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쇼핑 정보를 소개합니다.

안성마춤유기공방

안성마춤유기공방

18339     2024-05-27

경기도 안성시 중앙로 448
031-675-2590

안성유기는 "안성맞춤"의 대명사로 통한다. 놋쇠 또는 통쇠라고 하며 장인정신과 뛰어난 솜씨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기에 이렇게 불렀다고 전해진다. 안성유기는 한동안 그대로 잘 유지되어 오던 것이 일제침략으로 인하여 1941년부터 일본이 태평양전쟁을 일으키면서 전국에 있는 유기를 거두어들임으로 큰 타격을 받게 되어 일시에 안성유기가 없어지는 큰 수난을 겪게 되었다. 그러나 뜻있는 유기공들은 산으로 숨어들어 계속 유기를 만들었다. 전쟁중에는 안성 유기가 별로 성행을 보지 못하여 5~6곳이 있을 정도였으며 대부분 일제의 눈을 피하여 산 속 등지에서 숨어 제작하였다. 그러나 해방과 더불어 안성 유기는 갑자기 성행하여 안성 시내 곳곳에서 유기업이 번성하였다. 이때는 식기류인 반상기를 중심으로 하여 수저,젓가락, 담뱃대 등을 비롯하여 해방의 감격으로 급격히 성행한 농악기구까지 만들게 되었다. 본래 농악기구는 방자(놋쇠를 달군 후 두들겨 만드는 방법)식으로 제품을 만드는데 안성 유기의 특징은 주물제작법이었으므로 이때부터 안성유기에도 방자 제작법이 성행하여 안성유기의 절정을 이루었다. 그러나 안성유기도 거대한 생활 변화로 밀려오는 시련은 어쩔수 없었다. 그것은 광복 후 반짝하고 빛나던 성황이 사라진 것이다. 왜냐하면 일반 생활에 있어서 연료의 변화가 온 것이다. 본래 우리나라의 일반적 연료는 장작을 위주로 한 나무였다. 그러나 6.25가 지나고 대도시의 연료가 연탄으로 바뀌게 되었다. 주로 부엌에서 사용되는 놋식기는 연탄가스와 상극적인 관계가 있어 시뻘겋게 녹이 슬거나 누렇게 변해버려 곧 식기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유기 대신에 알루미늄 그릇이나 스텐레스 그릇으로 바꾸어 사용하게 되고 아울러 유기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6.25를 전후로해서 안성의 유기는 절정을 이루는 듯하여 그 공장의 수만도 37개나 되었으나 지금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계보를 잇고 있다.

부산 엄궁농산물도매시장

부산 엄궁농산물도매시장

17829     2024-05-27

부산광역시 사상구 농산물시장로9번길 11

엄궁농산물도매시장은 1993년 12월 개장한 대규모 농산물유통센터이다. 과일, 서양채소, 뿌리채소를 주로 취급하고 있다. 서부산권 물류거점 도매시장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유통인 모두가 믿고 찾는 도매시장을 만들기 위해 전자경매, 원산지표시, 농산물의 경락가격 등 유익한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고 있다. 경매 전 농산물 안전성검사 시행 등 철저한 품질관리로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질서를 확립하여, 신선하고 안전한 우수농산물을 시민들에게 공급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일반 소비자들은 주로 직판장을 이용한다. 각종 채소, 뿌리채소, 청과물, 양념류, 젓갈류, 건어물, 육류, 일용잡화 등을 취급하고 있으며, 넓은 주차장을 보유하고 있어서 이용이 편리한 종합농산물도매시장이다.

구포 축산물도매시장

구포 축산물도매시장

13281     2024-05-27

부산광역시 북구 사상로583번길 20
051-301-3517

구포 축산물도매시장은 1960년대 중반 형성된 축산물 전문시장이다. 현재 210개의 점포가 성업 중이며, 2006년 재래시장으로 등록되어 운영 중이다. 시장 면적은 14,000m²이고 관련 종사자가 약 500여명에 달한다. 한우, 육우, 젖소, 수입육, 돈육, 부산물, 편육 등 축산물과 관련된 모든 품목을 취급하며, 전국으로 판매하고 배송하고 있다. 축산물 유통의 효율성과 경제 극대화를 이루기 위해 상인회를 조직하여 운영하고 있다. 시장 주변에는 미식가들이 즐겨 찾는 곰탕집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인근에는 부산의 유명한 재첩국 맛집이 모인 삼락재첩거리가 있다.

부산 중앙시장

부산 중앙시장

16841     2024-05-27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번영로20번길 34-3

중앙시장은 범천동 일대에 자리 잡고 있는 전통재래시장으로 1967년 8월 전통시장으로 등록되었다. 중앙시장은 화훼특화시장으로 유명한 재래시장이며, 2012년 재건축하여 넓은 주차공간이 확보된 주상복합건물에 화훼점들이 입주하여 운영하고 있다. 지하 4층, 지상 30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지하 1층에서 지상 3층까지 상가가 형성되어 있고, 지하 1층은 식당가, 1층과 2층은 귀금속 상가를 비롯한 일반 판매 점포, 3층은 화훼 도매 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주곶감유통센터 상주곶감직판장

상주곶감유통센터 상주곶감직판장

11376     2024-05-27

경상북도 상주시 영남제일로 1154

상주곶감유통센터는 2005년 상주지역 600여 곶감 생산 농가들이 출자하여 만든 국내 최대 규모의 곶감 영농조합으로 곶감을 유통 및 수출하고 있다. 믿을 수 있는 맛과 품질, 그리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상주 곶감을 유통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강주 곶감 대표 생산자 단체이다. 상주곶감의 유래와 역사를 알 수 있는 홍보전시관과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으며 판매 상품으로는 상주곶감과 감말랭이를 비롯해 곶감을 이용한 상주곶감찹쌀떡, 곶감막걸리, 곶감엿, 곶감약과, 감식초 등 곶감을 이용하여 개발한 상품과 상주지역 농산물 가공품 등 다양하다. 상주는 감나무가 자라기 알맞은 기온과 토질로 감의 품질이 뛰어나며 상주둥시감은 16세기부터 재배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경기 안성장 (2, 7일)

