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컨벤시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송도컨벤시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송도컨벤시아

송도컨벤시아

13.0Km    2025-04-18

인천광역시 연수구 센트럴로 123

국제 수준의 컨벤션센터인 송도컨벤시아는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117,163㎡ 규모이다. 전시장은 총면적 17,021㎡로, 최대 900개 부스를 설치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볼룸에는 최대 3,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30명부터 500명 단위까지 수용 가능한 중소회의실을 최대 35실까지 동시에 운영할 수 있어, 국내외 MICE 행사를 개최하기에 최적의 장소이다. 송도컨벤시아는 태백산맥을 모티브로 한 독특한 외관과 고급스러운 내부 인테리어 등 국내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감각적인 디자인을 자랑한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각종 방송이나 공연 등의 촬영지로도 주목받고 있다. 일반 대중이 즐길 수 있는 행사도 수시로 열리며, 관련 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어 나들이 삼아 들르기에도 좋은 장소이다. 다양한 음식점과 카페는 물론, 곳곳에 소소한 즐길 거리도 마련되어 있다. 송도컨벤시아 및 인천의 명소를 VR로 체험할 수 있는 코너, 입체적인 영상으로 인천을 즐기는 3D 홀로그램 존 등이 대표적이다. 그중에서도 ‘스마트마이스 라운지’는 특히 인기가 높다. 이곳은 편안한 휴게 공간과 함께 인터랙티브 미디어월, VR/AR, 게임, 홀로그램 등 다양한 스마트 콘텐츠를 활용한 체험 공간을 갖추고 있다. 또한, 송도컨벤시아는 송도 센트럴파크와도 바로 인접해 있어 함께 여행하기에 더욱 좋은 장소이다.

송도 센트럴파크

송도 센트럴파크

13.0Km    2025-04-18

인천광역시 연수구 컨벤시아대로 160

송도 고층빌딩 숲 사이, 자연을 담은 공원인 송도 센트럴파크는 뉴욕 센트럴파크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국내 최초로 바닷물을 이용한 해수공원이자 한국의 지형적 특성을 살린 도시공원으로, 인공수로에는 수상 택시, 카누 등 수상 레저 시설이 갖춰져 있고 공원 곳곳에서 다양한 문화와 예술을 만끽할 수 있는 송도의 랜드마크이자 휴식공간이다. 센트럴파크 내에는 5가지 주제의 정원이 있다. 센트럴파크의 서쪽 끝에 자리한 선셋정원은 웨스트보트하우스, 수변무대, 어린이 정원, 큐브 조형물 등의 볼거리로 이루어진 공간이며, 감성 정원은 세계 120개 나라를 상징하는 탈로 만든 작품인 지구촌의 얼굴을 비롯하여 관찰데크, 간석 지원 등의 시설로 이루어진 경관 관찰 공간이다. 초지원은 오줌싸개동상, 관찰데크, 습지원, 반딧불이 집 등 다양한 조형물과 공공미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복합 예술 공간이고, 산책 정원은 한가로이 풀을 뜯는 꽃사슴을 만날 수 있는 전통 테마 공간으로 동쪽 높은 곳에 위치한 송화정은 달빛과 함께 한 폭의 그림 같은 야경을 선사한다. UN 광장, 이스트보트하우스, 민속놀이마당 등이 위치한 테라스 정원은 연중 다양한 행사가 열리는 문화 예술 공간이다.

송도코마린EASTBOATHOUSE

송도코마린EASTBOATHOUSE

13.0Km    2025-06-11

인천광역시 연수구 컨벤시아대로 160

송도 국제업무단지 중심부에 31만여 m² 규모로 조성된 센트럴파크는 송도 신도시의 유명 관광지이다. 바닷물을 끌어올린 수로와 G 타워, 트라이볼, 동북아트레이드 타워 등 주변에 길게 늘어선 고층빌딩은 아름다우면서도 화려한 경관을 만들어 낸다. 이스트 보트 하우스는 포스코 타워 건너편 미니스톱에서 시작한다. 수상 센트럴파크 요트 선착장 이스트 보트 하우스에서는 구르미보트, 문보트, 패밀리보트와 투명카약 및 패들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곡종합수산시장

전곡종합수산시장

13.1Km    2024-06-04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로32번길 1-4

전곡항 맞은편에 위치한 종합수산시장으로 다양한 수산물을 구입하거나 상차림으로 먹을 수 있다. 1층은 활어회, 건어물 판매장과 상차림 식당이 있다. 2층은 양념집, 매운탕, 칼국수 전문점 같은 식당이 대부분이다. 3층은 리조텔과 민박 같은 숙박시설이다. 노래방과 조개구이 코너, 전망대까지 한 건물에서 모두 즐길 수 있다. 주차는 건물 앞 공간이나 맞은편 전곡항 부잔교 주차장을 사용하면 된다.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전곡항 등대가 있다.

