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Km 2024-08-05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32
054-571-7677
가을 정취가 뛰어난 문경새재 도립공원 일원에서 문경의 대표 브랜드인 문경약돌한우를 할인된 가격에서 현지에서 맛보고 즐길 수 있다.
11.7Km 2025-07-01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32
053-755-5881
매년 만명이상이 모이는 문경새재 제1관문~3관문 사이 황톳길 7km를 맨발로 걷는 행사이다. 인기 가수 초청 공연과 행사장 곳곳 맨발로 참여할 수 있는 게임 다수 마련되어 있다. 다양한 종류의 부스 운영을 통해 맨발 걷기 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일반인 노래자랑과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으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가족과 연인 친구가 함께 문경새재의 풍광을 즐기면서 건강까지 챙길 수 있다. 3관문에 완주하는 사람에게는 선착순으로 매달도 증정한다.
11.7Km 2024-08-28
경상북도 문경시 새재로 932
054-571-0901
문경새재 문화유산 야행은 조선시대 옛길과 문경의 문화유산을 그대로 간직한 문경새재도립공원 일원에서 진행하는 문화유산 야간 향유 프로그램이다. ‘새재길, 국가유산을 품다’를 주제로 한 문경새재 문화유산 야행은 자연유산과 역사 유적, 그리고 전통 공예 장인들과 문인들의 문화유산을 이야기로 엮고, 이를 야간 문화콘텐츠로 운영하여 문화유산 관광사업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마련된 문화유산 향유 야간 행사로 진행된다. 문경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인 문경새재와 조령관문, 국가무형문화유산 김정옥 사기장과 이봉주 유기장 명예보유자, 국가무형문화유산 김삼식 한지장, 경북도 이학천 사기장, 김종섭 불화장, 김시인 자수장, 그리고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아리랑의 모태 문경새재 아리랑과 송옥자 보유자 등 문경의 무형문화유산, 문경공예인협회를 중심으로 문경의 공예와 다양한 문화예술인을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문경시 전역에 흩어져있는 112개의 문화유산 중 총 41점의 문화유산을 주제로 야경, 야로, 야설, 야사, 야화, 야시, 야식, 야숙 8개 카테고리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11.7Km 2024-08-06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32
조선시대로 떠나는 시간 여행 드라마 '킹덤', '옷소매 붉은 끝동', '해를 품은 달' 등을 촬영한 세트장으로 문경 도립공원과 연결되어 있다. 광화문을 생생히 구현해놓은 광화문 세트가 가장 유명한 스폿 중 하나. 한옥촌, 저잣거리, 서민 마을 등 여러 가지 분위기의 세트장이 넓은 부지 위에 펼쳐져 있어 마치 조선시대로 시간 여행하는 기분이 든다. 촬영장을 문경새재에 설치하게 된 동기는 무엇보다도 조령산과 주흘산의 산세가 고려의 수도 개성의 송악산과 흡사할 뿐만 아니라 옛길이 잘 보존되어 있어 사극 촬영장으로 매우 적합하기 때문이었다. 그동안 드라마 태조왕건, 제국의 아침, 무인시대, 대조영, 근초고왕, 성균관 스캔들, 제중원, 추노, 명가, 천추태후, 인수대비, 광개토태왕, 해를 품은달, 공주의 남자, 전우치, 대왕의 꿈의 촬영 주무대가 되었고 영화는 스캔들, 낭만자객, 활, 미녀삼총사, 관상, 광해, 나는 왕이로소이다, 구르믈 버서난 달, 전우치 등을 촬영하기도 하였다. 현재의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은 문경시의 제작지원으로 과거 고려시대를 배경으로 한 세트장을 허물고 새로운 조선시대 모습으로 2008년 4월 16일 준공한 것이다. 공사비는 75억원을 투입하였으며 규모는 70,000㎡ 부지에 광화문, 경복궁, 동궁, 서운관, 궐내각사, 양반집 등 103동을 건립 하였으며 기존 초가집 22동과 기와집 5동을 합하여 130동의 세트 건물들이 존재하고 있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환혼> 대호국 수도의 배경이 된 장소인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은 <환혼> 뿐만 아니라 <킹덤>, <슈룹>, <해를 품은 달> 등 많은 사극 드라마의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이 세트장의 배경은 조선시대로, 드라마 속 조선시대가 궁금했던 사람이라면 과거 속으로 들어온 듯 생생한 현실감에 놀라게 될 것이다. 사극 드라마 속에 들어온 듯한 기분을 느끼고 싶다면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에 방문해 보길 추천한다.
11.7Km 2024-03-25
경상북도 문경시 영신영강길 34
희월재는 경상북도 문경시 영신동에 있는 카페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다. 대표 메뉴는 희월재크림라테이며, 소금빵 등 디저트류도 맛볼 수 있다. 이 밖에 흑임자슈페너라테, 리얼초코라테, 청귤에이드, 생 토마토주스 등 여러 가지 음료가 준비되어 있다. 야외공간의 경우 반려동물 동반이 가능하다.
