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랑길 1코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해파랑길 1코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해파랑길 1코스

해파랑길 1코스

10.5 Km    0     2024-05-17

부산광역시 남구 오륙도로 137

해파랑길 첫 번째 코스로 부산시 남구 용호동과 해운대구 중2동을 잇는 해안길로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출발해 광안리해변과 APEC해변을 지나 미포에 이르는 구간이다. 해식절벽과 동해안의 자연경관은 물론 화려하고 번화한 광안리, 해운대 관광를 겸할 수 있다.

소문난원조조방낙지본점

소문난원조조방낙지본점

10.5 Km    0     2023-12-08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94번길 37

낙지볶음을 전문으로 하는 원조 조방낙지는 부산 동래구청 근처 조방낙지 골목의 대표 맛집으로 유명하다. 1인 기준 가격이 합리적이면서 대중적인 맛이라, 언제든지 한 끼 식사로 가볍게 즐길 수 있다. 즐비해 있는 동래구의 여러 맛집들 사이에서도 원조 조방낙지는 ‘원조’라는 수식어에 단연 어느 곳보다 돋보인다. 현지 부산사람들에게도 늘 생각나 찾게 된다는 이곳은 낙지와 곱창, 새우를 졸여 밥에 비벼 먹는 식사 형태이다. 물론 큰 새우와 오동통한 낙지는 아니지만 중독되는 강한 양념과 함께 비벼 먹는 한입은 여느 낙지볶음 집보다 매력적이게 느껴진다. 특히 곱창은 대창을 써서 좀 더 담백하게 하며 시금치가 들어가는 것이 이 집의 특징이다. 조방낙지는 얼마큼 소스가 졸여지느냐에 따라 맛을 좌우하는데 개인의 취향에 따라 양념의 진하기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와 함께 먹기에는 기본양념이 다소 자극적일 수 있으므로, 양념을 적게 넣어야 한다. 또한 SBS 백종원의 3대 천왕에 출연하여 유명세를 탄 후부터 부산을 찾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잦아졌다.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대기 순번을 받아야 할 정도다.

공원칼국수

공원칼국수

10.5 Km    1     2024-05-03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110

부산문화회관 근처 남구 대연동 공원칼국수다. 물총조개탕, 공원칼국수, 왕만두, 보쌈, 미니보쌈 등 메뉴는 심플한 편이다. 푸짐한 양과 맛으로 찾는 사람이 많아서 웨이팅하는 시간이 너무 긴 칼국숫집이다. 칼국수 맛도 칼국수 맛이지만 김치 맛이 또 다른 포인트다. 칼국수와 곁들여 먹는 김치로 매운 김치와 무김치가 나오는데 칼국수와 매운 김치의 조합이 독특하다. 건물을 옆으로 옮기면서 전에는 건물 뒤 주차장을 이용했는데, 지금은 주민들 불편함 때문에 길 건너 유엔공원 공영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식사 후 주차장 영수증에 확인받아 가면 된다. 부산문화회관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부산문화회관

10.5 Km    32715     2023-09-12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76번길 1 부산문화회관

재단법인 부산문화회관이 운영하는 부산문화회관은 1988년 대극장 준공을 시작으로 1993년 전관을 개관하였다. 대극장(1,409석)과 중극장(777석) 그리고 어린이 전용극장인 사랑채극장(312석)과 클래식 전용극장인 챔버홀(410석)을 운영하고 있다. 건축양식은 우리나라 전통가옥의 특성을 도입하여 대극장을 본채로 중.소극장을 사랑채로 배치하고, 담장이나 대문을 없애서 전통초가의 울타리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고 건물 구조면에서도 대들보 형태의 열주에다 처마와 추녀의 전통미를 살려 도약의 기상이 나타나도록 하였다. 부산문화회관 공연장에는 뮤지컬, 클래식, 연극 등 다양한 공연을 개최하고 있으며, 전시실은 부산미술대전, 부산서예대전 등 대규모 공모전을 비롯해 부산국제아트페어, 부산서예비엔날레, 대학 졸업작품전 등이 열린다. 야외공원은 도로로 단절되어 있던 부산문화회관과 부산시립박물관, UN공원을 하나로 이어 문화공원으로 만들기 위해 도로를 지하차로로 만드는 동시에 차로 위를 시민들을 위한 휴식 공원으로 조성하여 유치원, 어린이들의 휴식공간, 소풍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백년가게]동래할매파전

[백년가게]동래할매파전

10.5 Km    88     2024-05-28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94번길 43-10
051-552-0792

[중소벤처기업부 2018년도 '백년가게'로 선정] 일반 파전과 달리 두툼하고 풍성한 해물맛을 자랑하는 동래파전. 장을 활용하여 반죽하고 솥뚜껑 모양의 무쇠그릇에 기름을 넉넉히 붓고 전통방식을 따라 조리하며, 해물과 잘 어울리도록 초고추장을 제공하는 '동래파전'의 문화를 이어가고 있다. 정성들여 준비하는 밑반찬과 유기그릇, 고풍스러운 느낌의 인테리어가 '동래부사가 임금님께 진상'했다는 스토리와 썩 잘어울린다. 동래구 주민 뿐 아니라, 전국에서도 찾는 맛집으로 최근 유명 맛집프로그램에 출현하면서 그 유명새가 더욱 높아졌다.
정보제공 : 소상공인협회 (Tel : 042-363-7981)

함경면옥 동래본점

함경면옥 동래본점

10.5 Km    0     2024-03-29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213 함경면옥

부산 동래구 수안역 1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보이는 함경면옥 동래 본점은 줄 서서 먹는 냉면 맛집이다. 입구에서 번호표를 받고 기다리면 자리를 안내해 준다. 식당 내부가 넓고 늘 사람이 많아 주문과 동시에 결제도 함께 이뤄진다. 냉면 전문점이지만 갈비탕, 만둣국, 돌솥비빔밥, 육개장, 만두, 수육 등 다양한 메뉴가 있다. 함경면옥에는 물, 비빔냉면은 물론 매운 냉면이 있어 취향에 맞게 골라 먹을 수 있다. 주차장도 마련되어 있으며, 근처에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과 유형문화재 동래부동헌이 있어 함께 방문하기 좋다.

