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음식문화거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아시아음식문화거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아시아음식문화거리

10.9 Km    0     2023-10-31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35번길 15

2014년 조성된 ‘아시아음식문화거리’는 광주광역시 동구가 문화 중심도시 선도 관광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야심 차게 마련한 곳이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주변, 구 시청사거리에 아시아 음식문화 거리를 만들어 남녀노소, 다문화 가정 등 모든 세대가 즐길 수 있는 아시아 음식관광 지역으로 조성되었다. 이색적인 아시아의 각국 음식을 소개하고, 관광객에게 특색 있는 남도 음식도 알리는 문화 콘텐츠가 될 수 있도록, 아시아 음식점은 물론 음식문화 창업 교육을 하는 ‘음식 공방’ 등이 마련되었다. 광산동에서 금동·블로동 간 경관 조명 등을 설치하여 빛의 거리를 조성하는 등 미향 광주 특화 거리로 만들어나가고 있다.

박순자 녹두집

박순자 녹두집

10.9 Km    2     2022-12-06

광주광역시 동구 구성로204번길 26

사장님 얼굴을 간판에 걸고 장사하는 곳으로 믿음이 가는 동네 맛집이다. 1987년 7월 700원의 가격으로 시작한 박순자녹두집은 오랜 전통만큼이나 맛과 열정을 자부하는 손수제비집으로 동구 예술가의 거리 부근에 있다. 수제비, 콩나물국밥, 빈대떡, 코다리찜 등의 메뉴를 맛볼 수 있는 한식당으로 미역, 바지락, 계란 등을 넣어 구수하게 끓인 수제비가 특히 인기다. 기본 찬으로는 소량의 두부김치와 겉절이김치, 콩물, 깍두기가 함께 제공된다. 매장 안에는 좌식의 별도 룸도 3곳 있고 나머지는 입식이다. 지산유원지, 동리단길카페거리 등이 주변에 있어 연계 관광하기 수월하다.

5·18민주화운동 기록관

10.9 Km    0     2024-05-28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1 (금남로3가)

5·18 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18일부터 열흘간 전라남도 광주에서 촉발된 항쟁, 항거운동으로 대한민국을 지금의 민주주의 국가로 만든 역사적인 운동이다. ‘5·18 민주화운동 기록관’은 5·18 민주화운동 기록유산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영구 보존하고, 5·18의 역사적 의미를 세계인들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 1980년 5월 역사적 현장이었던 옛 광주가톨릭센터에 2015년 설립되었다. 광주 시민들의 노력으로 201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에 등재된 5·18 민주화운동의 기록들을 직접 관람할 수 있고, 정기해설, 온라인 전시관 등을 이용한 관람도 가능하다. ‘5·18 민주화운동 기록관’은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역사를 간직한 곳이다.

구시청사거리

10.9 Km    1     2024-01-10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35번길 17 (금동)

광주가 광주면이던 시절 면사무소가 위치한 곳이 바로 지금의 구시청 사거리 일원이다. 1925년~1960년대 중반까지 광주시청사가 있었던 곳이라 광주사람들은 오랜 습성으로 구시청이라고 부른다. 이렇듯 광주에는 공식 지명이 아닌 광주사람들끼리만 통하는 지명들이 있다. 대표적 지명 중 하나가 [구시청사거리]인 것이다. 사거리 중앙에는 노란 철제건축물인 폴리(Folly)가 있는데 사방을 향해 열린 창문의 형태를 하고 있다. 마루 없는 사각형 정자 모양이고 중앙광장에는 노란색 선이 폴리를 기준으로 둥글게 그려져 있는데, 이는 폴리를 뱅글뱅글 맴돌고 있는 느낌이다. 열린공간 폴리는 프랑스 작가 도미니크 페로의 작품으로 한국 건축물의 누각과 처마에서 컨셉을 가져왔다. 광주폴리는 2011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개막을 앞두고 광주 구도심 곳곳에 11점의 소형 건축물을 조성한 특별 프로젝트이다. 폴리의 건축학적 의미는 『본래의 기능을 잃고 장식적 역할을 하는 건축물』을 뜻한다. 아시아 음식문화거리 안에 있는 구시청사거리는 광주시민들이 술 한 잔과 문화를 통해 일상의 피로를 달래고 삶의 담론을 펼치는 정겨운 쉼터이며 젊은이들의 문화가 집약된 곳이기도 하다. 주변 관광지로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인쇄거리, 양림동 근대역사문화마을 등이 있어 골목탐방에 더욱 다채롭고 풍성한 재미를 제공한다.