기노스코

기노스코

13.1Km    2024-01-30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트센터대로 203 송도 센트럴파크 푸르지오시티

기노스코는 인천 송도센트럴파크에 위치한 디저트 카페이다. ‘기노스코’는 ‘알다’라는 뜻을 가진 헬라어이다. 내부는 바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야외에도 테이블이 있어 파크뷰를 즐기며 커피를 마실 수 있다. 기노스코의 대표메뉴는 헤비화이트로, 직접 블랜딩 한 우유 위에 에스프레소 샷을 더하는 이 카페의 시그니처 메뉴이다. 이외에도 각종 커피류와 밀크티, 에이드, 블렌드티 등이 있다.

프리마베라펜션

13.1Km    2024-11-27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해안길 381

프리마베라는 이탈리아어로 '봄'이라는 뜻이다. 프리마베라 펜션은 바다와 산이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어 자연과 함께 휴식을 취할 수 있다. 가까운 거리에 선착장과 해수욕장이 있어 해안산책은 물론 낙조를 감상하기에 좋다. 펜션 뒤에 열려있는 갖가지 과일나무가 색다른 재미와 상큼한 기분을 선사한다.

인천대교전망대

13.1Km    2025-03-18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30-9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에 있는 전망대로 송도 랜드마크시티2 공원과 고층 아파트, 그리고 멀리 바다 위로 모습을 살짝 드러낸 인천대교의 조화로운 풍경을 볼 수 있는 전망대이다. 인천대교 전망대의 독특한 점은 컨테이너로 지어졌다는 점이다. 컨테이너는 물류 도시인 인천을 상징하는데,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장길환 작가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2010년 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서 ‘건축 조형물 분야’에서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인천대교전망대는 서해와 일몰, 인천대교를 조망하는 전망대이자 전시공간을 제공할 목적으로 기획됐다. 전망대를 나오면 나무 데크로 만들어진 넓은 바닥과 벤치가 있어 쉬어가기 좋다. 뒤로는 송도의 고층 빌딩과 앞으로 펼쳐진 서해가 해안 도시의 멋스러움을 더해준다. 전망대 앞으로는 워터프론트 호수가 있고 인근에는 인천 아트센터와 센트럴파크, G타워가 있다. (출처 : 인천투어)

임파스토

임파스토

13.1Km    2025-03-18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트센터대로 203

임파스토는 인천광역시 송도 센트럴파크 푸르지오시티 1층에 있는 스파게티 전문점이다. 세련되고 아늑한 느낌의 이탈리아 홈 레스토랑을 온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아담한 곳이다. 대표메뉴는 구운 뇨끼인데 ‘SBS 생활의 달인’에 방송된 이후 이 집의 대표 메뉴 뇨키를 찾아 식당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 외에 문어샐러드, 라자냐, 채끝등심스테이크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이곳은 특이한 비주얼과 맛으로 송도의 맛집으로 소문난 곳이다.

송도센트럴공원 수상택시선착장

13.1Km    2025-03-19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24-5

송도 센트럴파크는 대한민국의 베니스이다. 강물처럼 보이지만 뱃길은 바닷물이다. 송도 수상공원 양옆으로 화려하고 높은 고층빌딩 숲을 이루고 있는데 배를 타고 송도의 A9 아름다운 풍광을 즐길 수 있다. 웨스트보트 하우스 수상택시 선착장 매표소 앞은 노천카페처럼 수상공원을 바라볼 수 있는 야외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정원에 따라 배의 크기를 달리 선택할 수 있으며 보트를 바닷길을 달리는 이색적인 경험으로 송도의 대표 관광지로 유명하다.

트라이보울

트라이보울

13.1Km    2025-05-08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250

트라이보울(Tri-bowl)은 지역문화 진흥과 시민의 문화 향유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원형극장(ARENA) 형태의 공연장과 전시, 문화예술교육 등이 가능한 다목적 공간을 갖추고 있다. 세계적인 건축가 ‘유걸’이 디자인한 트라이보울은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의 주요 시설물로 건립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역쉘(易shell)’ 구조를 적용한 상징적인 건축물로 한국건축문화대상 사회공공부문의 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트라이보울에서는 공연, 전시, 축제 등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예술가의 창작과 시민의 향유가 공존하는 열린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실험성과 참여성을 강조한 기획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문화생태계 활성화를 도모하고, 새로운 예술의 흐름을 이끄는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