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대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장대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문장대식당

문장대식당

10.3 Km    18307     2023-09-19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260
043-543-3655

1995년 충북 보은군에 개업한 문장대 식당은 향토음식 전문점이다. 송이, 능이, 목이, 싸리, 밤버섯 등을 넣은 버섯전골이 문장대 식당의 대표 메뉴이다. 도토리묵과 산채정식도 인기 메뉴이다. 자체적으로 개발한 요리법으로 담백하면서도 감칠맛있는 제철 음식을 대접한다.

영남식당

영남식당

10.3 Km    18883     2023-08-16

충청북도 보은군 법주사로 256
0507-1367-3924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에 위치한 산채요리 전문점으로 산채비빔밥과 함께 산채정식을 주메뉴로 하고 있다. 밑반찬 종류도 다양하고 그 맛이 깔끔하여 방문객들의 만족도가 높다. 자연산 버섯들로 요리한 영남 정식, 대추 정식(된장), 속리산 정식(청국장), 산채비빔밥, 더덕구이 등 다양하고 푸짐한 향토음식들이 준비되어 있다.

배영숙 산야초밥상

10.3 Km    7854     2023-05-24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253
043-543-1136

배영숙 산야초밥상은 보은에 위치한 산야초 건강 음식 전문점이다. 모든 고객들의 건강에 소망을 담아 근방의 풀을 뜯어 반찬을 만들고, 속리산의 100가지 산야초를 모아 발효액을 담가 사용한다고 한다. 이곳 배영숙 산야초밥상에서는 보은의 특산물인 대추로 밥을 지어내는 대추 정식과 함께 속리산 정식, 소나무 정식, 버섯전골 등을 맛볼 수 있다. 또한 정성이 묻어나는 산야초 발효효소를 가미한 대추 장아찌, 대추 약고추장 등도 맛볼 수 있다.

속리산옛고을

속리산옛고을

10.4 Km    17598     2023-06-22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250
043-543-3930

속리산옛고을은 충북 보은군 속리산 인근에 위치한 산채음식 전문점이다. 속리산산채거리에서 20년 장인이 만드는 전통 있는 음식점으로 알려져 있다. 황토와 통나무로 꾸민 내부가 아늑하면서도 따듯한 느낌을 주준다. 대표 메뉴는 산책정식이며 이 외에도 자연산 버섯을 이용한 건강식 메뉴가 다양하다.

속리산 산채비빔밥 거리

속리산 산채비빔밥 거리

10.4 Km    32303     2024-06-07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속리산 산채비빔밥 거리는 정이품송공원에서 법주사로 가는 길 사이에 있으며 속리산터미널, 속리산조각공원과 가깝다. 공기 좋은 곳에서 자연경관을 즐기면서 먹는 맛있는 산채비빔밥은 산해진미가 부럽지 않다. 그중 봄에 먹는 산채비빔밤이 가장 맛있고, 다양한 맛을 느낄 수 있기로 유명하다. 봄에 새싹을 내민 부드럽고 연한 산나물과 약초 등이 맛을 돋운다. 산채비빔밥 거리의 시작은 197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에 두세 집이 영업을 하던 것이 1980년대 후반에 10여 개로 늘어났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90여 집으로 늘어난 것이다. 산채비빔밥 거리에 있는 식당들은 약초와 산나물 등을 합쳐 20여 가지의 재료를 넣어 비빔밥을 만드는데 그 재료와 요리법을 특허등록까지 했다고 한다. 주변 속리산 일대의 관광지들을 둘러보고 이곳을 방문해 식사하기 좋다.

코오롱스포츠캠핑파크

코오롱스포츠캠핑파크

10.4 Km    1     2023-12-26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대야로 487

충북 괴산 속리산 자락에 위치한 코오롱스포츠캠핑파크는 캠핑에 필요한 모든 장비를 렌탈해 이용하는 곳으로 텐트캠핑장과 카라반캠핑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누구나 쉽게 캠핑을 시작할 수 있는 자연 속 캠핑장이다. 별도의 캠핑 장비를 준비할 필요 없는 렛츠고 캠핑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캠핑에 입문하고 싶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캠핑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텐트 타입별 장단점, 캠핑 장비 종류와 사용 방법, 캠핑 요리법, 캠핑 에티켓 등을 알려주며 캠핑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캠핑에 능숙한 슈퍼캠퍼를 구성해 캠핑에 대한 모든 것을 질문하고 듣고 배울 수 있다. 그 외에 한밤중에 산길을 걷는 별빛 트레킹, 숲 해설과 자연을 즐기는 에코 트레킹, 별빛상영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 캠핑파크를 이용하시는 모든 방문객은 렛츠고 캠핑 기본 프로그램에 무료로 참가할 수 있다. 코오롱스포츠캠핑파크는 텐트 캠핑 52개와 카라반 캠핑 6개을 보유하고 있으며 교육장 및 캠핑소모품 판매점, 샤워장, 개수대 등 각종 편의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오후 9시가 넘으면 입실할 수 없으며 사전예약제로 운영되고 있다.

