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계서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오계서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오계서원

오계서원

11.3 Km    1392     2023-06-16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천상로500번길 133-19

오계서원은 1570년(선조 3)에 이덕홍(李德弘)이 학문 연마와 심신수련을 위해 건립한 「오계정사」의 후신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소실(燒失)되었으나, 1595년(선조 28)에 쌍계(雙溪) 언덕으로 이건(移建) 하였고, 1636년(인조 14)에 홍수로 유실되는 등, 여러 차례 이건과 중건을 거쳤다. 사림의 공론으로 1665년(현종 6) 10월 2일에 도존사(道存祠)를 建立하고 이덕홍(李德弘)의 위패를 봉안한 후 1691년(숙종 17) 오계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699년과 1707년의 대홍수로 물길이 바뀌어 서원이 침수 피해가 있자 1711년(숙종 37)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1724년(경종 4)에 그의 장자 이시(李蒔)를 배향하였다. 1871년(고종 8)에 훼철되었다가 1919년에 복향하였고 1978년에 道存祠를 재건하였다.

노계서원

11.3 Km    1177     2023-12-13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노좌로 28

영주시 봉현면 노좌리에 있는 노계서원은 조선 후기 풍기 지역 사림들이 진중길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서원이다.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 조선시대의 사립 지방 교육기관이다. 노계서원은 1754년 진사 김여필 등이 상소를 올려 진중길 제향을 청원하게 되면서, 본격적인 서원 건립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1786년(정조 10) 노계서당 강당에 진중길과 한산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1788년 영주시 봉현면 노좌리 사리미 마을[노좌2리]에 사당인 노계사를 완공하였다. 1847년(헌종 13) 노계사가 노계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이때 사당, 강당, 주사 등을 중수하였다. 서원과 강당의 편액은 이휘준이 쓰고, 고유문은 이휘녕이 지었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따라 철폐되었으나, 2001년 풍기진씨 종중에서 서원 복설을 추진하였고, 2005년에 현재 위치인 영주시 봉현면 노좌리로 이건하여 복설하였다. 경내에는 상현사, 강당, 행정, 전사청 등이 남아 있으며 매년 음력 3월과 9월 하정일에 향사를 지낸다.

토향고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토향고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1.3 Km    11510     2023-02-14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바래미1길 43
010-8575-9036

토향고택은 입향 후 11대째 후손들이 대대로 살아온 곳으로, 과거와 현재의 모습이 조화롭게 어우리진 경상북도 봉화의 명품고택이다. 안채는 입향 전 지어진 건물로 350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정원에는 연꽃 연목과 산책길, 도자기 장작가마, 꽃밭 등이 있고, 후원에는 야생화 언덕과 함께 전통 그네, 널, 제기, 투호, 제기차기 등을 즐길 수 있는 민속놀이터가 있다. 특히 도자기체험은 토향고택만의 특별한 자랑이다.

산수방식당

11.3 Km    13171     2023-09-14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삼가로 140
054-631-3332

산수방식당은 경북 영주시 소백산 비로봉 가는 길목에 있는 삼가리 저수지 앞에 위치해 있어 무엇보다 접근성과 아름다운 주변 풍경이 뛰어나다. 산수방 펜션과 같이 운영하고 있어 숙박과 함께 식사도 가능하다. 대부분 사전예약제로 운영되고 있어 항상 신선한 식재료를 사용한다. 한방오리탕과 오리 생고기 로스를 맛볼 수 있다.

만회고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만회고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1.4 Km    4539     2023-11-30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바래미1길 51
010-8079-7939

경상북도 봉화 바래미 마을에 자리한 만회고택은 3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국가 지정 중요 민속문화재이자 독립운동의 거점 역할을 한 명가이다. 고택의 누각 ‘명월루’ 에서는 약 1,000편의 시가 쓰여졌다고 한다. 객실은 7개로, 안방에는 서까래가 드러난 다락방이 있고, 명월루실과 서낭실을 제외한 다른 객실에는 개별 화장실을 설치해 편리함을 더했다. 민속놀이를 포함한 다양한 유료․무료 전통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성심원조순대해장국

1.1 Km    14131     2023-10-23

경상북도 영주시 중앙로80번길 9
054-635-2709

경북 영주시 하망동 영주 공설 시장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에 공용주차장이 있어 접근성이 좋다. 실내가 녹색공원으로 조성된 듯 화초가 가득하여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한다. 순대 전문점으로 영주 도축장에서 매일 받은 신선한 재료를 사용하여 직접 손으로 만드는 수제 순대가 이 집의 대표 메뉴이다. 순대국밥, 순대볶음, 순대전골 등 다양한 순대 요리와 내장 요리를 맛볼 수 있다.

