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한정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란한정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모란한정식

모란한정식

11.4 Km    2     2024-05-08

전라남도 강진군 오감길 2 오감누리타운

맛의 고장 강진에서 한정식으로 유명한 모란 한정식은 푸짐한 상차림이 보기만 해도 포만감을 주고 맛깔스럽다. 여유 있는 테이블 배치로 시원한 느낌을 주는 넓은 홀과 주차장도 구비되어 있어 이용하기 편리하다. 강진의 손맛과 정을 듬뿍 담은 한정식 모란상은 홍어삼합, 생선회, 떡갈비, 육회, 전복 회, 새우 치즈구이, 표고 탕수 등 푸짐하게 한 상이 차려져 나온다. 정식 중 마지막에 나오는 보리굴비는 녹차 물에 말아서 먹으면 별미다. ※반려동물 동반 불가

강진만갯벌탕

강진만갯벌탕

11.4 Km    2     2022-12-05

전라남도 강진군 동성로 16

강진만 갯벌탕은 짱뚱어로 유명한 맛집이다. 오감 전통시장 안에 있고, 강진군에서 인정한 제1호 강진 맛집으로, 식당에서 사용하는 모든 식재료를 강진에서 생산되는 것을 사용하여 믿을 수 있는 30여 년 된 식당이다. 망둑엇과에 속하는 짱뚱어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며, 오염된 곳에서는 살 수 없는 만큼 비린내가 나지 않고, 단백질 함량이 높은 생선으로 양식이나 수입이 되지 않아 100% 자연산인 식재료이다. 이 짱뚱어를 주재료로 회, 탕, 전골, 튀김 등을 만들어낸다. 손님들이 가장 많이 찾는 짱뚱어탕은 오랜 시간 고아 내 걸쭉하고 진한 국물 맛이 일품이다. ※반려동물 동반 불가

예향

11.5 Km    5973     2024-02-01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동성리 186-61
061-433-5777

4대째 맛의 전통을 이어온 전통 한정식 명가이다. 1930년 강진읍 영랑로에서 호남관 이라는 한정식 식당과 여관 운영을 시작으로, 명동식당 (1985~2009)을 거쳐, 다시 상호를 변경하여 지금의 예향(2009~현재)이 되었다. 남도음식 명가 예향은 김치, 나물에 인공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멸치, 다시마 등 천연재료로 육수를 우려내 음식에 사용한다. 조선간장으로 간을 한 한우불고기, 식감 좋은 한우 생고기의 맛을 더한 매실 양념 고추장, 싱싱한 수산물과 원가를 생각하지 않은 좋은 재료가 자랑이다. 남도 대표 메뉴 홍어삼합을 시작으로 토하젓, 광어회, 떡갈비, 육회, 잡채, 피꼬막, 바지락 무침, 육전, 보리굴비에 전복구이와 새우 치즈 구이, 수수부꾸미까지 정갈한 음식이 끊임없이 나온다. 상차림에 따라 예정식 (140,000/4인 기준)과 향정식(160,000/4인기준), 수라상(180,000)상차림이 있다. 도보 10분 거리에 영랑생가와 세계모란공원이 있다.

수문항

수문항

11.5 Km    2     2023-04-24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수문리 151-42

수문항은 득량만 중서부 북서쪽에 위치한 어항이다. 청정해역과 바다 생태계의 보고인 수문항 서쪽으로는 사자산과 골치산, 삼비산에서 흐르는 물이 합수되어 수문천을 이루고 있다. 이곳은 매년 장흥 키조개축제가 개최되는 곳으로 장흥 여행 시 먹거리를 맛볼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수문항에 있는 수문 어촌체험 마을은 가족 단위의 관광객이 다양한 바다 체험을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다. 바다 다슬기 잡기, 갯벌 놀이, 키조개까기 체험, 바지락 캐기 등 평소 쉽게 경험하지 못하는 바다 체험을 할 수 있다. 전국적으로 서남해안의 갯벌 보전지구로 지정될 만큼 생태계가 우수한 수문항은 해산물 이외에도 쪽파, 감자, 벌꿀 등의 특산물로도 유명하다.

강진시장  (4, 9일)

강진시장 (4, 9일)

11.5 Km    11258     2023-12-05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시장길 17-14
061-433-5513

강진군은 기후 풍토와 지형적으로 수산물이 풍부한 곳인데, 특히 조기, 갈치, 김, 조개류 등의 산출이 많다. 이 중에서도 조개류로서 바지락과 고막은 이곳의 특산물로 손꼽히고 있다. 또한, 이것들은 강진의 장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강진만 일대에서는 바지락과 고막이 양식되고 있는데, 이 일대의 바다는 갯벌이 많아 바지락 양식의 천혜적인 최적지로 알려져 있다. 강진 장어 또한 오래전부터 이름나 있는데, 특히 탐진강 하구 쪽은 수심이나 수온 등이 장어가 서식하기에 아주 적합한 곳으로써 이 일대에서 잡히는 장어 맛은 일품이다.