청소년수련마을보람원

10.4 Km    24933     2023-04-11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대야로 487
043-830-2233~6

속리산국립공원의 수려한 자연환경을 무대로 첨단 교육시설을 갖춘 종합 수련시설로서, 주변에는 선유구곡(3.5km), 화양구곡(10km), 문장대(20km), 법주사(50km), 쌍곡계곡(10km), 조령관문(40km), 초정약수(40km), 수안보온천(50km), 독립기념관(80km), 석탄박관(20km)등의 명소가 있다. 청소년단체는 물론 직장, 가족단위의 이용도 가능하다.
※ 설 립 자 - (재)오운문화재단

채운암

10.7 Km    24408     2024-01-31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2길 30

화양구곡의 하나인 암서재를 지나서 산자락에 있는 사찰로, 1277년(고려 충렬왕 3) 도일선사가 창건하였으며 수도암이라고 부르다가 조선 광해군 2년 혜식선사가 중창하고 채운암이라 개칭하였다. 원래 현재의 위치에서 화양천을 건너 마주 보이는 첨성대 안쪽계곡에 있었다. 현 위치에는 효종 4년(1655) 혜일선사가 [환장사]를 창건하였다. 그 후 한말 왜병들의 방화로 대웅전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전소되었고, 건너편에 있던 채운암이 1948년 홍수로 매몰되자 그 요사채 일부를 이곳에 옮겨 환장사와 채운암을 합쳐 증축하고 채운암이라 이름하였다 전한다. 채운암에는 목조여래좌상이 대웅전 본존불로 봉안되어 있고 한국전쟁 때 인민군이 3번이나 불태우려 했지만 타지 않자 겁을 먹고 물러갔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불상은 오른손을 들어 손바닥을 밖으로 하고, 왼손은 무릎 위에 올려 설법하는 모양을 하고 있다. 불상의 제작 연대를 밝혀주는 유물이 불상 속에서 발견되었다. 조선 경종 3년(1723)에 만들었다는 기록을 통해 조선 후기 불상 연구의 기준이 될 수 있는 불상이다. 화양동 9곡의 빼어난 경치 속에 묻혀 있는 고찰로서, 주변에 소나무와 참나무, 굴참나무 등이 울창하여 절경을 이루며, 삼림욕장으로 이용된다. 상류의 파천은 개울 전체에 희고 매끄러운 바위가 용의 비늘처럼 깔려 있다. 특히 우암 송시열이 산수에 반해 은둔하면서 화양서원터, 암서재, 만동묘 등 많은 자취를 남겼다. 주변에 낙영산, 가령산, 선유구곡, 고산구곡, 옥양동계곡 등의 관광지가 있다.

암서재

암서재

10.7 Km    17318     2024-02-02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2길 30

암서재는 화양구곡의 하나인 제4곡 금사담 옆 절벽 위에 위치한 서재로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송시열이 정계에서 은퇴한 후 학문을 닦고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화양구곡은 청계리에서 약 8km 지점에 있는 화양리 박대천의 지류인 화양천을 따라 펼쳐진 명승지로 화양동도립공원 내에 있다. 이 계곡의 주위 바위 사이에는 노송이 울창하고 밑으로는 맑은 물이 감돌며 층암절벽이 즐비하여 경치가 매우 좋다. 암서재는 대지 약 65㎡ 정도에 목조 기와로 2칸은 방이고 1칸은 마루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 현판 5점이 걸려 있다. 앞에는 암반 사이에 일각문이 세워져 있다. 일제강점기 말기에 후손들이 수리하였고, 1970년에 보수하여 지금에 이른다. 암서재기에 [우암선생어병오년간축정사어계남]이라고 씌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1666년(현종 7) 8월 암서재를 짓고 이곳에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암서재기의 글씨는 문인 권상하가 쓴 것이다. 화양구곡 곳곳에는 지금도 [비례부동] 등 송시열의 필적이 많이 남아 있으며 화양서원의 터도 이곳에 있다. 1994년 1월 7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화양서원터와 만동묘터를 중심으로 암서재, 읍궁암, 애각사적, 묘소와 신도비 등 송시열과 관련된 유적들이 1999년 사적 괴산송시열유적지로 승격되었다. 이후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유지가 남아있는 건물 8동을 복원 정비하였다.

화양동계곡 트레킹

화양동계곡 트레킹

10.8 Km    5128     2024-05-30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길 202
043-832-4347

화양계곡은 충북 괴산에 위치한 계곡으로 조선시대 우암 송시열이 그 수려함에 반해 중국의 무이구곡을 본떠 화양구곡이라 명명하였던 곳이다. 화양천의 맑은 물과 울창한 숲 사이를 거슬러 올라가며 산재해 있는 명승지들을 탐방할 수 있는 계곡으로 훼손되지 않은 채 잘 보존되고 있다. 계곡 명승 110호로 지정되었다. 화양동계곡 트레킹은 바로 이 화양구곡의 비경을 탐방하는 길이다. 화양구곡의 시작인 제1곡 경천벽에서 9경인 파곶까지 3.1km에 이른다. 화양서원과 금사담의 암서재 등 우암 송시열의 유적들도 함께 둘러볼 수 있다. 트레킹 소요시간은 3시간 정도이며, 절경 속에 숨겨진 역사 유적을 감상하며 여름에는 물놀이, 가을에는 단풍을 즐길 수 있어 많은 이들이 찾고 있는 명소이다. ※ 화양구곡 제1곡 기암이 가파르게 솟아 있는 경천벽 제2곡 맑은 물이 모여 소를 이룬 운영담 제3곡 우암 송시열이 제자였던 임금 효종이 죽자 매일 새벽마다 이 바위에 올라 엎드려 통곡했다는 읍궁암 제4곡 맑은 물 속에 보이는 모래가 금싸라기 같고 송시열 유적지 일대인 금사담 제5곡 평평한 큰 바위가 첩첩이 겹쳐 있고 그 위에서 성진을 관측할 수 있는 첨성대 제6곡 바위높이가 구름을 찌를 듯한 능운대 제7곡 바위 전체형태가 마치 용이 꿈틀 거리는 것 같은 와룡암 제8곡 백학이 이곳에 집을 짓고 새끼를 쳤다 하여 붙여진 학소대 제9곡 개울 한복판에 흰 바위가 펼쳐진 파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