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Km 2025-03-19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청신로1196번길 56
나남 수목원은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에 위치하였다. 나남출판사에서 운영하는 수목원으로 조용하고 한적한 휴양림이다. 출판사에서 운영하는 수목원답게 나무 한 그루 한 그루마다 정성 가득한 수목원이다. 산책로와 각종 조형물을 잘 갖추고 있다. 조용한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산림욕과 힐링이 즐길 수 있다. 주요 시설로는 숲속의 숲 나남책 박물관과 펜션을 이용할 수 있다. 책 박물관은 세상의 지식을 기록하고 쌓아 온 지성의 숲이다. 박물관 1층에는 커피를 비롯한 다양한 차를 마실 수 있는 카페가 있다. 차 한잔 하며 대형 유리창 밖으로 보이는 풍경이 평화로운 곳이다.
13.8Km 2025-01-15
경기도 연천군 샛대광길 13
샛대광길13 카페는 고급스러운 옛 90년대 가든 건물과 고가구, 그리고 약 2만장의 LP(레코드판) 들로 꽉 찬 고급스러운 빈티지 인테리어로 꾸며져 있다. 아날로그한 분위기를 즐기며 직접 LP를 들어볼 수 있는 감성적인 카페다. 소나무, 밤나무, 단풍나무 외 자연석으로 고급스럽게 꾸며진 자연 친화적 공간으로 한적한 산속의 약 2,000평의 예쁜 정원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넓은 주차 공간으로 큰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애견 동반이 가능하다.
13.9Km 2025-07-02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숭의전로 520-21
연천 리버힐 캠핑장은 드넓은 임진강을 마주하고 있는 캠핑장으로 리버 뷰가 아름다운 곳이다. 총 19개 사이트가 있으며, 소규모로 운영 중이다. 사이트와의 간격이 넓어 북적이지 않고 여유롭게 캠핑을 즐기고 싶은 캠핑족에겐 제격이다. 운영 중인 사이트는 총 3가지 타입인데, A와 B 사이트는 오토캠핑 사이트이며, A는 파쇄석, B는 대형 텐트로 구분된다. 이 밖에도 글램핑을 즐길 수 있는 프리미엄 텐트가 5개 추가 오픈되면서 텐트 장비가 없는 캠퍼도 편하게 방문할 수 있다. 화장실과 샤워장은 굉장히 넓고 깨끗하게 관리되고 있으며, 관리 사무소 겸 매점에서는 간단한 요리 재료와 장작 등을 판매한다. 교각 아래에는 어린이들이 뛰놀 수 있는 트램펄린이 있고 여름에는 간이 수영장을 오픈해 가족 단위 캠핑족이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13.9Km 2025-07-09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탑신로 1148
상아골계곡 오토캠핑장은 소요산과 왕방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으며, 펜션과 야영장이 함께 있는 캠핑장이다. 캠핑장 주변으로 크고 작은 아름드리 잣나무와 소나무가 어우러져 있어, 자연 그늘이 유난히 많은 곳이다. 캠핑장 입구에는 넓은 잔디밭이 있어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뛰어 놀기에 좋으며, 여름에는 넓은 수영장이 있어 시원하게 여름을 보낼 수 있다. 캠핑장의 모든 편의시설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잘 정리정돈 되어 있다. 개수대와 화장실에는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어 한여름에도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4.1Km 2024-12-03
경기도 포천시 성장로 179
031-532-6590, 0959
경기도 전통음식 베스트 10에 선정되고 미디어에 소개될 만큼 지역주민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식당이다. 양념이 되지 않은 흰 순두부가 냄비 가득 담겨 나오며 구수하면서 담백하다. 국산 콩으로 만들어 더욱 고소하고 맛이 깊다. 여기에 구수한 보리밥과 고추장, 들기름, 야채를 약간 넣고 비비면 그 맛이 일품이다.
14.1Km 2023-08-09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호수로 130
이번 여행 관광두레와 함께하는 코스으로 포천 지역의 절경을 이루는 관광지와 주민들이 스스로 포천의 장점을 살려 지역 성장을 위해 만들어가는 관광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토박이'인 주민들이 이뤄가고 있는 관광지는 지금 로컬대표간식, 인스타 명소로 알려져 인기를 끌고 있다.
14.2Km 2025-01-14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호국로 2676
사과깡패는 약 2만평 규모의 사과농장으로 사과따기 체험을 비롯한 여러 가지 농장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직접 재배한 사과로 주스와 사과식초 등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는 곳이다. 사과따기 체험기간을 확인한 후 네이버를 통해 예약하면 사과따기 체험, 애플파이 만들기, 사과케익 만들기, 염소 먹이주기, 카트농장투어, 트램폴린, 레일썰매 등을 딱히 시간제한 없이 여유 있게 즐길 수 있다. 체험기간은 9월 초에 시작하여 11월 중순까지다. 사과깡패는 달콤한 사과의 계절이 오면 바구니 한가득 수확의 기쁨을 맛볼 수 있는 곳으로 인근에는 백로주유원지휴양림과 미륵박물관이 있어 함께 둘러볼 만하다.
