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장단콩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파주 장단콩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파주 장단콩마을

파주 장단콩마을

15.4Km    2024-12-04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통일촌길 64

장단콩마을은 파주 최전방 DMZ 안 민간인 통제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 1972년 12월 이전에는 경기도 장단군이었으나 경기도 내 장단군 장단면, 군내면, 진서면, 진동면 4개 면이 경기도 파주시로 편입하여, 현재는 파주시 전체면적의 20%를 차지하며 쌀, 콩, 인삼 등 특용작물을 주로 재배하고 있는 마을이다. 슬로푸드 체험 마을로 우리 콩과 우리 농산물을 지켜가며 많은 사람과 함께 나누고자 매년 장단콩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또, 장단콩을 주재료로 한 식당과 함께 다양한 체험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장단콩이란 이 지역 [장단] 지명을 따서 장단콩이라 하며 한국 최초의 콩 장려 품종으로 선정된 콩으로 맛이 뛰어나 임금님께 진상되기도 했다. 장단콩마을은 민통선 안에 있어 사전협의 후 방문 가능하다. 출입 신청은 파주 장단통일촌 콩 영농조합 사무실(031-953-7600)이나 식당 직통번호(031-954-3443), 대표자 휴대전화(010-9541-3442)를 통해 연락 후 입구 쪽에 신분증과 연락처를 제시하면 출입증이 발급된다. 개인차량 이용 시 검문소 바리게이트 앞 도로에 잠시 주차 후 전화를 하면 마을까지 안내 할 차량이 나온다.

통일촌장단콩마을

15.4Km    2024-11-18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통일촌길 64
식당 031-954-3443 가공공장 031-953-7600

우리나라 최북단 마을 통일촌에 위치한 통일촌장단콩마을은 판문점 검문소 안에 있어 일반인들이 찾아가기 쉽지 않아 더욱 끌리는 곳이다. 민간인 통제구역으로 묶여있는 청정지역에서 생산된 파주의 특산품인 장단콩을 이용한 다양한 두부 요리를 선보인다. 통일촌장단콩마을의 메뉴는 2인 이상 주문 가능한 장단콩 정식과 각종 찌개류(된장찌개, 청국장찌개, 순두부찌개, 콩비지찌개), 두부보쌈과 두부전골, 제육볶음, 계절 메뉴인 장단콩 국수 등 다양하게 있다. 그중에서도 된장, 청국장, 콩비지, 순두부 4종 세트가 차려지는 장단콩 정식이 대표메뉴이며, 방앗간에서 직접 짠 들기름으로 굽는 두부구이도 인기 메뉴이다. 한국식품연구원의 [전통식품 품질인증]을 받은 파주 장단콩 된장을 비롯해 각종 장류로 만든 한 끼의 행복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식사 장소는 신발을 벗고 이용하는 좌식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민간인 통제구역에 있기 때문에 방문 시 신분증을 지참하고 통일대교에서 연락해 식당에서 인솔자가 나와야 검문을 통과해 마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약 2시간가량 머물 수 있으며 식사 후 주변의 통일촌농산물직판장이나 파주 명품 장단콩 가공체험장 등을 둘러볼 수 있다. 자유IC에서 차량으로 약 4분 소요된다. 임진각(평화누리공원)이 바로 인접해 있고, 인근에 파주출판도시, 헤이리 예술마을, 세계문화유산 파주삼릉, 하니랜드, 퍼스트가든 등이 있다.

파주, 건강하고 맛있는 ‘장단콩’

파주, 건강하고 맛있는 ‘장단콩’

15.4Km    2023-08-10

장단콩은 임진강의 특산품이다. 장단지역에서 재배되는 인삼과 함께 장단 삼백으로 임금님 수라상에 올렸던 명품 콩이다. 민통선의 작은 마을. 해마루촌은 50년 넘게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어 울창한 산림 속에 수많은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다. 자연학습과 안보체험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지역 특산물인 장단콩으로 두부 만들기와 DMZ 별자리 관찰이 최고 인기다. 주변 관광지인 도라산 전망대와 평화누리, 헤이리 예술마을까지 돌아보려면 하루가 짧기만 하다.

통일촌마을

15.4Km    2025-03-25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통일촌길 220

통일촌마을은 전국 각지에서 모인 제대 군인 40가구와 실향 원주민 40명으로 이루어졌으며, 평화와 통일의 거점이자 관광 마을로 새롭게 태어난 지역이다. 검문소를 통과하면 고즈넉하고 평화로운 풍경이 펼쳐지는 민통선 내 마을이다. 마을 한복판에는 북한 땅을 아주 가까이서 볼 수 있게 해주는 망원경이 있으며, 그 망원경 옆으로는 대피소가 있다. 오랜 기간 동안 주민들이 지켰던 방공화와 무기고와 함께 곳곳에 전쟁의 상흔과 아픔이 함께 남아있는 곳이다. 통일촌마을은 민통선 지역에 위치해 있어 DMZ 관광 예약을 한 후 방문이 가능하다. 또한 실물 신분증 지참도 필수이다.