11.7Km 2025-06-23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함창시장1길 45-14
054-541-3260
함창시장은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 122번지 일대에 위치하는 장으로 매월, 1일과 6일에 장이 선다. 주로 판매되는 상품은 명주, 목공예품, 지역 농산물, 일반 생활용품 등이다. 1951년에 정기시장으로 개설되었고 1960~80년대에는 우시장이 성황을 이루었다고 한다. 장날에는 점포 30여 개와 노점상 20여 명이 사장에서 손님을 맞이한다. 비록 규모가 크지 않고 나와 있는 상품들도 고급·고가품은 아니지만 물품을 파는 상인이나, 사는 손님, 그리고 남녀노소 불문하고 모두가 소박하고 밝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시골 장터의 푸근한 인심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11.8Km 2024-06-14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김용길 278-1
문경은 예로부터 영남과 한양을 잇는 주요 대로였고, 지금도 한강과 낙동강을 이어주는 한반도 길 문화의 상징이다. 과거시험 보고 돌아가던 선비가 새재 고개에서 경사스러운 소식을 듣는다는 문경(聞慶)의 어원은 얼마나 따뜻한가. 이곳에 오시는 모든 분들이 옛길을 기억하며 자신의 길을 돌아다보고 또 마음의 길을 살펴보도록 문학이라는 집을 지었다. 문학은 우리를 상상할 수 없는 곳까지 데리고 가 우리를 좀 더 다른 사람으로 살게 할 것이다. 문학을 통하여 삶과 세계가 더 아름다워지기를 바라며 신라 진평왕 때 창건된 김용사 입구이며 문경 팔경의 요람인 운달 계곡의 첫 자리에 존재, 그 자체만으로도 울림을 주는 ‘문경 문학관’이 있다.
11.8Km 2024-05-30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회천리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7번지에 위치한 왕릉으로 고령가야 태조의 무덤이라고 전해진다. 고령가야는 기원전 낙동강 일대인 함창, 문경, 가은 지방을 영역으로 하여 세워진 나라로, <삼국유사>의 5가야조와 <삼국사기>의 고령군조에 그 이름이 등장한다. 42년 낙동강을 중심으로 일어난 여섯 가야 중 하나이며 상주 함창읍은 고령가야의 도읍이었다. 조선 선조 25년(1592) 당시 경상도 관찰사 김수와 함창 현감 이국필 등이 묘 앞에 묻혀 있던 묘비를 발견하여 가야왕릉임을 확인했다고도 전해오고 있다. 숙종 38년(1712) 왕명으로 묘비와 석양 등의 석물을 마련한 후 후손들에 의해 여러 차례 묘역이 정비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1971년 함창 도시계획 당시 보존구역으로 결정되고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상주시와 후손이 관리하고 있다. 매년 10월 1일과 강생일인 3월 15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11.8Km 2025-06-04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44
문경은 우리나라 문화지리의 보고(寶庫)이자 길 박물관이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의 소통로(疏通路)로서 조선팔도 고갯길의 대명사로 불리던 ‘문경새재’(명승 제32호)가 있고, 우리나라 최고(最古, 서기 156년 개척)의 고갯길인 ‘하늘재’, 옛길의 백미(白眉)이자 한국의 차마고도로 일컬을 수 있는 ‘토끼비리’(명승 제31호) 또 영남 대로 상의 허브 역할 담당했던 유곡역이 있다. 이러한 옛길 관련 문화유적은 이름만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살아있는 ‘길’로서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고 있다. 옛길 박물관은 이러한 문경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잘 나타내기 위하여 건립된 박물관으로 당초 향토사 중심의 문경새재 박물관을 리모델링하여 2009년 재개관하였다. 옛길 위에서 펼쳐졌던 각종 문화상을 옛길 박물관에 담아내고 있다. 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3개 전시실과 1, 2층 중앙홀, 수장고, 영상실 등을 갖추고 있고, 야외전시장도 조성되어 있다. 제1전시실(주흘실)에는 문경관문, 영남 대로, 문경의 전투, 경상감사 도임 행차(慶尙監司到任行次), 제2전시실(조곡실)에는 문경의 문화와 의·식·주 생활, 집과 모둠살이, 신앙과 의례, 생업 기술 등에 관한 소장품 및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제3전시실(조령실)에서는 굽다리접시·토기 항아리 등 신라시대 토기가 주를 이루는 매장문화재, 1724년(경종 4) 도화서 화원 이치가 그린 옥소 권섭 영정, 선조가 홍인걸에게 하사하였다고 전해지는 어필 및 홍인걸의 유품인 투구, 김승주 삼공신 회맹록 판본, 주두업 지석 등에 관한 전시가 이루어지며, 야외에는 금학 사지 삼층석탑, 서낭당, 연자방아, 옹기와 장독대 등이 있다.
11.9Km 2024-07-18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죽문길 271
문경히든벨리오토캠핑장은 경북 문경시 가은읍에 자리 잡고 있다. 문경시청에서 40분 거리다. 용추계곡과 선유동계곡에서 흘러내린 물이 작은 계곡을 형성한 공간에 위치하고 있어 물놀이와 캠핑을 겸해 찾는 곳이다. 각종 부대시설의 외부와 내부가 깔끔하게 관리되고 있다. 이곳은 일반 야영장 35면을 갖췄으며, 사이트는 잔디 6면, 자갈 27면, 데크 2면으로 이뤄졌다.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텐트, 릴선, 난방기구 등 캠핑 장비도 대여해 준다. 평일과 주말 가리지 않고 연중 운영한다. 캠핑장 인근에 국립 대야산 자연휴양림, 용추계곡, 선유동계곡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