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용암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영광 용암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영광 용암마을

18.4 Km    2271     2023-10-31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육창로1길 50-1

용암마을은 웰빙라이프를 추구하는 청정마을로 친환경 신선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는 농촌체험마을이다. 천혜의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는 용암마을은 뒷산에는 계곡물이 흐르고 앞으로는 넓은 들판의 전형적인 시골마을 풍경을 갖고 있어 다양한 농촌체험을 하기에 적합하다. 체험활동은 자연물을 활용한 모싯잎 송편을 직접 만들고 먹어 볼 수도 있으며 청정지역에서 재배된 콩을 이용하여 두부 만들기 체험도 하고 있다. 2013년 등급제 전 부문 1등급(경관․서비스, 체험, 숙박, 음식) 마을이며, 마을의 깨끗한 계곡에서 석창포가 자생하고 있어 석창포 샴푸를 체험할 수 있다. 마을 인근의 저수지인 용암제의 둘레길이 아주 아름다워 힐링코스로 좋다. 마을 인근에 백제 불교의 시작인 불갑사의 큰집이라 불리는 연흥사가 위치해 있다. 연흥사 가는 길은 다소 가파르지만 어른 걸음으로 왕복 1시간 정도의 짧은 코스로 주변 계곡의 풍경과 자연의 소리를 감상하기에 좋다.

영광불갑테마공원

영광불갑테마공원

18.4 Km    1     2023-10-26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금계리

불갑사 사찰 입구에서 차량을 이용하여 약 5분 거리에 위치해 있는 불갑테마공원은 대부분은 수생단지로 조성되어 있다. 주차를 하고 공원에 들어서면 천년방아가 한눈에 들어온다. 영광군민과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의 사랑과 행복이 영원히 지속되고 이곳에서 맺은 사랑의 언약은 천년을 이어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직경 16m, 무개 85톤의 커다란 물레방아이다. 자전거를 타는 아이 조형물을 지나 수변의 데크길과 연못 수면 위 나무데크다리는 조용히 산책하기 좋은 곳이다. 여름이면 저수지에 핀 연꽃과 멀리 보이는 중첩된 산 색과 나무들이 눈앞에 시원하게 펼쳐지며, 가을이면 불갑사까지 피는 꽃무릇과 단풍으로 물든 산의 경치를 즐기며 한적하게 운치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천년방아 옆으로 인공폭포가 조성되어 있고 테마공원 내에는 연자방아, 디딜방아, 절구맷돌 등을 실물로 전시해 놓아 옛 조상들의 생활의 한 단면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조성되어 있다. 칠산갯길 300리 불갑사길을 따라 걸으면 불갑수변공원, 불가테마공원, 불갑사까지 모두 둘러볼 수 있으며 불갑저수지 주변으로 드라이브길이 조성되어 있다.

참당암(고창)

참당암(고창)

18.7 Km    19989     2024-02-02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도솔길 194-77

고창군 아산면 도솔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운이 창건한 암자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의 산내 암자이다. 이전에는 대참사, 참당사 등으로 불렸으며 규모가 상당히 큰 사찰이었다고 한다. 참당암이라는 절 이름은 [죄를 뉘우치고 참회하는 곳]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창건 이후의 역사는 전하지 않고 고려시대에 1328년(충숙왕 15)부터 이듬해까지 중수가 있었으며, 1346년(충목왕 2)부터 1398년(태조 7)까지 약 52년에 걸쳐 점찰신앙 법회의 하나인 생회가 개설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여러 차례의 중건이 있었다. 당시는 법당 동쪽에 승당, 서쪽에 미륵전, 위로는 약사전, 아래로는 명부전 등 여러 전각을 갖추어 조선 후기까지만 해도 독립된 사찰로서 번성하였으나 차츰 사세가 약화되었다. 참당암에서 선운사까지는 차량으로 약 12분 소요된다.

고산

고산

18.9 Km    16315     2024-05-21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대산면, 성송면에 걸쳐 있는 고산은 해발 527m의 산이다. 고산은 높지는 않지만 주변 평야에 솟아 있어서 1,000m 높이의 다른 산들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을 정도이다. 산 정상에선 주변 경치를 한눈에 바라 볼 수 있고 울창한 송림과 여러 기암괴석이 산행하는 이의 눈을 즐겁게 한다. 고산에는 용추굴, 각시봉, 깃대봉, 매바위, 용두암, 거북바위, 촛대봉, 치마바위 등의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고 복분자 산딸기 평전과 늪지대 등 자연생태가 잘 보존되어 있다. 고산에는 선사시대의 고인돌이 수백여기 있으며, 후삼국시대에 쌓은 고산산성이 자리잡고 있다. 고산산성의 길이는 약 5,000m 정도이고 높이 5m인데 지형에 따라 다르며 자연을 이용한 토석 혼축성이다. 축성 양식은 포곡형이고 석축의 공법은 내탁법을 써서 외면은 석축으로 쌓고 내면은 흙과 잡석으로 다져서 축성 하였다. 외면은 자연석을 수직 혹은 물림 쌓기로 아랫돌에 비해 윗돌을 5~6cm씩 안으로 물려 쌓은 방식을 썼다. 성문은 남문과 북문의 형태가 남아 있으나 동문과 서문은 찾아볼 수 없다. 문헌에는 산성의 둘레가 8,100척이고 내유3천이라는 기록이 있으며, 성내에는 용지와 서봉사, 수고암등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산성의 형태는 600m 정도가 남아 있고 거의 도태된 상태이다.