강진상설시장

11.5 Km    1     2023-07-24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시장길 17-14

채소, 과일, 수산물, 축산물, 생필품 등을 판매하는 강진 상설시장은 2011년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인 문전성시 프로젝트에 선정돼 시설을 현대화하여, 주민의 먹거리와 생필품을 책임지는 소통의 장으로 거듭났다, 관내에서 생산한 신선한 농·축·수산물을 소비자에게 바로 제공할 수 있어 구매 만족도가 높고, 생산자들의 농가 소득도 증가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고급스러운 시설과 상품보다는 남도 답사 1번지 청자골 강진의 추억과 인정이 넘쳐흐르는 공간적 기능과 투박하지만 믿음이 가는 농축수산물로 소비자의 마을을 사로잡는 곳이다. 상인들은 질 높은 서비스와 신선한 제품을 제공하고 강진군은 쾌적한 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에 힘쓰고 있다.

설성식당

설성식당

11.5 Km    5098     2023-09-11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병영성로 92
061-433-1282

설성 식당은 조선 호국 역사유적지인 전라병영성이 있는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에 위치한 음식점이다. 질 좋은 돼지고기에 양념을 해 연탄불에 구워내는 불고기와 푸짐하게 차려지는 한정식을 맛볼 수 있다. 또한 전용 주차장 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자가용으로 방문하기 좋다. 지역주민들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모여드는 관광객들에게도 맛집으로 소문난 곳이므로 주말 및 공휴일에는 대기 줄이 길다.

병영연탄불고기

병영연탄불고기

11.5 Km    1     2024-04-04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병영성로 87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돼지불고기 거리에 위치한 병영연탄불고기는 단일 메뉴로 가마솥 연탄 불고기 백반만 판매한다. 매콤하게 양념한 돼지고기를 연탄불에 구워 보슬보슬하게 갓 지어진 가마솥밥과 함께 나온다. 또 홍어, 간장새우장, 된장찌개, 계란찜, 고등어 등의 밑반찬들이 한정식에서 차려질 만큼 푸짐하게 나온다. 다 먹은 가마솥 밥에 물을 부어 누룽지로 마무리하면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다. 2021년 7월 16일 KBS1 열린마당 방송에 출연한 바가 있다.

강진 삼인리 비자나무

11.5 Km    18410     2024-05-07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동삼인길 28-10

이 비자나무는 수령 약 500년으로 높이가 10m, 가슴 높이 둘레가 5.2m이다. 앞에서 볼 때에는 지상 1.87m에서 커다란 가지가 길게 뻗었으며, 뒤쪽에 가지는 짧고 양쪽 가지는 비슷하게 자랐다. 가장 큰 가지의 밑부분 둘레는 2.6m나 된다. 태종 17년에 전라 병마절도사영을 이곳으로 정했을 때 쓸만한 나무는 모조리 다 베어버렸으나 이 나무는 굽었고 키가 작아서 쓸모가 없었기 때문에 남게 되어 현재에 이르렀다고 전해오기도 한다. 조선 500년 동안 호남 지방의 방어 진지였던 병영성이 갑오동란으로 동학군에 함락되어 마침내 폐영될 때가지 이 근처에는 많은 병사가 있었으나 열매를 촌충 구제에 사용하기 때문에 잘 보호되어 온 것 같아 보인다.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여겨 매년 정월 대보름(음력 1월 15일)에 당산제가 열린다. 비자나무를 둘러보고 마을을 빠져나와 병영천 다리 건너 도보 약 10분 거리에 조선시대 전라도 육군 총지휘부였던 전라병영성과 하멜기념관 등이 있다.

강진 오감통

11.5 Km    733     2023-07-04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오감길 2

강진 오감통은 음악창작소, 먹거리 장터, 한정식 체험관 등으로 이루어진 복합문화공간이다. 화려한 공연, 눈과 입이 즐거운 산해진미, 특별한 재미가 넘치는 체험거리, 친환경 로컬푸드 등을 즐길 수 있다. 전남음악창작소는 지역 뮤지션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더불어 지역의 대중음악 소비자층을 확대하기 위해 지역 뮤지션과 지역 주민들을 위한 진정한 열린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