경기 안성장 (2, 7일)

14846     2024-05-27

경기도 안성시 시장길 37
031-670-2065

안성장은 조선시대 대구, 전주와 함께 서울의 관문으로 3대장에 들었을 정도로 규모가 큰 장이었다. 서울보다 두세 가지가 더 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갖가지 공예물과 객주들이 많아 북적대던 장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옛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현대화되어있다. 지저분하던 옛 시장의 모습은 정비되어 깔끔하고 단정한 모습으로 단장하였고 높게 지붕을 두어 계절이나 날씨에 관계없이 편하게 장을 볼 수 있다. 안성장이 발달할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는 안성에서 유기가 많이 생산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후, 경부선이 평택으로 노선을 바꾸면서 시장이 점차 침체되었다. 현재는 시장 거래 비중에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드는 대신 가축류의 거래 비중이 크게 늘어났다. 장터는 2일과 7일에 안성 시외버스터미널 뒤편 중앙시장 사이의 대로변에서도 펼쳐진다. 각종 야채, 딸기, 쑥, 씀바귀 등 봄나물의 눈에 많이 띄고 특히 메주와 장독 방축망을 파는 모습이 정겹다. 시장터 바깥쪽 차도 변에는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들고나온 갖가지 봄나물과 콩, 보리 등의 잡곡과 약초 보따리를 펼쳐 놓고 손님을 기다리는 모습에서 오일장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부곡 도깨비시장

0     2024-05-27

경기도 의왕시 부곡시장길 18

부곡 도깨비시장은 경기도 의왕시 삼동에 위치한 전통시장이다. 도깨비시장이라는 이름은 새벽에 장이 섰다가 물건이 다 팔리면 순식간에 사라지는 모습이 도깨비를 닮았다 하여 붙은 것이다. 2014년에 의왕시의 유일한 전통시장으로 지정되었다. 과일, 채소, 고기, 반찬과 잡화 등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는 식당도 많다. 의왕역 2번 출구에서 약 300m 떨어져 있어 접근이 용이하다.

삼익패션타운

삼익패션타운

16945     2024-05-24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시장8길 7
1566-4578

삼익패션타운은 쇼핑의 메카 남대문시장에 위치한 도매상가 관광특구이다. 지하 5층, 지상 10층의 규모로 총 1,500여 개의 점포가 입점해 있다. 남대문시장의 낙후한 이미지를 벗고 쾌적한 쇼핑환경의 대형 전문 상가로 1985년 문을 열었다. 삼익패션은 한 건물에 숙녀복, 아동복, 남성복, 구두, 잡화 등의 제품을 갖추고 있으며 도매상인뿐만 아니라 재래시장을 찾는 실속파 소비자들에게도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한다. 1층의 대규모 아동복 시장과 6층의 구두 전문백화점 등의 매장이 유명하다. 2층과 3층은 숙녀복, 4층은 액세서리와 잡화, 5층은 남성복, 7~8층은 유명의류할인매장이 위치해 있다. 층마다 이용 시간이 달라서 확인 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평창올림픽시장(구 평창전통시장)

평창올림픽시장(구 평창전통시장)

19935     2024-05-24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평창시장1길 8-1
033-332-2517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에 자리한 역사가 깊은 전통시장이다. 평창버스터미널에서 걸어서 3분 거리에 있다. 평창이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을 당시 시장 이름도 ‘평창올림픽시장’으로 바꿨다. 60여 년 전통의 시장에는 40여 개 점포가 모여 있다. 항시 문을 여는 상설시장과 함께 끝자리가 5, 10인 날에는 오일장을 겸한다. 여느 시장처럼 농수산물, 과일, 잡화 등을 판매하지만 이곳의 특징은 평창 특산물인 메밀을 주재료로 한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다는 점이다. 메밀 막국수, 메밀 부치기, 메밀전병 등 메뉴도 다양하다. 메밀부침 골목에서는 상인이 부침용 솥뚜껑 위에 길게 찢은 배추와 쪽파를 올리고 메밀 반죽을 부어 얇게 굽는 모습을 구경할 수 있다. 메밀부침 골목 끝에는 젊은 층에게 유명한 메밀 빵집 겸 카페, 브레드메밀이 자리한다. 메밀 음식 외에 강원도 별미인 감자떡, 올챙이국수, 수수부꾸미 등 각종 먹거리가 풍부하다.

밀리오레 (동대문점)

밀리오레 (동대문점)

33265     2024-05-24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263

밀리오레 동대문점은 한 공간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원스톱 쇼핑 공간이다. 동대문은 종로5가역부터 동대문 지하철역까지 전통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시장이 현대화되면서 프레야타운, 두산타워, 밀리오레 등 대형 패션몰들이 생겨났다. 동대문 밀리오레는 시장의 장점인 패션의류와 다양한 제품, 저렴한 가격과 깨끗하고 백화점의 장점인 현대적인 건물,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패션몰이다. 지하 2층부터 지상 9층까지 수입명품, 아동복, 임부복, 여성복, 남성복, 패션잡화, 전통공예 기념품, 한복, 구두 등 모든 패션 아이템이 모여있다. 9층에는 식당가도 있어서 먹을거리, 볼거리가 가득한 곳이다. 수도권 지하철 2, 4,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14번 출구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있다. 청계천과 동대문(흥인지문)이 접해 있어서 국내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