영광컨트리클럽[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영광컨트리클럽[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2.0 Km    23318     2023-04-24

전라남도 영광군 해안로 1362-70 웨스트오션 클럽하우스
061-350-2023

영광 웨스트오션 CC 골프텔은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 해안로에 자리잡고 있다. 숙소에서 바라보는 칠산바다와 백수해안도로, 수려한 자연경관과 야경은 골프텔 이용객들에게 감동과 여유, 추억을 안겨준다. 고객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2020년 9월 3층 규모의 골프텔 B동을 증축 오픈했다.

선운사 백파율사비

19.8 Km    17769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백파율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철종 9년(1858)에 건립된 비석으로 선운사 입구 부도전 내에 세워져 있다. 백파율사는 조선 후기의 승려 긍선(1767~1852)의 법호이며, 화엄종 계통의 승려로 조선왕조의 억불정책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 불교의 참신한 종풍을 일으킨 화엄종주이다. 비석의 비문은 조선시대 명필 추사 김정희의 필적으로 쓰였으며, 비문 내용은 백파의 업적과 인품을 기리며 찬양하는 내용으로 추사체의 연구와 율사의 업적을 연구할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할매보리밥

20.0 Km    0     2024-01-05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사로 351

전남 영광군 불갑면에 위치한 할매보리밥은 한식 전문점이다. 보리밥, 옻닭, 한방백숙, 해물파전 등의 식사류를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구수한 보리밥이 인기 메뉴이다. 불갑사관광지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관광지 접근성이 좋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안심식당이다.

대덕산농원캠핑장

대덕산농원캠핑장

2.2 Km    1     2023-01-26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대덕길2길 105

초창기 대덕산 농원캠핑장이었으나 대덕힐링캠핑장으로 이름이 변경되어 운영 중이다. 주요 시설로 일반 야영장 3면과 글램핑시설 11면이 있다. 이곳은 산을 깎아 만든 부지에 층층이 위치하여 캠핑장 내 이동이 다소 불편하지만, 전망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영광 바다와 대교를 볼 수 있고 계절별 경치를 즐길 수 있다. 특히 벼가 익어 가는 가을과 눈이 쌓인 겨울이 아름답다. 또한 등산로가 바로 옆에 있고, 아침 산책하기 좋은 산책로도 있다. 대덕힐링캠핑장은 가까운 곳에 영광 1, 2, 3, 6경이 있어 관광 코스를 잡기에도 좋은데 백수해안도로와 4대 종교문화유적지, 가마미해수욕장, 숲쟁이공원이 있다.

대초마을

대초마을

2.4 Km    20506     2023-11-14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대신길3길 33-7

법성포항에서 굴비 정식으로 식사를 한 뒤 백수해안도로로 접어든다. 법성포항을 나오면서 백수 해안도로로 진입하는 길은 길 오른쪽에 있는데 이정표가 작아 잘 안 보인다. 차를 천천히 달리며 유심히 봐야 하는데 그 길을 달려가다 보면 모래미해수욕장을 지나 대초마을이 나온다. 이름 없는 백사장이 길 옆에 나란히 펼쳐져 있고 마을 안쪽에는 바다와 강이 만나는 곳이 있으며 그 위에 다리가 하나 놓여 있다. 물이 차면 다리 밑으로 배가 드나들고 물 빠지면 강바닥이 드러난다. 강의 끝과 바다의 시작, 그 지점에서 뻘에 구멍을 파 집을 짓고 사는 칠게의 군무를 볼 수 있다.

우리삶문화옥당박물관

우리삶문화옥당박물관

2.5 Km    1     2023-12-14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대신길3길 3

영광은 역사적으로 백제 최초로 불교를 전파하였던 지역이며 한국의 토착종교인 원불교가 탄생한 곳이기도 하다. 불갑사와 지석묘군, 내산서원 등 문화 유산뿐만 아니라 영광굴비로도 유명하다. 이러한 영광의 뿌리 깊은 문화와 역사를 재 조명하고 널리 알리고자 개관한 우리삶문화옥당박물관은 영광 지역민의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삶 문화실에서는 한반도에서의 우리 조상들의 삶과 관련된 영광 출토 유물들을 관람할 수 있으며 세계 문화유산을 함께 소개한다. 옥당 인물실은 영광을 빛낸 인물들 중 성리학, 종교, 예술 분야에 뛰어난 인물을 선정하여 그들의 삶을 둘러보는 콘텐츠를 운영하고 있으며, 용무당은 역사와 유물과 역사적 인물을 통해 영광의 역사를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공간이다. 현재 우리삶문화옥당박물관은 고고민속유물, 불상, 카메라 음향장비등 인간삶의 다양한 문화요소를 간직한 유물을 전시, 관리하고 있다. 특히 이미지 언어로서의 카메라 음향장비를 전시하고 있으며, 이와 연계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