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오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초오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초오록

초오록

18.8Km    2025-01-20

부산광역시 기장군 화용길 103-17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에 있는 초오록은 기장 IC에서 가까운 카페이다. 조경이 잘된 정원이 있어 주변이 온통 초록빛으로 여유롭고 조용하다. 카페 내부에도 자리가 많지만, 날씨가 좋으면 잔디밭 파라솔이 인기다. 정원 카페로도 소문난 이곳의 대표 메뉴는 크리스피 토스트, 브런치 플레이트, 햄치즈샌드위치 등이고 우도 땅콩으로 만든 우도땅콩슈도 인기다. 그밖에 다양한 음료와 커피, 크로플과 스콘, 에그타르트가 있다. 또 젤라또 아이스크림은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메뉴이다. 깔끔한 분위기의 카페 건물과 정원에 야외 조명이 켜지면 마치 산속 깊은 산장에 와 있는 기분이 든다. 가까운 곳에 일광이천생태공원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신어산

18.8Km    2025-03-19

경상남도 김해시 신어산길

* 두 마리 물고기를 뜻하는 신어산 * 경남 김해시 삼방동에 위치한 신어산(631.1m)은 능선에서 김해시가지를 바라보면서 산행할 수 있어 올라가는 재미가 있고, 기암절벽 사이로는 구름다리가 있어 산행을 더욱 즐겁해 한다. 북동쪽으로는 낙동강이 감돌아 흐르고 남쪽에는 광활한 김해평야가 펼쳐져 있다. 가락국의 시조 김수로왕 탄강지로 전해오는 구지봉은 이 산맥의 서쪽 끝부분에 있다. 정상에서 서쪽 주능선길을 따라 630봉까지 가는 도중에는 군데군데 암봉이 있고, 광활한 김해평야를 내려다보는 경관이 장쾌하다. 580봉에서 남쪽 능선을 따라 460봉의 암봉에 올라서서 신어산을 바라보면 빼어난 경치에 감탄하게 된다. 460봉의 전망대 같은 바위에서 동쪽 계곡으로 내려가면 암벽 밑에 천진암이 있고 숲길과 대밭길을 거쳐 은하사에 닿게 된다. 정상의 조망은 무척산 토곡산 매봉 오봉산, 금정산의 고당봉과 파리봉 등이 선명히 시야에 들어온다. 가야의 올림포스산답게 초기의 고찰 은하사(銀河寺)와 영귀암(靈龜庵) 등이 있으며 기우단도 있었다.《신 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구암사(龜岩寺)·십선사(十善寺)·청량사(淸凉寺)·이세사(離世寺)가 있다고 할 정도로 이 산은 불모산(佛母山:801m)의 신화와 함께 남방불교 전래의 성지라 할 수 있다. * 신어산의 유래 * 신어는 수로왕릉 정면에 새겨진 두 마리 물고기를 뜻한다. 가락국 초기에 세워진 고찰 은하사와 동림사가 있다. 은하사는 가락국 수로왕 때 장유화상이 창건한 사찰로 본디 이름은 서림사라고 했다. 대웅전의 수미단에 쌍어 문양이 있어 인도 아유타국과 관계가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마포면옥

마포면옥

18.9Km    2024-12-23

부산광역시 기장군 월내2길 10-36 마포면옥

마포면옥은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 밀면 맛집이다. 간장 베이스의 육수도 좋고, 쫄깃쫄깃 기장 밀면의 면발 익힘 정도도 손색이 없다. 보통의 식당들은 풀어서 먹으라고 양념장을 한 숟가락씩 퍼주는데, 이 집은 면발에 조금만 묻혀준다. 마포면옥 밀면이 보통, 중, 대 사이즈 관계없이 가격이 동일하고, 밀면은 물밀면과 비빔밀면이 있다. 이외 찐만두와 갈비탕도 인기 있는 메뉴다. 매장 내부는 꽤 넓은 편이고 인근에 임랑해수욕장, 은진사, 박태준기념관 등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카덴96

카덴96

18.9Km    2024-11-18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화전리

카덴96은 가족 어린이 유황온천 풀장으로 다양한 놀이문화를 제공하는 복합물놀이장이다. 카덴 96의 유황온천은 온도 36.22도 심도 996m에서 하루 3.825톤의 온천수를 물탱크에 보관하지 않고 직수로 공급하는 100% 온천수 풀장이다. 유황 온천수는 혈액순환 항진 작용과 피로회복, 신체의 해독 기능, 만성두통치료, 진통 소염효과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아토피 치료, 알레르기 치료, 피부미용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카덴96 유황온천장은 평상을 대여하면 수영장, 샤워장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취사가 가능하고, 매점을 운영하며, 카페도 자리하고 있어 휴식과 힐링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다.

