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향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청주향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청주향교

청주향교

68.71189792910216m    23008     2023-01-17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로122번길 81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1444년(세종 26) 세종이 초정약수에 행차하였을 때 향교에 서책(書冊)을 하사한 일이 있었다 한다. 1683년(숙종 9)에 현령(縣令) 이언기(李彦紀)가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6·25동란 때 서무(西廡)가 소실되었고, 1970년과 1971년에 대대적인 보수가 있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7칸의 대성전, 6칸의 명륜당, 기타 부속건물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6현(宋朝六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4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이 향교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소장 전적은 판본 8종 47책이 있다.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충북문화관

충북문화관

149.4111069634639m    3851     2023-07-03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로122번길 67 충청북도지사관사

충북 청주시 상당구에 자리한 충북문화관은 세월이 비껴간 듯 옛 정취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1939년에 건립된 충북도지사 관사로 2010년 7월 일반에 개방됐고, 2012년 9월 충북문화관으로 변신했다. 일본식과 서구 고전 양식을 혼합한 일양 절충식 구조로 되어 있으며 2007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문화관은 문화의 집, 숲속 갤러리, 야외공연장으로 이뤄진다. 관사 건물에 들어선 문화의 집은 신채호, 정지용, 홍명희 등 충북 출신 작가 12인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숲속 갤러리에서는 충북과 관련된 다양한 전시회가 열린다. 관사 다다미방은 북 카페로 변신해 아늑한 휴식을 선사한다.

청주 성공회 성당

청주 성공회 성당

369.762979917745m    30658     2023-01-13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교동로47번길 33

* 한옥과 서구 건축양식이 조화된, 청주 성공회성당 *

1935년 세실 쿠퍼(Cecil Cooper) 주교에 의하여 건립된 성공회의 성당이다. 청주에 성공회가 처음 들어온 것은 1922년 영국인 선교사 휼렛(G.E.Hewlett) 신부가 대성동에서 가정 예배를 가진 후부터이다. 이후 예배당 건립에 주력하여 신도들이 힘을 합하고 본당의 지원을 받아 세워진 성당이 이것이다. 현재의 성당은 구세실(Cecil Cooper)주교에 의하여 1935년에 32칸 규모로 건축되었다.

* 성공회성당의 구조 및 의의 *

청주 성공회성당(충청북도 유형문화재) 건물은 낮은 기단위에 초석을 놓고 네모 기둥을 세웠으며 목조 한옥으로 팔작지붕에 한식기와를 얹었다. 대들보와 종보 위에 사다리꼴의 대공(臺工)이 종도리를 받치는 목조한옥으로 팔작지붕에 한식기와를 이었다. 내부는 중앙에 2열로 고주(高柱)를 세우고 고주 양쪽에 퇴보를 걸어 측랑(側廊)을 두어 3랑식(三廊式)의 성당 내부를 구성하고 있다. 창문은 상부를 아치형으로 꾸몄으며 출입문의 상부는 네모의 교살창으로 되어 있다. 벽체는 외벽을 벽돌과 콘크리트로, 내벽은 석회로 마감하였다. 이 건물은 한옥의 구조를 갖추면서 서구 건축양식이 가미된 형태로 지어진 성당건축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충청북도자연과학교육원 과학전시관

충청북도자연과학교육원 과학전시관

446.7729556293841m    1     2023-07-28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로 150

1999년 1월 충청북도교육연구원과 충청북도과학 연구원을 통합하였고, 1999년 10월 충청북도교육과학연구원을 신축 개관하였다. 이 연구원은 과학전시관과 교육 연수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전시관에는 생물과 물리를 주제로 전시된 탐구의 광장, 다양한 동식물의 표본을 볼 수 있는 꿈돌이 광장, 과학적 현상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체험의 광장, 천체투영실 등이 있다. 교육 연수관에는 과학실험실, 천체관측실, 멀티미디어실 등이 있다.

우암산

우암산

556.1028946846468m    37107     2022-04-01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교동로71번길 91

* 청주의 진산, 우암산 *

높이 353m이다. 청주시의 진산으로 장암산·대모산·무암산·와우산·당이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와우산이라는 별칭처럼 산세가 소가 누운 모습을 하고 있으며, 청주시 명암동·내덕동·우암동·수동·대성동·문화동·용암동에 걸쳐 있다. 우암산은 속리산 천황봉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내려온 한남금북정맥 산줄기에 속한다. 청주 동쪽으로 이어지는 산 줄기가 선도산-것대산-상당산-구녀산인데 그 중 상당산에서 서쪽으로 갈라져 나온 353.2m의 산이 바로 우암산이다.

우암산은 예로부터 와우산(臥牛山), 대모산(大母山), 모암산(母岩山), 장암산(壯岩山)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러오는 청주의 진산이다. 침엽수림과 낙엽수림이 섞인 숲이 우거지고, 약수터와 순환도로·등산로 등이 잘 정비되어 있어 시민들의 휴식처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산기슭에는 표충사(表忠寺)·용화사(龍華寺) 등의 사찰이 많고, 정상 부근에 삼국시대 것으로 보이는 와우산성(臥牛山城)이 있다. 와우산성은 《동국여지승람》에는 둘레가 1.587km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내성 2km, 외성 1,800km로 총 3.8km에 이른다. 지금은 성 주변으로 민가와 농경지가 늘어나 크게 훼손된 상태이다.

