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예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공예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한국공예관

한국공예관

2.4Km    2025-03-12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33 (관훈동)

한국공예관에서는 우리 문화와 정성이 가득 담긴 전통공예품을 만날 수 있다. 인사동과 부산, 김포공항, 국립전주박물관, 민속촌, 그리고 인터넷 사이트에서 역 공예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판매하고 있다. 인사동 판매장은 100여 종에 달하는 상품을 전시 판매하며, 직지와 공예비엔날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주 판매 상품은 나전칠기, 한지공예, 섬유공예, 민예품, 은칠보 등 다양한 전통공예품이 있다.

서울 원조할머니 떡볶이

서울 원조할머니 떡볶이

2.4Km    2025-06-26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5길 18

1941년에 형성되어 지금까지도 서촌을 대표하는 통인시장에 위치한 서울 원조할머니 떡볶이는 통인시장의 인기 먹거리다. 현재는 1세대 원조 할머니의 장인 정신을 이어받아 김임옥 씨가 가게를 운영하고 있다. 기름떡볶이의 중독적인 맛에 학창 시절을 떠올리며 자녀들과 함께 찾아오고 있으며, 외국에서도 맛을 잊지 못하고 찾아오기도 한다.

낙원동 아구찜 거리

낙원동 아구찜 거리

2.4Km    2025-01-02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28

1972년 낙원동 거리에 서울에서 처음으로 아구찜을 하는 식당이 등장했다. 당시만 해도 아구를 찜으로 해 먹는 것은 저 먼 마산에서만 듣던 소리다.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바다인 인천에서도 아구를 찜으로 해 먹지는 안았다고 한다. 아구찜 거리에 처음으로 문을 연 식당은 그래서 아구찜을 만드는 데 온갖 정성을 다 들였다. 물에 끓으면 흐물흐물해지는 아구의 살을 꼬들꼬들하게 만드는 게 최우선 과제였다. 산에서 말려도 보고 인천 앞바다 섬에 들어가 모래사장에서 말려보기도 했으나 파리가 꼬이는 등 위생상 문제가 심했다. 갖은 방법을 동원했지만 그때마다 아구의 살을 유지하기 어려웠다. 결국 터득한 방법은 찬얼음물과 끓는 물을 번갈아 가며 끓이고 식히는 식이었다. 서울에서 아구찜을 맛볼 수 있다는 말에 소문은 퍼져나갔고 소문 따라 주변에 아구찜을 하는 식당도 늘어났다. 한때 십여 집을 넘던 아구찜 식당이 어떤 이유에서인지 몰라도 문을 닫고 다른 곳으로 떠나는 시기가 있었다. 한 번 그렇게 시련을 겪고 난 뒤 다시 아구찜 거리에 아구찜 식당이 들어차게 됐고 그 결과 지금의 거리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이다. 지금 이 거리에는 불과 3~4년 전에 문을 연 집부터 30년을 훌쩍 넘긴 집까지 사이좋게 식당문을 열고 성업 중이다.

이새

이새

2.4Km    2025-04-10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30-1 (관훈동)

이새는 화학성분이 들어가지 않은 원단을 사용하여 자연주의 브랜드라는 특징으로 중장년층을 위주로 한 친환경 염색 의류이다. 천연 소재와 천연 염색, 한복과 양장이 조화를 이룬 몸에 편안한 실루엣으로 디자인된 옷을 주로 판매한다. 의류뿐만 아니라 가방, 신반, 모자 등도 천연 소재로 만들어 판매하고 있으며, 침구와 앞치마 등의 라이프 용품도 있다. 인사동에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해 있으며, 온라인으로도 구입할 수 있다.

