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Km 2025-09-10
대구광역시 수성구 월드컵로5안길 17-3 (삼덕동)
이향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삼덕동에 위치하고 있다. 곤드레밥과 백숙이 유명한 한식당이다. 곤드레밥은 향긋한 산나물 풍미가 일품이며, 11가지 반찬과 함께 제공되어 든든한 한 끼를 즐길 수 있다. 촌닭약초해물백숙과 해물옻닭 등 다양한 보양식 메뉴도 인기이다. 오랜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외관과 예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18.3Km 2025-06-26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로68길 35-8
0507-1373-4860
제로테이블은 ‘식탁 위, 몸에 나쁜 것을 제로로 하다.’라는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만든 비건 베이커리이다. 버터와 우유, 계란, 설탕, 방부제, 수입 밀가루, 화학첨가제 등 동물성 재료를 첨가하지 않고, 쌀가루와 우리 밀, 유기농원당을 사용한다. 또한, 음식의 본연의 이유를 되새기며 유해한 것 없이 더 건강하고 좋은 음식을 위해 근본에 집중하여 건강한 재료로 건강한 빵을 만든다.
18.3Km 2024-09-13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571
053-253-7623
대구 중구에 위치하고 있는 국일따로국밥은 3대째 가업을 이어오고 있는 해장국집으로 1966년 한국 전통문화 보존(전통명장인)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대구광역시 향토 전통음식점으로 지정되어 있다. 1946년부터 오랜 전통으로 푹 곤 사골국물에 쇠고기, 선지, 갖은 양념을 넣어 조리하고 있다. 밥과 국이 따로따로 나온다 하여 이름 붙여진 대구 고유의 전통음식이다.
18.3Km 2024-06-19
경상북도 영천시 서당길 25-34
호계천을 바라보고 있는 완귀정은 조선 전기 학자 완귀 안증(1494~1553) 1546년에 건립한 살림집으로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양성하던 곳이다. 안증은 조선 전기 중종 때 학자로 벼슬에는 뜻이 없고 학문(성리학)에만 전념했다. 후에 세자시강원가 사서가 되어 후에 인종에게 민본사상을 주창했지만 실패하고 을사사화로 인해 벼슬에 염증을 느끼고 영천으로 내려와 후학에 힘썼다. 저서로는 ‘완귀실기’가 전하며, 금호읍 구암리에 묘소와 도동의 호연사유허비가 남아있다. 숙종 21년(1695) 성재 안후정이 중수하였고, 식호와는 영조 40년(1764) 후손들이 세웠다고 한다. 정침은 안채에 해당되며 완귀정은 사랑채로서 전면은 단층으로 되었으나, 후면은 누사를 두었고, 기둥머리는 익공으로 장식하였다. 식호와는 좌·우에 누를 두었는데, 그 꾸밈을 달리하여 계절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지방적인 특색이 잘 담기고 정자 건물로는 매우 격식 있는 수법을 따른 것으로 보이며, 대청 배면의 사분합 들문을 한 예는 극히 드문 것으로 매우 귀중한 건축적 가치가 있다.
18.3Km 2025-10-23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2길 27
동성로는 말 그대로 대구읍성의 동쪽 성벽을 허물고 낸 길을 말한다. 동성로 28 아트스퀘어-CGV 대구한일-대구역 구간까지로 대구의 대표적인 상권 중심가다. 동성로는 남쪽으로 반월당역과 달구벌대로, 서쪽으로 중앙대로 혹은 종로 주변(북쪽으로 대구역 동쪽으로 공평로)까지를 포함한다. 대구의 명물이자 젊음과 낭만이 넘쳐나는 곳으로 유명한 동성로는 최신 유행을 엿볼 수 있는 수많은 패션 브랜드 매장을 비롯한 전시, 공연, 먹을거리 등을 두루 갖추고 있다. 동성로는 처음 방문한 사람도 길을 잃지 않고 쉽게 다닐 수 있을 정도로 구역이 잘 정돈되어 있고 다양한 의류 브랜드를 한곳에서 만날 수 있어, 젊은이들은 백화점보다 이곳에서의 쇼핑을 더 선호하기도 한다. 매장들이 대형화돼 있어 쇼핑하는 재미가 쏠쏠하다는 점도 한몫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