, 주말에는 방문객이 많아 대기시간이 길어지기도 한다.

석모도

12.0 Km    400340     2024-05-08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석모리

석모도는 강화군 외포항에서 서쪽으로 1.2km 떨어진 섬으로 수도권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진 유명한 관광지이다. 강화대교와 초지대교가 있어 찾는 이들이 많다. 석모도는 면적 42.841km2, 해안선 길이 41.8km이고, 최고점은 상봉산(316m)이다. 해명산(309m), 낙가산(267m), 상봉산(316m) 등 높은 산이 연결되어 있으며, 1,138가구 2,216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 곳이다. 백사장 길이가 1㎞에 달하는 민머루수욕장에서 갯벌체험과 캠핑이 가능하며, 인근 항구에서 배를 타고 바다낚시도 즐길 수 있다. 관음성지로 유명한 보문사에는 눈썹바위에 새겨진 마애관음좌상이 유명하며, 이곳에서 바라보는 일몰이 일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