통인시장

통인시장

2.4Km    2025-06-26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5길 18 (통인동)

통인시장은 1941년 6월 일제강점기 효자동 인근 일본인들을 위해 설립된 공설시장이 모태이다. 6.25 전쟁 이후 서촌 지역의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한 소비공간의 필요에 따라 공설시장 주변으로 노점과 상점이 형성되면서 점차 시장의 형태를 갖추어 나가게 되었다. 2005년 ‘재래시장 육성을 위한 특별법(현행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인정시장(認定市場)’으로 등록된 뒤 현대화 시설을 갖추었고, 2010년 서울시와 종로구가 주관하는 ‘서울형 문화시장’으로 선정되었다. 2011년에는 시장상인회가 마을기업으로 (주)통인커뮤니티를 법인 등록하여 통합콜센터와 배송센터를 설치하고 온라인 쇼핑몰도 개설하였다. 점포 수는 70여 개로 식당, 반찬가게 등 요식 관련 업소가 가장 많고, 채소, 과일, 생선, 정육 등 1차 생산품을 판매하는 업소가 그 다음이며, 그밖에 내의 등 공산품, 옷 수선 업소 등이 있다. 2012년 1월부터 ‘도시락카페 통(通)’을 운영하여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잘빠진메밀 서촌

2.4Km    2024-03-18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41-1
070-4142-1214

자가제분 자가제면 순메밀 막국수 전문점이다. 100% 메밀로 반죽하며, 주인장이 직접 한다. 막걸리는 10가지 종류-알밤, 지평, 호랑이, 느린마을, 송명섭, 술아, 해창막걸리 등이 있다. 전통주는 5가지 종류-함양솔송주, 전주이강주, 한산소곡주, 수리, 지리산강쇠 등이 있다. 감자전, 메밀전병, 오동통수육은 일품이다. 동절기메뉴는 만두전골과 순메밀 온면이 있다. 생활의 달인 534회 메밀막국수 달인이다. 생생정보 대동맛지도 만두전골편에도 출연했고 딜리셔스TV에도 출연하고 광화문의 아침에도 출연했다.

이새 인사2호

2.4Km    2024-03-23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30-1(관훙동,인사유리)

-

통인시장 일맥상통맥주축제

통인시장 일맥상통맥주축제

2.4Km    2025-05-30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5길 18 (통인동)
02-722-0911

2025년 6월 13일 16시부터 21시까지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통인시장에서 특별한 맥주축제가 열리는 곳이다. 지역 상점들과 함께하는 이번축제에서는 맥주와 다채로운 맛있는 안주, 그리고 흥겨운 공연까지 즐기실수 있는 곳이다. 초여름 밤, 통인시장에서 맥주 한잔의 여유를 만끽하면 즐길수 있는 곳이다.

옛찻집

옛찻집

2.4Km    2025-03-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33-1
02-722-5332

인사동에 위치한 옛찻집은 영화 촬영 장소로 이용될 만큼 유명한 전통찻집으로, 한국의 전통 고유 민속 차들과 전통적인 간식들을 판매한다. 온돌바닥이 있어, 인사동과 한국 특유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여름 메뉴인 빙수의 팥 역시 직접 끓여서 빙수를 만들어 낸다. 이 외에도 콩가루 아이스크림, 복분자 에이드 등 다양한 디저트류를 맛볼 수 있다.

뮤지엄 김치간

뮤지엄 김치간

2.4Km    2025-06-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35-4 (관훈동)

서울 중로구에 위치한 뮤지엄김치간은 서울 중구 필동에서 김치박물관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한국 최초이자 서울 유일의 김치박물관으로 1987년에 식품기업 (주)풀무원이 인수하여 사회공헌사업으로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오랫동안 김치와 김장문화 뿐만 아니라 K-Food 콘텐츠를 소개하는 대표 식품박물관이다. 전통 사회에서는 반찬을 만드는 곳은 찬간(饌間), 임금의 식사를 준비하는 곳은 수라간(水刺間), 양식을 보관하는 곳은 곳간(庫間)이라고 하였다. 이런 ‘-간(間)’처럼 김치의 다채로운 면모와 사연이 흥미롭게 간직된 곳, 김치를 느끼고 즐기는 체험공간이 되겠다는 다짐을 담아 ‘김치간(間)’이라고 이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