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광동 사과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평광동 사과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평광동 사과마을

평광동 사과마을

6.4Km    2025-03-17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116길 37

평광동에 처음 터를 잡은 사람은 우익신이라는 단양 사람이다. 그는 임진왜란을 피해 남쪽으로 내려왔는데, 평광동의 아름다운 경치와 기름진 땅에 감탄하여 터를 일구었다고 한다. 오늘날에도 평광동 사과 마을 대다수 사람이 단양 우씨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평광동사과마을은 115년 전통의 대구 사과 재배지이며, 마을에 사는 192 가구 중 140여 가구가 사과 재배를 한다. 1960~70년대 대구는 전국에서 가장 유명한 사과 산지로, 전국 수확량의 80%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점차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재배 농가가 줄기 시작했고, 기후의 변화로 인해 사과 재배지가 중부지방으로 북상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광동사과마을은 지금까지 대구 사과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사과는 평광꿀사과로 불린다. 마을에는 국내 최고 수령인 홍옥 사과나무도 있고, 효자 강순항나무로 불리는 왕버들나무(수령 약 200년)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평광동사과마을은 강순항 정려각을 비롯해 첨백당과 광복소나무, 모영재 등 다양한 볼거리와 함께 봄이면 사과꽃 향기로 아득하고 가을이면 사과 따기 체험행사도 열려 주말 산책과 가족 나들이 장소로 추천되고 있다.

온화하고 경건하게, 천주교 성지 여행

온화하고 경건하게, 천주교 성지 여행

6.4Km    2023-08-11

한티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에 위치한 해발 600m가 넘는 깊은 산골이다.

명산한우식육식당

명산한우식육식당

6.5Km    2024-01-22

대구광역시 동구 서촌로 122

명산한우식육식당은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에 있는 한우구이 전문 식당이다. 17동의 황토 방갈로가 있어 단독 룸 안에서 개별 식사를 할 수 있다. 가족 모임이나 단체 회식을 할 수 있는 단체석도 있다. 대표 메뉴는 한우1++특갈비살이다. 매장에서 직접 원하는 고기를 원하는 양만큼 주문한 뒤 배정받은 식탁이나 방갈로에서 구워 먹는다. 손님상에 올리는 각종 채소는 직접 재배한 것을 사용한다.

트리팜

트리팜

6.5Km    2024-12-24

대구광역시 동구 서촌로 133

트리팜은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에 있다. 소나무가 우거진 숲속에 있어 자연 친화적인 느낌이다. 모던한 느낌의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도 돋보인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멜팅 버터 토스트다. 이 밖에 아메리카노, 라떼, 바닐라 라떼, 플랫화이트, 아포가토 등을 맛볼 수 있다. 파군재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팔공산도립공원, 신숭겸장군유적지, 대구섬유박물관이 있다.

원효암(경산)

원효암(경산)

6.5Km    2025-06-27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로 386-73

원효암은 통일 신라 시대 원효대사(617~686)가 창건한 사찰로 전해지며, 경산시 와촌면 팔공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의 말사이다. 원효암 뒤에 사시사철 찬물이 나는 샘이 있어 냉천사라고도 불린다. 원효암 뒤 북쪽으로 난 산길을 따라 올라가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경산원효암마애여래좌상이 있다. 1980년에 대웅전과 삼성각을 건립하였다. 1986년 대화재 이후 극락전과 산령각을 다시 건립하였고, 2016년에 아미타불상만 봉안하였던 극락전에 협시로 관세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을 봉안하는 아미타삼존불 점안불사를 하였다.

하늘천따지 본점

하늘천따지 본점

6.5Km    2024-08-05

대구광역시 동구 서촌로 129

하늘천따지 본점은 오리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이다. 대표 메뉴는 생오리를 숯불에 구워서 손님상에 내는 생오리 숯불구이다. 이외에 생오리 불고기 양념, 오리 훈제 바비큐 등도 맛볼 수 있다. 내부에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모임을 하기에 적합한 장소이며 예약이 가능하다. 전용 주차장이 있어서 주차에 불편함이 없다. 인근에 팔공산이 자리 잡고 있어 식전이나 식후에 등산을 즐기기에 좋다.

