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10.4 Km    47486     2024-05-14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93 유엔기념공원

* 한국전쟁에 참여한 유엔군의 안식처, 재한유엔기념공원 *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지로서, 세계평화와 자유의 대의를 위해 생명을 바친 유엔군 전몰 장병들이 잠들어 있다. 이곳 묘지는 한국전쟁이 일어난 이듬해인 1951 년 1월, 전사자 매장을 위하여 유엔군 사령부가 조성하였으며, 같은 해 4 월 묘지가 완공됨에 따라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지에 가매장되어 있던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유해가 안장되기 시작하였다.1955 년 11 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 하기 위해 이곳 토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아울러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하였으며, 1955 년 12 월 15 일, 한국정부로부터 국회의 결의사항을 전달받은 유엔은 이 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유엔총회에서 결의문 제 977(X) 호를 채택하였다. 한국전 당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 군대를 파견한 16개국과 의료 지원단을 보낸 5개국의 용사들 중, 전사한 유엔군 전사장병의 영혼이 잠들어있는 성역으로, 이 곳 기념묘지에는 최초 11,000 여명의 전사자가 안장되어 있었으나, 그 후 유가족이나 본국 정부의 요청으로 이장되어, 현재 2,300 기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다. 기념묘지의 면적은 14.39㏊(약 45,000평)이며, 한국정부가 1978년에 건립한 12m 높이의 유엔군 위령탑에는 한국전에 파견된 전투장비, 인원 규모, 전사자 현황이 동판에 한글 및 영문으로 새겨져 있으며, 영국 정부가 주체가 되어 건립한 영연방 위령탑에는 영연방 국가의 전사자 중 시신을 찾지 못한 그들의 고귀한 희생을 기리고 있다. 그외 터어키(2), 그리스(1), 호주(1)의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

* 유엔기념공원으로 살펴보는 한국전쟁 참전국 *

유엔기념공원에는 한국전쟁 당시 참전했던 나라를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참전국으로는 전투지원국 16개국과 의료지원국 5개국 등 총 21개국이다.

1) 전투 지원국(16개국) - 미국, 영국, 터키, 캐나다, 호주, 프랑스, 네덜란드, 뉴질랜드, 남아공, 콜롬비아, 그리스, 태국, 에티오피아, 필리핀, 벨기에, 룩셈부르크
2) 의료 지원국( 5개국) - 노르웨이, 덴마크, 인도, 이탈리아, 스웨덴

애드파골프 금정

애드파골프 금정

10.4 Km    0     2024-03-23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669

-

유엔평화기념관

유엔평화기념관

10.4 Km    960     2023-03-23

부산광역시 남구 홍곡로320번길 106

유엔평화기념관은 전쟁의 실상을 체험하지 못한 후손에게 전쟁의 참상과 정전협정의 무게를 각인시킬 수 있는 교육적 공간으로, 참전자들의 희생을 올 곧게 전달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기념관 내 3개의 상설전시관(UN한국전쟁기념관, UN참전기념관,UN국제평화관)을 통해 역사의 한 단면을 이해하고 평화유지를 위한 희생과 의지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과 문화행사 등 다양한 활동에 주축이 되어 평화의 연대를 넓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리브영 부경대

올리브영 부경대

10.4 Km    0     2024-03-24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427-27

-

롯데하이마트 영도점

롯데하이마트 영도점

10.5 Km    0     2024-03-23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105

-

선창갈미조개

선창갈미조개

10.5 Km    2     2024-02-19

부산광역시 강서구 르노삼성대로 602

선창갈미조개는 명지선창회타운에 있는 삼겹갈미구이 맛집이다. 삼겹갈미구이는 갈미 조개(개량조개)와 삼겹살을 합친 말로 조개 샤부샤부도 함께 먹으면 좋다. 선창갈미조개는 TV조선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에 소개될 정도로 유명한 맛집으로 그날 갈미조개(개량조개)가 동나면 일찍 문을 닫는다. 기본 차림 상은 상추, 깻잎, 마늘, 고추, 김, 쌈장 등과 함께 순두부가 나온다. 삼겹갈미구이는 콩나물과 함께 겉에 물을 넣어주는데 조개를 테두리에 둘러서 익혀서 삼겹살과 함께 먹으면 맛이 좋다.