통일촌 부녀회 식당

15.4Km    2025-03-27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통일촌길 220
031-952-9558

군부대의 허가를 받고 들어가야 하는 통일촌 마을은 입구의 삼엄한 경비와는 다르게 무척이나 한적하고 평화롭다. 그 안에 있는 ‘통일촌 부녀회 식당’에서는 부녀회 회원들이 직접 재배하고 만든 정감 넘치는 반찬을 맛볼 수 있다.

아리랑갈비

아리랑갈비

15.4Km    2025-06-26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2261번길 36 (지행동)

동두천 지행역 4번 출구 바로 옆에 있는 아리랑갈비는 아리랑원, 이라랑 투, 아리랑신관 3개 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가 선정한 경기으뜸맛집으로 숯불갈비 전문점이다. 소고기, 돼지고기, 오리고기, 삼겹살, 불고기, 갈비탕, 돌솥밥, 냉면 등 다양한 메뉴를 먹을 수 있다.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도 있다. 동시에 약 500여 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으며, 100대 이상 주차할 수 있는 넓은 주차 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빔프로젝터, 마이크&스피커 등 최신식 음향 장비와 영상 장비를 구비하고 있어 각종 연회와 행사도 가능하다. ※반려동물 동반 불가(안내견만 가능)

생연칼국수삼계탕

생연칼국수삼계탕

15.4Km    2025-01-13

경기도 동두천시 생연로 124
031-863-2011

생연칼국수삼계탕은 경기도 동두천 대표 삼계탕 맛집이다. 담백하고 감칠맛이 나며 쫄깃쫄깃해 먹을수록 구미가 당기는 오골계탕은 맛과 보신을 겸한 음식으로 사랑받고 있다. 50년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이곳은 매일 아침에 도축한 신선한 계육을 2시간 40분간 쪄내는데 뼈까지 씹어 먹을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러워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만족감이 높다.

평남면옥

평남면옥

15.4Km    2024-12-10

경기도 동두천시 생연로 127
031-865-2413

메밀과 동치미로 맛을 내는 냉면 전문점이다. 2대에 걸쳐 40년 넘게 냉면을 만들어 내고 각종 방송사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시원한 육수와 쫄깃한 면발이 일품이며, 매콤한 양념의 비빔냉면, 어디에서도 먹을 수 없는 겨자무침, 볏짚으로 삶아 육즙을 살린 편육까지 맛볼 수 있다. 동두천 시외버스터미널 근처에 있어 찾기 쉽다.

덕정 별빛마을축제

덕정 별빛마을축제

15.5Km    2024-10-16

경기도 양주시 덕정길 28 (덕정동)
031-8082-4550

2024 덕정 별빛마을축제'는 국토교통부 선정 덕정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일환으로 공동체 화합과 지역 상권활성화를 위해 개최되는 축제이다. 올해 3회째를 맞고 있는 이번 축제는 주민참여형 도시재생 마을축제를 위해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덕정 별빛마을축제위원회에서 주관하게 된다. 19일 토요일, 오후 2시부터 오후 9시까지 덕정옆 앞 덕정 별빛거리일원에서 진행될 축제에서는 지역단체 및 초청 가수들의 메인무대 공연, 덕정 지역 상인들이 직접 참여해 운영하는 먹거리장터, 아이와 가족들을 위한 흥미롭고 신나는 체험, 별빛 포토존·보물찾기 등 축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덕정 도시재생사업의 주민거점시설로 활용되고 있는‘덕정 상권거점커뮤니티센터’에서는 덕정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이 마을카페와 어린이를 위한 와글와글 창의놀이터를 운영할 계획으로 축제 장소를 방문하는 방문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양키시장

양키시장

15.5Km    2025-05-15

경기도 동두천시 어수로83번길 6 (생연동)

동두천에 있는 양키 시장은 마치 영화에서 봄 직한 특수부대 요원들이 입고 다니는 독특한 옷과 모자 그리고 총을 제외한 장비가 가득한 곳으로 그냥 구경하는 것만으로도 재미있는 시장이다. 동두천의 지역 경제가 미군 2사단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었던 60년대에 미군 부대의 보급품과 수입품을 주로 판매하던 상점과 유흥업소가 이 시장 주변에 밀집되어 있으면서 호황을 누렸던 곳이나, 지금은 캠핑족들이 장비를 구입하기 위해 몰리고 있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