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년의 시간을 오감으로 느끼는 하룻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300년의 시간을 오감으로 느끼는 하룻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300년의 시간을 오감으로 느끼는 하룻밤

300년의 시간을 오감으로 느끼는 하룻밤

12.9 Km    5124     2023-08-10

충남 서산시 한다리마을은 경주 김씨 집성촌이다. 안주목사를 지낸 김연이 서흥부사로 재직할 때 임꺽정을 토벌하고 얻은 사패지를 근거로 약 500년 전 들어와 집성촌을 이뤘다. 이곳의 고풍스러움과 정갈한 전통음식체험도 잊지 말자.

예산 오추리 고택(정동호 가옥)

예산 오추리 고택(정동호 가옥)

13.2 Km    15736     2023-12-04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지곡오추길 133-62

정동호 가옥이라고도 하는 예산 오추리 고택은 고덕IC 인근에 보존된 전통 초가집이다. 이 아담한 집은 공간 짜임새가 주변환경과 어우러져 풍수지리상 명당이라 할 수 있으며 중부 지방 농가의 일반적 형태를 갖췄다. 이 가옥은 19세기 초반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서쪽에는 언덕, 동쪽에는 평야가 펼쳐져 있다. 넓은 들판 중간에는 일렬로 나무를 심어 공간감을 형성하고 그 밑에 연못을 팠다. 이 집은 안마당을 중심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곳간채와 부엌, 광(창고)이 왼쪽과 오른쪽을 감싸고 있어 전체적으로 튼 ㅁ자 모양을 하고 있다. 본채와 별도로 헛간채와 화장실이 있다. 안채는 앞면 5칸 규모로 방 3칸과 부엌, 광으로 되어있고 방 앞에는 툇마루가 있지만 대청마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사랑채는 4칸 규모로 2칸의 사랑방과 대문간 및 광으로 구성되어 있고, 안채와 마찬가지로 방 앞으로 툇마루가 있다. 사랑채 옆에 있는 원뿔 모양의 낮은 토담 위에는 속이 빈 통나무 굴뚝이 있었는데, 이러한 형태의 굴뚝은 산간지대에서 사용하던 것이다. 현재는 통나무 굴뚝을 대신해 함석 굴뚝이 있다. 1984년에 그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고 비어 있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주변에는 가야산, 덕산온천, 충의사(매헌 윤봉길 의사 유적), 내포보부상촌, 합덕제수변공원, 합덕성당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강댕이 미륵불

강댕이 미륵불

13.4 Km    21102     2023-12-05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마애삼존불길 18-1

이 미륵불은 강댕이로 진입하는 지점에 설치된 강당교에서 북쪽으로 약 100m 지점의 전(前) 군장동 안, 현(現) 고풍저수지 안에 있었다. 이곳은 지대가 높아 지금도 섬처럼 되었으며 풀이 자라고 있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곳이 저수지로 수몰되게 되어 현재의 위치로 옮긴 것이다. 조성연대는 고려말~조선초로 추정되는데 높이는 216cm, 어깨의 폭은 65cm, 두께는 25cm이고 머리에 보관을 쓰고 있으며, 오른팔을 위로 올려 가슴에 붙이고, 왼팔은 구부려 배 위에 대어 서산지방의 다른 미륵과 같은 형식이다. 전설에 의하면 서해로 통하는 중국 사신들이 오가는 통로에 세워졌다고 하며 또는 보원사를 수호하는 비보장승이었다고 한다.

만해 한용운선생 생가지

만해 한용운선생 생가지

13.5 Km    33477     2023-07-06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만해로318번길 83

토굴새우젓으로 소문난 홍성군 광천읍 외곽 도로 사거리에서 우회전, 천수만 방면으로 향해 가다 보면 결성면 소재지가 나온다. 결성 우체국 앞에 이르러 우측으로 심하게 굽은 도로를 따라가면 만해 한용운 선생 생가에 닿게 된다. 양옆으로 과수원들이 옹기종기 들어선 한가로운 길에다가 안내판도 잘 되어 있어, 생가를 찾아가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그 길이 끝나는 곳에 이르면 초가집 두어 채가 보이는데 바로 한용운 생가이다.