유승추어탕

18.9Km    2025-03-12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천상3길 10-2
052-211-1822

유승추어탕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추어탕 전문점이다. 이곳은 신선한 민물고기를 사용하여 깊고 진한 국물 맛을 자랑하는 추어탕을 제공한다. 유승추어탕의 대표 메뉴인 추어탕은 고소하고 담백한 맛으로, 건강에도 좋은 보양식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각종 반찬과 함께 제공되는 추어탕은 풍성한 식사를 선사하며, 정성스럽게 준비된 국물이 특히 맛있다. 아늑한 분위기에서 따뜻한 식사를 즐기기에 좋은 곳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사랑받는 맛집이다.

우정갈비

우정갈비

18.9Km    2025-06-26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353
051-513-2100

우정갈비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한우갈비 전문음식점이다. 한우 갈비로 이루어진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메뉴로는 양념갈비, 갈비살, 등심 등이 있어 다양한 부위를 맛볼 수 있다.

천황산

천황산

18.9Km    2025-03-21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높이 1,189m의 천황산(주봉 사자봉)은 산세가 부드러우면서도 정상 일대에는 거대한 암벽을 갖추고 있어 험해 보이기도 한다. 남쪽 5㎞ 부근에 솟아 있는 재약산과 맥이 이어져 있다. 천황산은 산세가 수려하여 삼남금강(三南金剛)이라 부르며, 인근 일대의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준봉들로 이루어진 영남알프스 산군(山郡)에 속하는 산이다. 산세는 부드러운 편이나 정상 일대에는 거대한 암벽을 갖추고 있다. 수미봉·사자봉·능동산·신불산·취서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드넓은 억새평원으로 가을철 환상적인 억새물결이 장관을 이루는 명소이기도 하다.

부산광역시교육청학생인성교육원

부산광역시교육청학생인성교육원

18.9Km    2025-03-26

부산광역시 금정구 북문로 178

체험으로 깨닫게 만드는 교육원, 부산광역시학생교육원은 부산의 진산 금정산은 자연경관이 아름답고 삼국통일의 대업을 달성했던 신라 화랑들의 수련장이었으며 금정산성이 있는 곳이다. 이곳은 임진왜란때 우리 조상들이 산성을 쌓고 나라를 지켰던 민족의 성지로 청소년들에게 나라사랑과 조국수호의 정신을 일깨울 수 있는 산 교육장으로 부산광역시교육청 산하 고등학교 학생들의 심성 및 야영 수련활동을 실시하는 곳이다. 공동체험활동, 극기훈련, 호연지기배양 등을 주최사업으로 삼고 있으며 시설이용료는 무료이다. 주요 행사로는 4월에서 10월에 걸쳐 시내 각 중. 고등학교 대상으로 2박 3일간의 심성수련 또는 1박 2일 간의 야영수련을 실시하고 있다. 부산광역시학생교육원은 총면적 179,180㎡, 건축면적 14,812.51㎡에 이르는 대규모의 교육원이다. 이 넓은 장소에 숙박시설과 집회시설, 체육시설, 수련시설 등이 갖춰져 있어 청소년에게 체계적인 체험 교육을 시킬 수 있다.

월내반점

월내반점

18.9Km    2022-09-14

부산광역시 기장군 해맞이로 425 여명빌딩

고리 원자력 발전소 방향으로 직진, 동양 마트 맞은편에 있는 중화요리 전문점 월내반점은 피를 맑게 하고 성인병 예방에 좋다는 부추를 면에 넣어 부추면을 사용하는 것이 이색적이다.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홀 좌석과 각종 모임 등에 알맞은 여러 스타일의 좌석들이 있다. 30년 전통이라 진짜 옛날 잘 나가던 짜장면집 모습이다. 조그마한 중국집이 아닌 정통 중화요리 전문점답게 모든 메뉴가 완벽히 준비되어 있다. 주차장은 바로 앞에 많은 차들이 주차할 수 있게 준비되어 있으며 임랑해수욕장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여여정사

18.9Km    2025-03-17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행곡1길 180-158

여여정사는 밀양의 유명 사찰 중 하나로 대웅보전, 약사전, 동굴 법당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방문객들은 대웅보전과 극락전의 규모에 한 번 화려함에 또 한 번 감탄하게 된다. 거대한 백옥으로 조성된 관세음 보살상을 비롯한 다양한 조각상 등이 사찰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철마다 색을 달리하는 다양한 꽃들은 사찰의 풍경을 더욱 아름답게 장식한다. ‘여여’란 시비 분별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를 순수하게 바라보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