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고재 안동(하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락고재 안동(하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락고재 안동(하회)

락고재 안동(하회)

17.9Km    2024-08-01

경상북도 안동시 하회강변길 51
054-857-3410

안동 하회마을 나루터 앞에 위치한 락고재는 4개 동의 초가로 구성되어 있다. 객실마다 개별 욕실이 있고 문간채에는 황토 찜질방이 있어 건강하고 편안한 안식처가 되어준다. 저녁이면 하회마을을 품고 있는 별빛과 달빛이 아름다운 추억을 선사한다. 숙련된 사공의 나룻배를 타고 강을 건너 부용대를 오르면 수백년의 역사를 품은 하회마을 전체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락고재 옆 천연기념물 제473호 ‘만송정’ 솔숲을 걷노라면 심신이 상쾌해진다.

옥연정사

옥연정사

17.9Km    2024-12-20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솔밭길 86
054-854-2202

옥연정사는 안동 한옥마을에 위치해 있다. 1979년 1월 23일 중요민속자료 제88호로 지정되었다. 비망록을 집필한 서애 류성룡이 머물렀던 고택으로 역사와 전통을 지녔다. 오래된 고택이지만, 리모델링을 통해 편의성을 높였다. 원락재 내에는 실내 화장실이 있다. 에어컨, 냉장고, 블렌딩 커피, 전통차 등 물품이 비치되어 있다. 옥연정사에서는 고택체험을 운영하고 있다. 부용대, 간죽문, 옥연정사까지 함께 걸으며 약사와 전통을 느낄 수 있다. 오전 8:30-9:30까지 조식을 제공한다. 충효당, 부용당, 월영교, 봉정사, 병산서원, 안동하회마을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영모각

영모각

17.9Km    2025-07-09

경상북도 안동시 하회종가길 69

하회마을 내에 위치한 영모각에는 임진왜란 때 영의정으로서 국난을 슬기롭게 극복한 서애 류성룡 선생의 유물을 보존, 전시하고 있다. 충효당 사랑채의 오른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6년 6월에 개관하였으며 1977년 6월에 한옥으로 신축하였다. 징비록(국보 132호)을 비롯하여, 보물 160호(류성룡 종손가 문적 11종 22점)와 보물 460호(류성룡 종손가 유물 중 일부)가 전시되어 있다. 보물 460호는 류성룡 선생이 직접 쓴 글과 선생의 어머니에 관한 곤문기, 그리고 조정에서 선생에게 내린 여러 문서 등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주변의 병산서원, 화동고택, 만송정숲과 함께 방문하길 권한다.

하중재

하중재

17.9Km    2022-12-27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종가길 59
010-8428-2023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위치한 고즈넉한 한옥 민박으로 조용히 쉬어가기 좋은 곳이다.

하회 북촌댁

하회 북촌댁

17.9Km    2024-11-26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북촌길 7
010-2228-1786

안동 하회 북촌댁은 문신 류사춘이 정조 21년에 처음 건립하여 철종 13년에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하회에서 가장 큰 규모의 가옥이다. 객실로 큰 사랑방인 북촌유거, 중간 사랑인 화경당, 작은 사랑인 수신와가 있다. 하회마을을 감싸고 도는 낙동강의 형상으로 성장한 300여 년 된 소나무의 모습이 일품이다. 독도와 간도가 우리 영토로 표기된 도성팔도지도, 임금이 하사한 세화 등 귀중한 유물도 있어 유서 깊은 고택을 만끽할 수 있다.

모지고택

18.0Km    2024-11-26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남촌길 33
054-853-2388

87년 민속마을로 지정되기 이전부터 전통민박을 하고 있다.

