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Km 2023-08-08
율곡이이 선생의 흔적을 따라 유교의 길을 걸어보는 여정이다. 유교 교육의 산실 향교부터 파주 이이유적, 율곡리에 자리한 화석정을 지나면 평화누리길 9코스에 해당하는 적벽산책로와 마주한다. 임진강 건너 북녘이 바라보이는 산책로는 역사와 문화, 나아가 삶과 마주하는 생각의 길이 되어준다. 임진강 위를 유유히 오가는 황포돛배 체험도 빼놓지 말자.
4.6Km 2025-03-24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선유리
화석정은 조선의 대학자였던 율곡 이이가 유년시절과 여생을 보냈던 곳으로 그와 얽힌 여러 가지 이야기가 내려오는 곳이다. 임진나루는 화석정 근처에 있는 나루로 임진강 이편과 저편의 옛 의주대로를 잇는 길목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철조망으로 가로막혀 임진각 이북으로는 길을 이을 수 없다. 그래서 의주길은 임진각으로 길을 이었다. 이제는 분단의 상징이 된 임진각에서, 한반도를 넘어 세계로 이어지는 의주길의 꿈과 평화를 기원해 본다. 임진나루길은 총 13.8㎞이며, 4시간이 소요된다.
4.7Km 2024-11-27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주라위길 60-6
82-10-4105-2576
#본 업소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외국인만 이용이 가능하며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DMZ 인근 위치한 외국인 전용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등록업체이다. 중국어에 능통한 운영자가 있어 외국인 관광객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부대시설로 드럼세탁기, 전자식 소파, 독일 및 일본식 그릴, 토스터기, 전기밥솥, 가스레인지, 에어컨, 냉장고, 전자레인지, 55인치 TV가 있다. 무료 주차를 할 수 있다. 와이파이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난방 보일러가 설치되어 있다. 공항에서의 픽업과 DMZ투어 서비스를 유료로 이용할 수 있다.
4.8Km 2025-08-29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향양리
조선 중기 성리학의 대가인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 선생의 묘이다. 휴암 백인걸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우고 율곡 이이(李珥)와 사귀면서 평생의 친구가 되었다. 묘역은 부인과 합장한 하나의 봉분 형태이다. 묘제(墓制)는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석물은 새것과 섞여 있다. 봉분의 정면 오른쪽에는 묘표(墓表; 무덤 주인공의 이름 등을 새긴 비석)를 세웠다. 1649년(인조 27)에 건립한 것이고, 비문은 김집이 짓고 외손자인 윤순거가 글씨를 썼다. 보편적인 옥개방부형(屋蓋方趺形; 지붕모양의 머릿돌과 사각 받침돌의 비석 형태)이지만 안정적이고 당당한 형태이다. 하단에는 동자석인 1쌍을 조성하였다. 머리는 쌍계형(雙髻形; 두 개의 상투머리가 위로 솟은 형태)으로 묶고 두 손에는 지물을 든 형상이다. 부친인 청송 성수침 묘에도 동자석인을 조성하였는데, 창녕 성씨 가족의 공통적 묘제로 볼 수 있다. 묘역 입구에는 성혼의 신도비(神道碑; 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 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석)가 있는데, 김상헌이 글을 짓고 김집이 글씨를 썼다. 전액(篆額; 비석의 이름을 전서체로 새긴 부분)은 김상용이 썼다. 이 묘역은 묘제와 다양한 석물의 원형이 유지되고 있어 중요하다. 특히 동자석인의 조성은 지역적 공통성과 연관 지을 수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다. (출처 : 국가유산청)
4.9Km 2025-03-24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53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은 1950년 6·25전쟁 이후 오늘까지 납북(拉北)피해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전시납북피해자의 문제를 과거가 아닌 현재의 문제로 인식하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공간이다. 기념관은 납북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피해자와 그 가족을 위로하며 대한민국의 가슴 아픈 역사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대한민국의 국민이자 우리의 소중한 가족, 이웃이었던 납북자 한 사람 한 사람을 기억하며, 생존해 계신 분들의 무사귀환을 기원하는 납북문제 해결의 공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인간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권리인 가족과 함께하는 삶조차 보장받지 못한 채 어렵게 살아오신 납북피해자와 그 가족들의 슬픔을 돌아보고 평화의 가치와 통일의 의미를 되새기는 공간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5.0Km 2025-09-19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64
031-950-8431~5
2025 파주포크페스티벌은 오래도록 마음을 울려온 포크 음악의 가치를 다시 바라보며, 시민과 예술이 함께 숨쉬는 페스티벌이다. What is Folk? 포크를 다시 묻고, 포크의 오늘을 다시 듣는 이 축제는 공연장에서 무대 밖 광장으로, 음악에서 이야기로 확장되며 더 많은 이들이 포크를 편안하고 따뜻하게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한다.