K문화테마파크 선비세상

K문화테마파크 선비세상

11.4 Km    3     2024-01-31

경상북도 영주시 선비세상로 1 선비세상

영주시 순흥면에 있는 영주 선비마을은 하늘이 선물한 아름다운 자연과 풍요로운 문화유산을 품은 선비의 고장 영주에서 만나는 대한민국 K 문화 테마파크다. 선비처럼 보고, 입고, 먹고, 즐기며 선비의 가치와 정신을 체험하는 공간으로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와 그 가치를 알리기 위하여 조성된 곳이다. 컨벤션홀, 한옥촌, 한복 체험관, 미디어아트관 등에서는 한옥, 한복, 한식, 한지, 한글, 한음악 6개 테마로 나누어 첨단 매체를 이용하여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 있다. 이곳에서는 한지 만들기와 다도 체험, 붓글씨 쓰기, 음식 만들기 등 직접 몸으로 익힐 수 있는 체험 활동도 할 수 있고, 옛이야기로 구성된 다양한 인형극 공연도 진행된다. 또한 블록 놀이방, 미로 탈출, 에어바운스, 볼풀장, 정글짐 등의 시설을 갖춘 키즈카페와 열기구 탑승을 할 수 있는 야외 공간이 있어 지루하지 않게 신체 활동과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테마파크로 어린 자녀를 동반한 가족 여행지로 추천한다. 선비세상은 선비처럼 보고, 입고, 먹고, 배우고, 즐기는 21세기 선비문화를 대표한다. 선비세상은 한옥·한복·한식·한글·한지·한음악 등 6개 주제의 한국문화를 기본으로 선비정신을 폭넓게 체험할 수 있는 대한민국 K-문화 테마파크이다. 다도체험, 한지 뜨기 체험, 쿠킹 클래스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과 공연,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다.

어린이선비축제

어린이선비축제

11.4 Km    1     2024-05-02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선비세상로 1
054-630-9700

경상북도 영주시 소수서원 옆에 위치한 선비세상에서 준비한 어린이선비축제는 어린이날을 맞이하여 가족·친구가 다 함께 즐길 수 있는 앨리스 인 원더랜드와 어린이들에게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어린이 장원급제, 가족 단위 관람객과 남녀노소, 내·외국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열기구 및 공연, 체험, 쿠킹 스튜디오, 이색 퍼레이드 등 특색 있는 프로그램 운영하며 다양한 문화와 체험을 제공한다.

송록서원

11.5 Km    3402     2023-11-14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봉화로 1001-28

이 서원은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송천서원과 반천서원, 백록이사 등에 봉안되었던 10인의 위패를 모아 140여년 만에 복설됐다. 유숭조, 김중청, 이종준, 이홍준, 정유일, 홍준형, 김성구, 권두인, 권두경, 이광정 선생 등 봉안위의 덕을 추모하고 높은 학문과 충효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장소이다. 건물 내에는 사당인 존덕사, 동재와 서재, 강당, 전사청, 고직사, 내삼문과 외삼문이 있다. 송록서원 앞에는 봉화독립운동파리장서비가 있다. 이 비는 한국유림 독립운동파리장서에 서명한 137명 중 봉화 출신 애국지사 9인의 숭고한 애국정신으로 계승하고자 건립했다.

선비촌

11.6 Km    2     2021-12-03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054-638-6444

영주 선비촌은 한국 유교 문화 발상지인 경북 영주 순흥 소수서원과 바로 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선현들의 학문 탐구의 장소 및 전통 생활공간을 재현하여, 우리 고유의 사상과 생활상의 체험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설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