고향차밭골

고향차밭골

6.6Km    2024-01-19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339

고향차밭골은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에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한국을 대표하는 소박한 한상차림으로 우수 문화 상품에 선정된 곳이다.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생 정보통에도 소개되었다. 깔끔한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차밭골정식이다. 고등어조림, 명태조림, 보쌈, 나물, 시래기된장국 등 여러 가지 음식이 상에 오른다. 파군재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팔공산도립공원, 대구동화사, 팔공산케이블카가 있다.

한티재

한티재

6.6Km    2024-11-28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한티로 1245

한티재는 팔공산에서 가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에 있는 고개이다. [한티]는 높고 큰 고개를 뜻한다. 팔공산에서 가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는 팔공산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정상부의 남사면과 북사면이 모두 가파르다. 이러한 경사 극복을 위해 한티재를 넘는 길에 많은 굴곡을 만들었다. 한티재는 지역을 탐방하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건설한 고개로서, 팔공산의 경치를 살리고 관광 도로로서의 기능을 높이기 위하여 자연친화적으로 건설하였다. 팔공산의 아름다운 경치와 굽이굽이 휘감아 도는 도로의 굴곡이 아름다워 건설교통부에서 선정한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되었다.

팔공산심천랜드

6.6Km    2024-08-22

대구광역시 동구 서촌로 145 (송정동)

팔공산 근처에 자리하고 있는 팔공산심천랜드는 2005년 온천으로 지정되었다. 자연 용출 온천은 아니지만 지하 704m에서 퍼 올리는 천연 알칼리 100% 온천수를 사용하여 인체에 이로운 광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수질이 매우 맑고 부드러운 특징이 있다. 이곳은 천연 알칼리 온천 욕탕과 건식·습식 사우나, 자연 속 새소리와 바람을 느끼며 즐길 수 있는 노천탕, 황토 찜질방을 운영하여 여유로운 휴식을 돕는다. 또한, 온천과 연결된 식당은 외부에서도 식사가 가능해서 여유를 즐기며 식사도 가능하다. 팔공산의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칼국수, 수제비, 매운 부추전, 감자전 등 맛있는 음식을 맛보며 수질 좋은 온천을 즐기며 몸과 마음의 휴식을 느끼게 해 주는 곳이다. 주변 관광지로는 팔공산 자연공원, 동화사, 파계사, 갓바위, 가산산성 등이 있으며 특히 팔공산자연공원 내 숙박과 식당 등이 다양하여 온천 이용 후 여가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다.

모영재

모영재

6.6Km    2025-06-16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 905 (평광동)

모영재는 1931년에 건립된 평산 신씨 문중의 재실로, 고려 개국공신 장절공 신숭겸 장군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모영재(慕影齋)’는 영각(影閣)을 추모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 재실은 남서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정면 4칸, 측면 1.5칸 규모의 일(一) 자형 건물로, 홑처마 맞배지붕 구조를 갖추고 있다. 평면 구성은 좌측부터 2칸 온돌방, 1칸 대청, 1칸 온돌방 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반 칸 규모의 툇간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2칸 온돌방은 실내에 두 짝 미서기문을 달아 공간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건물 뒤편에는 1832년(순조 32년), 후손 신정위가 신숭겸 장군의 공덕을 기려 세운 신숭겸영각유허비가 세워져 있다. 모영재는 일제강점기 영남 지역 문중 재실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특히 건물의 지붕 형식이 향교 사당인 대성전과 같은 맞배지붕을 채택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매년 음력 9월 9일에는 평산 신씨 문중에서 합동 향사가 거행되고 있다. 모영재가 위치한 평광동 입구에서 모영재에 이르는 길은 왕건의 도피로였던 것으로 전해지며, 왕건임도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주변에는 첨백당이 자리하고 있으며, 팔공산 올레길 4코스 ‘평광동 왕건길’에 속한다. 평광동은 사과마을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효자나무를 비롯한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풍부한 관광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