오소리순대

오소리순대

10.5 Km    0     2024-02-15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162

오소리순대는 연산역 5번 출구에서 남문구 방향으로 약 150m 거리에 있다. 오래된 노포 느낌의 입구는 점심시간에 방문하면 대기하는 사람들로 붐빈다. 이곳 대표 메뉴는 스페셜 모둠으로 일반 순대, 백순대, 다양한 부위의 수육이 나온다. 특히 스페셜 모둠에만 무말랭이가 곁들여 나오는데 수육과 함께 먹으면 별미이다. 순대는 이곳에서 직접 만들어 쫄깃하고 도톰하게 나온다. 또 순대 속에 밤이 들어가 색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 이곳의 인기 메뉴인 술국은 얼큰한 순대국밥이 나온다. 별관도 있는데 이곳은 저녁에만 이용할 수 있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문화쌈밥

문화쌈밥

10.5 Km    21693     2023-09-26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72
051-626-2292

한식 전문점답게 정갈하고 다양한 밑반찬이 나온다. 쌈밥을 시키면 고등어조림과 된장찌개가 나오며 합리적인 가격에 맛있는 쌈밥을 맛볼 수 있다.

한국기독교선교박물관

10.6 Km    444     2024-05-21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202번가길 13
051-555-3096

한국기독교선교박물관은 초창기 선교사들의 복음 활동과 역사를 전시하고 있다. 2009년 개관한 이래, 한국 기독교의 성장 과정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 발전하고 있다. 초창기 한국 교회의 유산인 고성서를 비롯해 잡지, 사진 등 기독교 자료를 관람할 수 있는 상설전시실, 특별전시실이 있고, 근현대 민속품을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민속실이 있어 다양한 전시를 경험할 수 있다. 전시를 통해 한국 기독교의 옛 모습을 돌아보고, 기독교가 근대 여명기 한국의 역사에 미친 영향을 소개한다. 또, 세계 각국에서 제작한 성경과 찬송가 등을 전시하여 기독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월명사(부산)

10.6 Km    24267     2023-01-04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참샘길 124

* 아기자기함과 소탈함이 묻어나는, 월명사 *

월명사는 부산 기장군 일광면 일광산 자락에 위치해 있다. 들머리는 부산~울산간 국도변에서 한센병 환자 공동체마을인 ‘삼덕마을' 로부터 시작된다. 부산에서 14번 국도(울산 방면)를 따라 반송동을 거쳐 기장, 일광면으로 접어 들어도 되고 부산 도심을 통과한 후 경치 좋은 해운대를 거쳐 송정, 기장, 일광면으로 향해도 좋다. 일광 바다 바로 뒷편, 병풍처럼 버티고 앉은 일광산(日光山)은 해 떨어지는 낙조가 특히 아름답다 하여 일광팔경 가운데 하나인 일광낙조(日光落照)로 이름난 곳이다.차량 경적에 사람소리까지 시끄러운 기장 도심을 벗어나 15분이면 하늘 향해 쭉쭉 뻗은 나무들과 연초록 잎들이 사방에서 에워싸는 일광산에 다다른다. 나즈막한 산세에 골골마다 넉넉한 자연을 품은 일광산은 이렇듯 도시와 등을 맞대고도 시원한 원시의 자연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흔치않은 도심 근교의 산이다. 도심변에서 평탄한 오솔길을 몇 구비 돌아나다 보면 어느새 깊은 산중으로 접어들 듯 인적은 끊어지고 수목은 울창해져 영락없는 산사의 적막감을 전해준다.

바로 이곳, 일광산 자락에 자리한 월명사는 비록 넉넉한 사세는 갖추지 않았지만 경내 뜰 곳곳에서 아기자기하고 소탈한 면면들을 발견할 수 있는 그리 알려지지 않은 태고종 사찰이다. 전해오는 일설에 따르면 예로부터 불상을 모시고 치성을 드린 기도처였다고는 하나 현재로서는 1882년(고종19년) 범어사의 김법성 스님이 창건한 수행도량으로만 알려져 있을 뿐 이렇다 할 기록이나 추정할 만한 유물도 없다.경내 샘에서 솟아나는 오랜 효험의 약수가 인근 마을 사람들의 입을 통해 명약으로 알려져 있고, 월명사(月明寺)와 친분이 있는 불교미술 작가들이 이곳에서 작품활동을 하는 터라 경내 곳곳에서 나한상과 동자상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어 좋다. 일광산의 해와 월명사의 달이 어우러져 조화를 이룬 곳이라 자연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은 채 있는 그대로 앉아있는 월명사는 현재 신도는 많지 않으나 경내로부터 시작되는 가파르지도 험하지도 않은 호젓한 산책코스를 이용하는 등반객들의 쉼터로 이용되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