ABC마트 광주충장로2가

ABC마트 광주충장로2가

11.0 Km    0     2024-03-24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 89-1

-

광주 충장로 케이팝 스타의 거리

광주 충장로 케이팝 스타의 거리

11.0 Km    9     2023-02-08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2가 16 충장로우체국

제이홉 홉월드 K-팝 스타 중 광주 출신의 스타들을 기념하기 위해 조성된 거리다. 거리 내에는 가수들의 앨범 재켓을 그린 벽화와 곡 제목으로 꾸민 벤치, 핸드프린팅, 조형물 등이 있다. BTS의 곡을 테마로 컬러풀하게 꾸며진 벤치에 제이홉이 직접 들러 인증샷을 올린 후 팬들의 성지가 되었다. 이곳을 들른 소감과 감사의 메시지도 함께 남겨두어 '아미'라면 놓칠 수 없는 필수 코스 중 하나다.

카페갈라

카페갈라

11.0 Km    2     2022-10-25

광주광역시 북구 신용산길 66

카페 갈라는 광주광역시 신용동에 있는 디저트 카페로 루프탑에서 영산강 습지의 생태와 철새를 볼 수 있어 인기가 많은 곳이다. 저녁노을을 전망하려는 손님들을 위해 가을, 겨울에도 루프탑을 개방하고 있다. 주차 공간이 넉넉하고 카페 내부가 넓어 여유 있고 조각 케이크, 쿠키, 베이커리 종류를 판매하고 있어 아이들과 방문하기에도 좋다. 저녁에는 맥주도 마실 수 있다. 1층부터 3층까지 연결된 카페로 전망 좋은 자리를 원한다면 3층을 추천한다. 다양한 디자인의 테이블과 의자를 배치해 두었고 공간을 활용한 포토존들이 많아 사진 찍기에도 좋다.

에잇세컨즈 충장로점

에잇세컨즈 충장로점

11.0 Km    0     2024-03-23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 93-5

-

광주 대인시장 (대인예술시장)

광주 대인시장 (대인예술시장)

11.0 Km    6586     2024-05-17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184번길 9-10

광주의 전통시장의 변화는 바로 매주 토요일 저녁 발 디딜 틈 없이 붐비는 대인시장의 성공적인 변화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충장로와 금남로가 번화가로서 중심을 이루고 있는 광주의 상업구도에서 대인시장은 유일하게 시내에 자리 잡고 있어 그 인기와 효용가치는 매우 컸다. 어물과 채소류 도매시장으로, 생선과 건어물은 물론 수산물 거래량이 많고, 더불어 양품점과 포목 비단점, 양은그릇과 미곡상이 있어 과거부터 시민들은 시내에 볼일을 보고 나서 함께 대인시장을 들려 장을 보았다. 대인시장도 1990년대 중반 이후 침체기를 겪었다. 대형마트의 등장과 비위생적이고 도태되어 보이는 전통시장의 모습은 사람들의 발길이 뜸하게 만든 원인들이었고, 악성적자를 이유로 하나 둘 점포들이 비기 시작했다. 하지만 2008년 광주비엔날레의 ‘복덕방프로젝트’로 비어 있던 점포에 예술 작품이 전시되고, 그를 기화로 ‘예술이 동거하는 시장’으로써 대인시장은 거듭나기 시작했다. 연이은 호재로 대인시장이 2013년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선정되면서 대인시장에 있어 예술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현재 광주 대인시장은 예술가와 상인들이 함께 거주하는 공간이 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예술 활성화 거점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28년까지 토요예술야시장 연장이 확정되었다.

충장상권르네상스 라온페스타

충장상권르네상스 라온페스타

11.0 Km    0     2024-05-31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 101-3 (충장로1가)
062-952-0311

충장르네상스 라온페스타는 충장로 상권 활성화를 위해 매달 다채롭고 특별한 행사로 충장로 거리를 가득 채운다. "다달이 만나는 즐거움, 라온!" 2024년에는 매달 새로운 컨셉과 다채로운 컨텐츠로 채우는 <월간 라온>을 진행한다. <6월 라온>은 "신나는 비트 때문에 앉을 수 없는 즐거움""을 컨셉으로 스탠딩펍과 DJ&힙합 퍼포먼스 쇼로 충장 거리를 채운다. 맛있는 푸드트럭과 시원한 생맥주를 자유롭고 힙하게 즐기는 스탠딩 펍! 힙한 비트와 신나게 춤추는 DJ 퍼포먼스쇼와 그래피티&힙합 공연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