주차장을 지나자마자 오른 편에는 생가터 안내문, 왼편에는 초가로 지어진 관리사무소가 있다. 싸릿대 울타리로 복원된 만해 선생의 생가는 초가지붕을 얹었으며 방 2칸, 부엌 1칸으로 구성된 일자형 구조로 한용운이란 문패가 걸려있어, 생전의 만해 선생이 마치 그곳에 거주하고 있는 듯한 감상에 빠져든다. 댓돌이며 툇마루가 한없이 정겹고 우물과 장독대를 돌아 집 뒤 야산 언덕배기를 올려보면 적송과 조릿대가 자란다. 슬쩍 방 안을 기웃거리자니 만해의 영정과 앉은뱅이책상 하나가 쓸쓸히 방문자들을 맞이한다. 부엌 옆은 장작을 쌓아두는 헛간이고 사랑방 옆은 절구통과 맷돌이 보관된 헛간이다.

생가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위패와 영정을 모신 만해사라는 사당이 있어, 다시금 옷깃을 여미게 만든다. 1879년 이곳 성곡리에서 태어난 한용운 선생은 6세부터 성곡리 서당골에서 한학을 배워 9세에 문리를 통달, 신동 소리를 들으며 자랐다. 26세에 강원도 백담사에 들어가 불문에 입도. 삼일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을 내면서 저항 문학에 앞장섰는가 하면, 불교개혁운동에 일생을 바쳤으며 1944년 6월 69세의 나이로 서울 성북동 심우장에서 별세했다

대흥향교

13.6 Km    17250     2023-12-05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교촌향교길 88

향교는 공자와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교육기관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1894년 갑오개혁으로 근대 교육이 본격화되면서 교육적 기능은 폐지되었다. 대흥향교는 예산 예당저수지, 대흥슬로시티 인근에 위치한 향교이다. 이 향교는 1405년(태종 5)에 지금보다 약 50m 북쪽에 처음 들어섰다가 1591년(선조 24)에 지금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그 후 여러 차례 중수 및 보수와 시대 변화를 거쳐 지금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내부에는 명륜당, 대성전, 동재, 서재, 수직사, 전교실 등의 건물이 남아있다. 1997년에는 가치를 인정받아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향교 앞에는 수령 500여 년의 거대한 은행나무가 서 있는데, 특이하게도 약 150년 전부터 중간 부분에서 느티나무가 자라 한 몸이 되었다. 향교를 굽어보는 이 나무에서는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가 열린다. 주변에는 예당저수지(예당관광지), 대흥슬로시티 외에 예당호중앙생태공원, 의좋은형제공원, 봉수산, 봉수산자연휴양림, 봉수산수목원, 임존성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문수사(서산)

문수사(서산)

13.9 Km    23092     2023-12-11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문수골길 201

문수사의 확실한 창건연대 기록이 전하지 않아 정확한 창건연대를 알 수 없지만 1973년에 극락실전 내에 안치된 금동여래좌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에서 고려제 29대 충목왕 2년(1346)이란 기록이 있어 고려 때 창건된 사찰로 추정된다. 한편 발원문 발견 시에 생모시, 단수포, 쌀, 보리 등 600여 점이 함께 발견되기도 하였다. 조용한 산사분위기를 느낄 수 있으며 봄철에는 주위의 산과 목장에 벚꽃과 야생화가 어우러져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한다. * 문수사 극락보전 극락보전은 주심포식과 다포식을 절충한 아름다운 건물로 충청남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앞칸 3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 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물이다. 앞면과 뒷면의 기둥 사이마다 2개의 공포를 배치했으며 옆면에는 공포를 두지 않아서 맞배지붕 건물의 일반적인 옆면 설계방식을 따르고 있다. 내부에는 중앙에 불단을 배치하고 그 위에는 화려한 닫집을 달았다.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깔아서 의식을 행할 때나 도를 닦는데 도움이 되게 하였다. 극락보전은 조각 수법이 매우 수려하고 웅장하며, 여래상을 비롯하여 삼세불상과 나한상·각종탱화 등 많은 유물을 보관하고 있다. * 문수사금동여래 좌불상 극락보전 내에 봉안된 금동여래좌불상으로 앉은 높이 70cm, 무릎 폭 50cm이다. 이 좌불상은 고려 제29대 충목왕 2년(1346)에 조성관 단아한 금동불좌상으로 장곡사금동약사불좌상(보물)을 비록산 고려 후기 불상 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계란형의 갸름한 얼굴, 가늘고 적정한 눈, 오뚝한 콧날, 미소를 머금은 단정한 입 등 섬세한 표현이 단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균형 잡힌 체구에 하품중생인의 손모습 등 신체는 현안 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또한 신체의 특징 뿐 아니라 적절하게 가해진 옷주름 왼쪽 팔꿈치의 Ω자형 주름과 가슴의 승각기와 띠매듭 등 모든 점에서 장곡사불상과 동일한양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성연대도 같고 또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같은 조각가의 작품이거나 혹은 동일 유파의 작품일 가능성이 있다.