만호갈미샤브샤브

만호갈미샤브샤브

10.5 Km    1     2024-04-04

부산광역시 강서구 르노삼성대로 602

만호갈미샤브샤브는 통통한 갈미조갯살 넣어 즐기는 샤브샤브가 인기인 갈미조개 전문 횟집이다. 이름도 생소한 갈미조개는 물에 넣어 익혀도 질겨지지 않는 것이 특징인데, 이 갈미조개를 이용해 개발한 갈미&삼겹살구이와 갈미 샤브샤브, 갈미수육, 전골이 이곳의 대표 메뉴이다. 특히 갈미샤브샤브는 조개의 육수가 우러나 시원한 맛의 샤브샤브 국물이 유명하다.

25의용단

25의용단

10.5 Km    22677     2023-08-17

부산광역시 수영구 연수로379번길 42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때 수영 지역에서 7년간 유격전으로 왜군에 항전한 25인의 의병을 모신 제단으로, 지정 면적은 7,518㎡에 이른다. 부산 수영구 수영동 수영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당시, 경상 좌수사 박홍이 왜적과 싸우지도 않고 도망가자, 이후 지속적으로 약탈과 살육을 자행한 왜군에 대항하여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25명의 수군과 성민을 기려 세운 단이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1974년 12월, 부산시에서 외풍에 낡은 비석단 3개소에 의용제인비 25기를 건립하고 외삼문 1동과 한식 담장을 설치하여 새롭게 단장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의용단이 저습지인 관계로 배수가 원활하지 못해 수목 생육이 어렵고 의용제인비가 노천에 설치되어 있어 제향에 어려움이 많음을 지역민들이 안타까이 여겨 1999년 9월 기초 사업 계획을 시작으로 하여 2000년 5월 10일 사당 1동(17평), 내삼문(5.4평), 외삼문(3.3평), 관리사 1동(6평), 담장 개 ·보수, 의용단 앞 주차장 설치 등 2001년 3월에 준공하였다. 사당 현판은 목숨을 버려 나라를 지킨 25의용의 위패를 모시는 곳이라는 뜻의 의용사 내삼문, 길이길이 품어 오래도록 잊지 않는다는 뜻의 '영회문', 성심을 간직한다는 뜻의 '존성문', 관리사는 25사당 관리 및 향사 봉행 시 제실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사당으로 하였다. 매년 음력 3월과 9월 말 정(丁) 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그 외 수영공원에서는 25의용단 외에 왜구로부터 독도를 지킨 안용복 사당 및 충혼탑, 수영 사람들의 혼이 담겨있는 송씨할매당 등 선조들의 넋이 담긴 전통과 역사의 장을 구경할 수 있다.

밀양돼지국밥

10.5 Km    3     2023-12-08

경상남도 김해시 인제로 91

김해 어방동에 있는 밀양돼지국밥은 김해에서 소문난 돼지국밥 맛집이다. 150석의 좌석을 갖추고 있으며, 국밥집 특성상 회전율이 높아 조금만 기다리면 먹을 수 있다. 메뉴는 따로국밥, 내장국밥, 돼지국밥, 수육백반, 수육, 내장수육 6가지이며 토렴식으로 밥과 국밥을 함께 주는 돼지국밥이 대표 메뉴이다. 국과 밥을 따로 먹고 싶다면 따로국밥을 주문하면 된다. 기본 찬으로 부추무침, 마늘 새우젓, 양파, 고추, 김치 등이 나온다.

수영민속예술관

수영민속예술관

10.5 Km    18077     2024-06-07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

수영사적공원 내에 위치한 수영민속예술관은 기존의 민속관과 함께 지역민속예술진흥과 구민들의 민속공연과 전통문화를 전수하기 위해 2000년 6월 17일에 개관하였다. 사단법인 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회가 위탁관리하고 있으며, 예술관 앞 놀이마당에서는 중요무형문화재 제43호인 수영야류, 제62호인 좌수영 어방놀이, 지방무형문화재 제2호인 수영농청놀이 등의 무형문화재가 정기공연되고 있고, 전수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 수영민속예술관이 위치한 수영사적공원에 대하여 * 수영사적공원은 조선 시대 남해안의 4군영을 관할했던 수군 총괄 군영인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자리로서 현재는 성은 없고 성지 관련 유적만 남아 있다. 공원 안에는 25 의용을 비롯하여 사당 및 충혼탑 유형문화재 3종과 수영 야류 등 무형문화재 3종, 곰솔, 푸조나무 등 천연기념물 2종, 안용복 장군 충혼탑 등 비지정 문화재 5종이 있으며 이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수영민속예술관이 있다. 특히 왜인들에게 독도가 우리 땅임을 확약 받아온 안용복 장군 사당 및 충혼탑을 비롯하여 송씨할매당, 조씨할배당 등이 있는 문화유적 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