14.2Km 2025-01-17
경기도 포천시 삼성당1길 42-1
그린그린그린은 포천시 신북면에 있는 디저트 카페이다. 산, 나무, 잔디로 둘러싸인 시골 마을에 있는데 주위가 모두 초록이다. 마당에는 꽃도 많아 공기 좋고 보기도 좋다. 반려동물을 동반하면 실내에서는 하네스를 하고 있거나 안고 있어야 하고 야외에서는 풀어 놓고 있을 수 있다. 반려견이 실내를 이용할 때는 입장료를 내야하고,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으니 미리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이 좋다. 반려동물에게도 연어랑 오리간식, 강아지 퍼푸치노 볶음밥 등 음식을 제공한다. 음료와 빵을 주문하는 공간은 반려동물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분리되어 있다. 야외 공간은 2~3가지 공간으로 나누어져 반려동물들이 실컷 놀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 외부에는 반려견들을 위한 배변패드나 강아지 물통이 있다. 반려견을 위한 배려와 준비가 반려견 카페 수준이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동반하지 않는 손님도 많다. 자연을 감상하며 커피를 마시기도 좋은 곳이다. 시그니처 메뉴인 바닐라빈 라테가 인기가 좋다. 음료나 디저트 가격도 교외의 대형 베이커리 카페에 비해서 합리적이다. 자동차를 이용하는 손님이 많지만, 전용 주차장이 두 곳이나 있어 이용이 편리하다.
14.2Km 2024-11-18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고대산은 해발 832m로 연천군의 신서면과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등산이 허용된 산 가운데 북한과 가장 가까이에 있다. 고대산의 유래는 [큰고래]라는 신탄 지명에서 연루된 것으로 보이며 방고래(땔나무를 사용하는 온돌방 구들장 밑으로 불길과 연기가 통하여 나가는 고랑)를 이르는 것으로 골이 깊고 높아 고대산이라고 한다. 고대산은 고대산자연휴양림을 들머리와 날머리로 삼는 총 3개의 등산로가 있다. 1코스는 약 4.2km, 고대산 주차장-제1 등산로 입구-큰골-문바위-대광봉-삼각봉-고대산 정상으로 오르며, 2코스는 약 4.3km, 고대산 주차장-제2 등산로 입구-말등바위-칼바위-대광봉-삼각봉-고대산 정상으로 오르는 구간이다. 3코스는 약 4.0km, 고대산 주차장-제3 등산로 입구-표범폭포-고대산 정상으로 오르는 등산로이다. 등산로는 3코스 모두 약 2시간~2시간 10분 소요되며, 1, 2코스에 비해 3코스가 더 가팔라 보통 1, 2코스에서 3코스로 둥글게 원을 그리는 산행이 선호된다. 특히 2코스의 하이라이트인 칼바위 능선과 3코스의 표범 폭포의 비경은 많은 등산인들의 마음을 빼앗는다. 산 정상 부근에 정자와 넓은 헬기장이 있어 쉬거나 전망을 보기 좋다. 정상에서는 북녘의 철원평야와 6∙25 최대 격전지인 철의 삼각, 궁예가 새 도읍지 주위에 쌓았다는 태봉국 도성지는 물론 금학산과 지장봉, 북대산, 향로봉을 비롯한 한탄강 기슭의 종자산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겨울 산행지로도 많이 선호되며, 인접한 보개산, 금학산까지 종주하기도 한다. 인근에 백마고지, 연천역고드름, 노동당사, 열쇠전망대, 동막골유원지, 두루미테마파크, 허브빌리지, 재인폭포(한탄강 국가지질공원), 한탄강∙임진강 주상절리, 연천전곡리유적, 연천 호로고루, 연천고랑포구 역사공원 등이 있다.
14.3Km 2025-03-19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탑신로 1066
수목원프로방스 캠핑장은 소요산과 왕방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100만 그루의 잣나무와 소나무가 우거진 수목원 안에 위치한 캠핑장이다. 힘차게 뿜어져 나오는 피톤치드 속에서 건강도 챙기면서 동시에 캠핑을 즐길 수 있는 일석이조의 캠핑장이다. 수목원프로방스 캠핑장은 계절별로 보여주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준다. 주제별로 잘 꾸며진 정원 속 조형물들을 보고 있으면 감탄사가 저절로 나온다.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꽃들과 새들의 향연은 캠퍼들에게 힐링과 평화로움을 안겨주기에 충분하다. 캠핑장은 잣나무, 자두나무, 돌배나무 등 테마별로 지어진 사이트와 시원한 계곡이 흐르는 계곡사이트 등으로 나뉜다. 맑고 수심이 깊지 않은 계곡물에는 다슬기가 살고 있어 자연체험과 물놀이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