* 우암산 장군의 혈에 대하여 *

선조 때 토정 이지함이 청주 서쪽의 부모산에 올라 우암산의 지세를 살피다가 황소기질 같은 강인한 기운이 솟는 명당혈을 발견했다. 우암산이 전체적으로 소가 앉은 형상이라면 그 혈은 배부분에 해당된다. 토정은 제자 박춘무와 함께 그 곳을 확인한 뒤 '이 곳은 장군에게 적합한 곳이니 범하지 말라'는 푯말을 세우고 떠났다. 그 뒤 진천의 조풍수란 사람이 이곳에 이르러 푯말을 뽑아 버리고 조상의 묘를 이전하려하자 요란한 천둥소리와 함께 황소 우는 소리가 나고 짙은 안개가 시야를 가리더니 가묘는 검은 바위로 변했고, 조풍수의 눈도 멀어 버렸다.

상당공원

상당공원

578.5557303010726m    0     2022-12-26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280-18

상당공원은 충북 청주시 상당사거리 남동쪽에 위치했다. 청주의 원도심 상권인 성안길과 인접해 있기 때문에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근처 북문로에는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카페, 맛집 등이 있어 평일 식사 시간이나 주말에는 인파가 많다. 그러나 별도의 주차 공간이 없음으로 자차 이용 시 주변의 유료 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10,000㎡ 면적에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성안길 일대를 찾는 사람들이 애용하는 장소이다. 공원 내부에는 충북 419학생 혁명 기념탑, 충청북도민헌장탑, 한봉수 의병장탑 등이 있다.

삼일공원

삼일공원

586.7738791349454m    0     2022-12-30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4-40

우암산 기슭 우회 도로변에 자리한 삼일 공원에는 3.1운동을 주도한 민족 대표 33인 중 충북 출신 여섯 분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조국 광복을 위해 피를 흘렸던 선열들의 숭고한 넋을 기리고 그 위업을 계승하기 위해 1980년 건립된 공원은 시민들에게 민족정신의 산 교육장이 되고 있다. 동상이 세워진 충북 출신 민족 대표는 의암 손병희, 우당 권동진, 청암 권병덕, 동오 신홍식, 은재 신석구, 청오 정춘수 선생 등이다. 그러나 정춘수의 동상은 친일행각 사실이 드러나 1990년 시민들에 의해 강제 철거되고 좌대만 남아 있다.

복천암(청주)

729.92350695384m    19385     2022-10-17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교동로71번길 120

* 허공심보살의 이야기가 있는 곳, 복천암 *

복천암(福泉庵)은 충북 청주시 상당구에 자리한 한국불교태고종 소속 사찰이다. 남들이 터부시하는 무속인의 삶을 살아야만 했던 젊은 아낙이 있었다. 그녀는 우암산 기슭에 초막을 짓고 살면서 찾아오는 사람들에게‘아는소리’를 해서 “신장보살”이라는 이름으로 통했다. 그러나 남들의 고민을 속 시원히 풀어주는 그녀였지만 자신의 소원은 정작 이룰 수 없어 고심을 하였다. 그녀의 소원은 절다운 절을 세워 제대로 수행을 하는 것이었다. 지금껏 일심사라는 이름으로 사찰을 짓고 살아왔지만 속은 여전히 신(神)을 모시는 무녀(巫女)일 수 밖에 없는 현실이었다. 세월은 흘러 젊은 아낙은 할머니가 되었고, 세상과 이별할 날은 점점 다가오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비구니스님을 보게 되었다. 청초하면서도 서릿발 같은 기개가 엿보이는 스님이었다. 늙은 무녀는 이 비구니스님에게 자신이 평생토록 가슴에 지녀온 뜻을 이야기 하고 훌륭한 불사를 이루어 줄 것을 당부했다. 그 뒤 늙은 무녀는 아들의 등에 업혀 반평생을 살아온 절을 떠나 속세로 내려가고 말았다. 자신이 평생 품은 뜻을 세워줄 스님을 만났다는 위안이 있어서일까? 이 무녀를 사람들은 허공심보살이라 했다.

* 복천암의 유래 *

허공심보살의 간절한 부탁을 받은 비구니스님은 혜근 스님이다. 어려운 시기 절을 맡게 된 혜근스님은 손수 벽돌을 찍으며 가람을 일구었다. 그러기를 30여 년, 허공심보살의 간절한 염원은 마침내 이루어져 사찰은 여법하게 부처님의 법을 전하는 도량으로 변모를 하였으니 그곳이 바로 지금의 복천암(福泉庵)이다.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과 같이 한 무녀의 오랜 염원은 그렇게 혜근 비구니 스님을 통해 이루어 진 것이다. 우암산(牛岩山, 338m) 등산로 가운데 KBS 송신탑을 향해 난 길은 계곡이나 바위 등 자연물에 깃든 신령을 숭배하며 치성을 드리려는 무속인들의 출입이 잦은 곳으로, 1928년 강신무인 ‘허공심’이 당집을 지은 것이 복천암의 유래다.

에잇세컨즈 청주점

에잇세컨즈 청주점

740.3892758119958m    1     2022-11-24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성안로 1

-

올리브영 청주성안길

올리브영 청주성안길

758.950555473656m    1     2022-12-06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성안로 11 (북문로1가 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