안동시역사문화박물관

안동시역사문화박물관

18.0Km    2024-11-19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가일선원길 73

2019년 향토사학자 권영호 관장에 의해 개관한 안동시역사문화박물관은 폐교된 풍서 초등학교에 위치해 있다. 40여 년간 향토자료를 수집한 관장의 사설 박물관으로, 1988년 한 청년이 태종과 효령대군의 친필과 내력이 적힌 자료를 판매하려는 것을 보고 귀중한 자료가 외부에 유출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고서와 유물 수집을 시작했다고 한다. 그 양이 수만 점에 이르러 많은 사람과 이를 공유하기 위해 교실을 전시실과 수장고로 리모델링하여 박물관을 개관하였다. 각종 고문서류와 전적류, 민속자료, 근·현대 자료, 초등 교육자료 등의 1만여 점을 테마별로 전시하고 있다. 1960~1980년대에 주로 사용했던 검정 고무신과 공중전화 등 생활용품은 물론 일제강점기, 조선시대 등에서 사용됐던 다양한 유물들도 전시되어 있어 학자들에게는 연구 자료로, 청소년들에게는 교육자료로 활용되는 공간이다.

가경재

가경재

18.0Km    2024-12-20

경상북도 안동시 하회남촌길 69-5
054-855-8552

가경재는 안동 하회마을 남쪽에 자리한 초가 한옥이다. 객실은 총 5개로, 안채는 중앙 툇마루를, 사랑채는 중앙 마루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군불황토방은 제일 인기가 좋은 객실로, 최소 2일 전에 예약해야 아궁이에 불을 지펴준다. 객실 곳곳 창호지 바른 창 너머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자연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한옥이지만 에어컨을 설치해 이용객의 편의성을 높였고, 여름철에는 에어컨 이용료가 부과된다.

춘우재고택

춘우재고택

18.0Km    2025-06-26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맛질길 101
054-655-1717

춘우재고택은 경상북도 예천군에 위치해있다. ‘ㅁ’자형 구조의 본채와 정면 3칸, 측면 2칸의 사당, 바깥 마당, 외담 등으로 이루어진 고택은 전형적인 농가의 모습과 오랜 종택의 위엄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춘우재고택 마당에는 각종 과실나무와 보리수, 국화꽃 등이 심어져 있는데, 집 밖에 흐르는 작은 개울과 마당의 풍경이 전원의 아름다움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외담 앞에서 자라는 노란 국화는 우리나라 토종 품종으로 10대손 조상인 섬계(剡溪) 선생 때부터 지금껏 기르고 있으며, 해마다 꽃잎은 차 재료로, 가지는 국화주를 담글 때 사용한다. 전통 장 담그기 체험을 운영하고 있다. 금곡서원, 예천 금당실마을, 예천권씨 병암점 및 별묘, 청룡사, 예천향교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직접 만든 음식으로 차린 조식을 제공하고 있다.

청암서원

청암서원

18.1Km    2024-11-13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예주3길 29-32

청암서원은 류포(1375~1448), 류달존(1395~1466), 박눌(1448~1528), 이겸(1452~1507), 류종인(1516~1545), 홍약창(1535~1592), 남영(1548~1606), 정윤해(1553~1618), 박성민(1603~1666), 이영갑(1622~1676), 남근명(1676~1734)을 제향 한 서원이다. 1752년(영조 28) 도계정사와 아곡정사를 합사 하여 경현사를 건립하고, 원호를 ‘청암’이라 하였다. 청암서원은 1868년(고종 5) 서원훼철령으로 훼철되어 설단 하였다. 1978년 강당을 건립하였으며, 1991년 서원 복원 공사를 시작하여 1992년 완공하였다. 청암서원은 좌묘우학의 ㅡ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사당인 경현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이다. 류포, 류달존 등 11명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묘우의 오른쪽에 있는 청암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건물은 복원 때 중건한 것이다. 강당의 왼쪽에 있는 외삼문은 솟을대문이다. 이외에 서원 입구에 남근명의 흥학비가 세워져 있다. 청암서원의 현판으로는 아곡리사 봉안문, 도계정사우이건상량문, 청암서원중건기 등이 게시되어 있다. 아곡리사 봉안문은 아곡리사를 창건하고 4명의 선현을 제향 할 때 지은 것이다. 청암서원중건기는 현재의 서원 규모로 복원한 사실을 기록한 봉안문으로 1992년 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