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Km 2025-04-10
서울특별시 강동구 구천면로93길 12 (상일동)
고덕사회체육센터는 1988년 개장하여 지역사회주민들의 건강증진 기여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운영하고 있다. 시설은 수영장과 헬스장, 에어로빅실, 대체육관, 스피닝실, 강의실 등을 갖추고 있다. 수영교실부터 체육교실, 헬스교실, 재키스피닝교실, 문화교실 등 각종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3.9Km 2025-07-17
서울특별시 강동구 구천면로 141 (천호동)
일찍이 6,000년 전에 선사시대의 조상들이 살고 삼국시대에 국가의 요충지로 중요시되었던 광나루는 조선시대에 한강의 5대 나루터의 하나로 번성하였으며, 한양에서 한양뱃길을 건너 구천면길을 지나는 왕의 능 참배길로도 이용되었다. 이처럼 광나루는 역사적 의미가 클 뿐만 아니라 주변 경관이 수려하여 많은 시민, 묵객등이 즐겨 찾던 곳으로써 강동구에서는 서울 정도 600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조선초기의 서거정 선생이 지은 해질 무렵의 한강변과 강동지역의 아름다운 전원풍경을 노래한 시를 옛 광나루였던 광진교 입구에 한강의 쌍돛배의 모습으로 강동예찬시비를 건립하였다. 강동예찬시비는 한강을 조망하는 훌륭한 쉼터이며, 또한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지역주민들이 고장에 대한 자긍심과 애향심을 간직할 수 있는 한강변의 문화명소이다.
3.9Km 2025-06-19
서울특별시 광진구 긴고랑로 213 (중곡동)
서울과 구리시에 걸쳐 있는 아차산은 한강과 어우러진 도시 풍경을 즐길 수 있는 명소로, 40분 정도의 등산로를 오르면 정상에서 보이는 잠실부터 남산, 북한산과 도봉산까지 360도 파노라마 영상처럼 펼쳐진 장관이 특징이다. 또한 해발 295.7m의 야트막한 산으로 산세가 험하지 않아 구리와 인근 시민들이 가벼운 산행을 위해 자주 찾는 곳이다. 조선 시대에는 지금의 봉화산을 포함하여 망우리 공동묘지 지역과 용마봉 등의 광범위한 지역 모두 아차산으로 불렸던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 백제의 도읍이 한강 유역에 있을 때 우뚝 솟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일찍부터 이 아차산에 흙을 깎고 다시 돌과 흙으로 쌓아 올려 산성을 축조함으로써 고구려의 남하를 막으려는 백제인의 노력이 있었다. 한강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 남쪽에 있는 풍납동 토성과 함께 중요한 군사적 요지로서 백제의 운명을 좌우하던 곳이기도 하다. 아단성(阿旦城), 아차성(阿且城), 장하성, 광장성 등으로 불리기도 하여 백제, 신라, 고구려가 한강을 중심으로 공방전을 장기간에 걸쳐 벌였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4.0Km 2025-01-21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45
어랑추는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생고등어 묵은지 조림 전문점이다. 입식 좌석과 좌식 좌석이 있고 규모는 크지 않지만 노포 감성이 가득한 곳이다. 4가지 추가 메뉴, 떡갈비, 족발 편육, 메밀전병, 들기름 두부 부침 등을 제외하고는 단일 주메뉴인 고등어조림뿐이다. 그만큼 고등어조림에 진심임을 느끼게 해준다. 생고등어를 사용하여 비리지 않고 간이 세지 않아 같이 조려진 김치와 같이 먹으면 맛이 잘 어우러진다. 주차는 식당 오른쪽 뒤편의 상가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어 넉넉한 편이다. 주변에 가볼 만한 곳으로는 동구릉 역사 문화관이 있다.
4.0Km 2025-03-31
서울특별시 강동구 구천면로 77
광진교 8번가는 세계에서 단 3개밖에 존재하지 않는 교각 하부 전망대 중 하나이다. 아름다운 한강 풍경과 함께 공연과 전시 등 다양한 예술 및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는 곳으로, 시민들이 문화를 향유하고 감성을 충전할 수 있다. 탁 트인 한강 전망을 배경으로 재즈, 클래식, 힙합 등 여러 공연도 진행한다. 전시나 공연 등 모든 행사는 무료로 진행된다. 밤에는 멋진 야경이 펼쳐져 또 다른 매력을 선보인다. 그 외에도 창밖을 바라보며 음악 감상이나 독서를 할 수 있어 휴식처로도 안성맞춤이다. 내부에는 투명 유리로 된 바닥이 있어 스릴을 즐길 수 있고 물멍을 하기에도 좋다.
4.0Km 2024-08-27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148번길 25 (인창동)
1991년 설립된 구리문화원은 지역의 문화와 예술을 증진하고, 지역 주민들이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전시실과 문화학교 강좌를 위한 다수의 강의실, 대강당과 도서실, 옥상 하늘정원이 있다. 구리문화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문화학교는 1995년 9월에 개설되었으며 구리시민의 문화 복지 실현이라는 목적으로 오락 성향의 강좌가 아닌 순수 문화 예술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학교 프로그램으로는 한국무용, 대금, 풍물, 가야금, 서예 등의 전통 강좌와 통기타, 색소폰, 수필, 드럼의 일반강좌가 개설되어 있으며 문화원 홈페이지를 통해 수강 신청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동구릉문화제, 구리 벌말다리밟기, 갈매동 도당굿과 같은 지역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매달 구리문화지를 발간하고 있으며, 향토사의 발굴 및 조사·연구 및 사료를 수집·보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