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86 2019-02-15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곡성로 856
061-363-9002
곡성기차마을 전통시장은 1956년 개설된 장옥형의 중형시장으로 매월 3·8일마다 열린다. 곡성 5일장이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으로 2009년에 새롭게 입주하면서 곡성기차마을 전통시장으로 이어나가고 있으며, 주로 곡물류와 면포·죽공예품·밤·그릇류 및 기타 일용잡화, 특산물인 토종꿀과 석곡면의 돌실마포가 거래된다.
5176 2019-02-15
경기도 광명시 광명로831번길 34
02-2614-5292
식료품 중심으로
판매하는 소매시장으로 광명6동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다. 1986년부터 생긴 점포들이
지금은 200여 개의 점포가 들어선 대형 재래시장의 면모를 갖추었다. 주변이 주택가라는
이점을 살려 식료품을 싱싱하고 저렴하게 판매한다는 특징이 있다.
7593 2019-02-15
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로 159
063-640-2404
오수시장은 3개시군(남원, 순창, 장수)과 7개면의 교통이 요충지로써 장날이면 각 지역에서 몰려드는 장사꾼과 지역에 토박이 농부들이 판매하는 각종 채소, 과실, 생선, 잡화 등으로 오수시가지는 북새통을 이루고 있으며 투박한 시골사람과 깍쟁이 장사꾼과 물건 가격을 흥정하는 광경은 아직까지도 시골시장의 정취를 물씬 풍기고 있는 장터이다.
14992 2019-02-14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동2길 18
063-221-5336
전주서부지역의 유일한 시장으로, 완주군, 김제시 농가의 직접 생산품인 채소, 과일 등 청정 식료품 등이 직거래되는 유통시장이다.
20913 2019-02-14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평3길 70
063-253-6535
전주
중앙시장은 전통재래시장의 성격을 띤 전주의 4대시장 중에 한곳이다. 전주 4대시장은
남부시장,동부시장,중앙시장,모래내시장으로 이루어져있다. 특히 중앙시장의 떡골목은 버스정류장에서 시장으로 들어서는 입구에 자리하고 있고, 보통 마트에서
판매하는 떡가격의 반값도 되지 않게 맛 좋은 떡을 살 수 있어 오가는 손님들의 발걸음을 붙잡고 있다.
16167 2019-02-14
전라남도 여수시 좌수영로 16-6
061-642-6720
1934년 여수읍 시장으로 개설, 1982년 5월 상설시장으로 개설허가되었다.
13700 2019-02-14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하세동길 9-1
061-659-1060
덕양장은 전남에서도 널리 알려진 가축시장으로 유명하며 옛날부터 농사를 짓지 아니한 농가의 생활터전이기도 하다. 소시장은 1933년에 개설 3,8일장으로 현재 에 이르고 있다.
11248 2019-02-14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천년로 1459
061-350-5861
전남 영광의 5일장은 매월 1일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에 서는데 영광의 장터에서 가장 특기할 만한 것은 역시 그 유명한 `영광굴비’이다. 그만큼 `영광굴비'는 예로부터 유명하다.
15006 2019-02-14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개포로 34-1
061-550-6173
예로부터 수산업이 발달되어 왔으며 지금은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특히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곳곳마다 관광 자원과 풍부한 어족 자원이 널려
있다. 특히 청정해역에서 생산되는 돔, 광어, 전복, 농어 등의 싱싱함은 전국의 제일
로 잘 알려져 있으며 김, 미역, 다시마는 성인병 예방과 여성들의 피부 미용에 좋다.
완도장은 매월 5일을 기준으로 5일 단위로 열리며 전통적인 재래시장이다. 풍성한 먹
을거리, 갓 집에서 수확한 각종 채소와 싱싱한 해산물이 주류를 이룬다.
12379 2019-02-14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용인길 4
061-860-0704
매월 1, 6일 등 5일 간격으로 장이 서고 있으며 주로 용산면 지역주민이 이용하고 있고, 평일장에는 30 ~ 40명의 상인이 장을 펴고 장사를 하며 명절때는 배이상의 상인이 몰려 성황을 이루고 있다.
12472 2019-02-14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석교리 245-1
061-540-3605
십일시장은 매월 4, 10, 14, 20, 24, 30일 또는 31일에 장이 열리며 고추, 마늘, 채소류, 어물류, 잡화류을 판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