예산 임존성

14.0 Km    40027     2024-05-20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마사리 산28

예산 임존성은 예당저수지 서쪽 인근 봉수산에 축조된 백제시대 산성으로 예산 제4경으로도 선정되었다. 외벽은 돌로 쌓여 있고 안은 흙으로 메워진 테뫼식 석축산성으로 둘레 약 4km, 높이 약 2.5m, 폭 약 3.5m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660년(의자왕 20)에 백제가 나당 연합군에 망했을 때 복신, 도침과 흑치상지 장군이 3년여 동안 백제 부흥운동의 거점으로 활용하였으며, 백제의 산성 중에서도 규모가 상당히 큰 편이라 산성 연구에 많은 기초가 되고 있다. 1963년에는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봉수산자연휴양림 등을 통해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거나 남서쪽 마사리에서 임도를 통해 차량을 이용해 오를 수 있다. 정상부에서는 예당저수지 외에도 오서산, 백월산, 가야산 등을 전망할 수 있으며, 가을에는 아름다운 단풍을 만나볼 수 있다.

에덴힐스 힐링파크

14.0 Km    1     2023-07-21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 와룡로126번길 76-64

뷰티 테마파크는 여기에!충남 홍성에 위치한 천연 소재 및 화장품 전문 제조기업 주식회사 씨앤비바이오에서 조성한 브랜드 체험공간이다. 주변이 나무와 꽃들로 둘러싸인 숲속에 위치한 뷰티 힐링파크이다. 번잡하고 삭막한 도심에서 벗어나, 고요한 자연 속에서 여유를 만끽할 수 있다. 건강한 피부를 위해 다양한 제품들과 프로그램에 참여해 보자.

예당호 조각공원

예당호 조각공원

14.0 Km    1185     2024-02-02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 예당관광로 123

예당호 조각공원은 예산군 예당관광지 부지 내에 2004년에 조성된 공원이다. 이 공원은 넓은 예당저수지(예당호)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으며, 그 이름처럼 조각상들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조각은 중견작가와 공모작가들이 제작하였으며 예산 사과를 포함한 자연, 인간, 사랑 등을 표현한 작품들이 있다. 또한 6.25 전쟁 참전 기념비와 대한민국 해군 창설의 주역인 예산 출신 정극모 해군 제독 등 국가유공자들의 동상이 건립되어 있다. 이곳은 예당관광지 내의 모노레일, 출렁다리, 수변 야외무대, 팔각정, 산책로, 야영장 등과 어우러져 한 폭의 서양화가 연상되도록 작품을 배치하였다. 주변에는 예당저수지, 예당관광지 외에도 봉수산자연휴양림, 봉수산수목원, 예산황새공원, 광시한우거리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예당관광지국민여가캠핑장

예당관광지국민여가캠핑장

14.0 Km    1     2023-01-09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 예당관광로 123

예당관광지 국민여가캠핑장은 충남 예산군 응봉면에 자리 잡았다. 예산군청을 기점으로 8㎞가량 떨어졌다. 자동차에 몸을 싣고 예산로, 역전로, 예당관광로를 차례로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20분 안팎이다. 이곳은 충남의 젖줄인 예당저수지 호반에 터를 잡았다. 게다가 사시사철 풍경을 달리하는 산으로 둘러싸였다. 이처럼 산자수명한 덕택에 캠핑장 개장 기간에는 캠퍼들로 넘쳐난다. 캠핑장에는 자동차 야영장 27면을 마련했다. 바닥 형태는 모두 잔디로 이뤄졌으며, 사이트 크기는 가로 7m 세로 8m다. 개인 트레일러와 개인 카라반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관리소에서는 릴선을 대여해준다. 평일 주말 모두 운영하지만, 매년 1~2월에는 휴장 한다. 예약은 온라인 실시간으로 받는다. 캠핑장 주변에 봉수산자연휴양림, 추사 김정희 선생 고택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캠핑장 주변에 한식, 일식, 중식 등을 전문으로 요리하는 음식점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