5.0Km 2025-03-20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64
임진각-도라산 코스는 총 21.4㎞ 길이로 1.4㎞ 도보 이동이 진행되는 DMZ 평화의 길 테마노선 코스 중 하나이다. 코스는 평일 오전 및 주말 코스와 평일 오후 코스가 상이하여 원하는 코스로 선택하여 방문하면 된다. 평일 오전 및 주말 코스는 임진각 → 생태탐방로 → 제3땅굴 → 도라산 평화공원이며, 평일 오후 코스는 임진각 → 생태탐방로 → 제3땅굴 → 남북출입사무소 출입경 → 도라산역으로 진행된다. 구 장단면사무소와 장단역 죽음의 다리 등 전쟁의 아픔이 깃들어 있는 분단의 땅 파주는 남북 군사대치의 최접점이기도 하지만 판문점이 위치해 있어 평화와 남북교류를 위한 길목의 역할을 하는 곳으로 평화관광의 현주소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코스이다.
5.0Km 2025-09-01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77
임진각은 한국전쟁과 민족 분단의 아픔을 간직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평화관광지이다. 이곳에는 임진강지구 전적비, 미국군 참전비 등 다양한 전적비가 설치되어 있다. 한국전쟁 전 북쪽 신의주까지 운행하던 기차가 전시되어 있다. 임진철교는 두 개의 철교 중 하나가 전쟁 중 파괴되어 교각만 남아 있다. 망배단은 실향민들이 북녘 가족을 향해 절을 올리는 장소이다. 임진각은 이산가족의 아픔이 서린 장소로 알려져 있다. 매년 수백만 명의 내·외국인이 임진각을 방문한다. 이곳은 통일을 염원하는 통일안보관광지로 기능하고 있다. 전시관, 평화누리, 평화 곤돌라, 6·25 전쟁 납북자 기념관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임진각 일대는 총 14만 평 규모의 대규모 관광지로 조성되어 있다.
5.0Km 2024-11-21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77
031-940-5281
파주장단콩축제는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장단콩 이야기"라는 주제로 다양한 볼거리와 먹거리, 놀거리와 살거리로 구성되어있다. 볼거리부문은 파주장단콩 개발요리 전시관, 파주쌀 판매촉진을 위한 '밥맛시식회', 파주장단콩전시관과 버스킹·무대공연, 전시관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정보제공 및 소통을 위한 홍보관도 함께 진행한다. 먹거리부문은 두부·빵·떡 등 즉석가공식품을 판매하고, 파주장단콩 특색 먹거리를 위한 시민단체가 운영하는 향토음식 판매점을 운영한다. 놀거리부문은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를 위한 꼬마메주만들기, 콩타작체험, 고추장담그기, 김치담그기 등 유·무료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해 축제 분위기를 한층 끌어올릴 예정이다. 마지막 살거리부문은 생산이력제로 관리된 파주장단콩을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장단콩판매장을 운영, 농업인이 직접 생산한 농산물을 판매하는 '재래장터'운영하여 지역명품인 파주장단콩의 품질 보증 및 신뢰성을 안겨준다.
5.0Km 2025-09-18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77
031-940-5282
파주개성인삼축제는 "마법처럼 힘 솟는 DMZ 개성인삼"을 주제로 거리를 조성해 다양한 볼거리와 먹거리, 놀거리를 마련한다. 즐겁게(볼거리)부문은 총 20여개팀이 참가하는 장단삼백요리 전국 경연대회, 버스킹·무대공연, 전시관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정보제공 및 소통을 위한 홍보관도 함께 진행한다. 맛있게(먹거리)부문은 파주개성인삼축제 본연의 목적을 위해 축제 기간동안 축제에 오는 모든 이들이 좋은 싱삼을 구입할 수 있도록 직거래 판매점을 운영한다. 함께(놀거리)부문은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 가능한 유·무료 체험프로그램 운영, 인삼경매전 등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