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암(칠곡)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덕암(칠곡)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도덕암(칠곡)

도덕암(칠곡)

10.5 Km    19126     2023-12-08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한티로 260

도덕암은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조계종 사찰이다. 435년에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정확한 기록은 알 수 없다. 968년에 혜거국사가 대대적으로 중수하여 칠성암이라고 칭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훼손된 후 1632년 나한전을 건립하였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1854년에 몽계당 선의대사가 도덕암이라 개칭하였다. 경내에는 극락전, 대웅전, 산신각, 종각, 요사채, 염화실 등이 있다. 또한 소장 중인 문화재로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칠곡도덕암몽계당선의대사진영]과 조선 후기의 나한상(깨달음을 이루어 사람들의 공양을 받을 만한 성자인 나한의 모습을 표현한 조각)이 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다. 이 외에도 고려 광종이 혜거국사를 왕사로 모셔가기 위해 도덕암에 3일 동안 머무르며 마신 약수로 인해 속병이 모두 나았다는 일화를 간직한 [어정수]가 경내에 전해오고 있다.

만물의 생동을 느끼는 산행

만물의 생동을 느끼는 산행

10.5 Km    1     2023-08-11

도덕암은 신라 눌지왕 대에 창건되었다고 하나 정확한 기록은 알 수 없고, 고려 광종 19년(968) 혜거국사(惠居國師)가 칠성암(七星庵)이라는 사명을 가지고 중수했다는 사적만이 남아있다.

고산서당

10.5 Km    2488     2024-01-30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로37길 39-3

수성구 성동의 고산서당은 언제 누가 세웠는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퇴계 이황(1501~1570)과 우복 정경세(1563~1633)가 이곳에서 강학한 바 있으므로 1500년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숙종 16년(1690) 서당 뒤편에 사당을 지어 퇴계, 우복 두 선생의 위패를 모시고 고산서원이라 하였다. 영조 10년(1734)에는 동, 서재를 새로 지었으나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이후 고종 16년(1879) 지방 유림들을 중심으로 강학계를 조직하여 옛터에 강당만 다시 중건하여 고산서당이라 편액 하였다. 2020년 5월에는 사당인 숭현사를 복원하고 달성십현 중 동고 서사선을 추가 배향하며 성현 3분의 위패를 모셨다. 현재 옛 사당 자리에는 이황·정경세 선생의 강학유허비가 서 있다. 고산서당의 보호수는 300년 수령의 느티나무로 보호수 중 큰 나무는 이황이 서원을 방문하였을 때 직접 심은 나무로 알려져 이황나무라 불린다. 나머지 나무 역시 정경세가 대구 부사로 있을 때 이곳에서 강학한 것을 기념하고 그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정경세나무라 불린다.

용호서원

10.6 Km    17595     2023-12-06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본4길 18-27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 학문을 연구하고 유교의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설립된 사립 교육기관이다. 용호서원은 1704년(숙종 30) 도성유와 도여유를 배향한 세덕사에서 출발한다. 1708년(숙종 34) 서원으로 승호되면서 도신수를 함께 배향하였다. 이러한 까닭에 용호서원 건립 시기에 대해 영남읍지와 교남지는 1708년으로, 1931년 간행된 달성군지는 1704년으로 기록하고 있다. 흥선 대원군 집권기 때인 1871년(고종 8) 훼철된 후 용호서당으로 사용되었다. 용호서원은 크게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경사면 상단에 강당인 용호서당, 하단에 치경당이 위치한다. 출입은 용호서당의 동쪽에 있는 입덕문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용호서당은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이고 중앙의 2칸 마루를 중심으로 동쪽에는 안인재, 서쪽에는 정의재를 배치하였다. 치경당은 정면 5칸, 측면 2.5칸 규모이다. 인접하여 서재근린공원이 아담하게 자리하고 있다.

엘리바덴 신월성점

10.6 Km    1     2023-02-28

대구광역시 달서구 조암로 38

도심 속 복합 휴양지라는 슬로건에 맞게 좋은 교통편 인삼과 홍삼을 사용한 특색 있는 스파, 직접 장작불로 불을 때는 한증막, 800평
대구 최대 규모 키즈파크 엘리몽,건강관리를 위한 현대인의 핫플레이스 피트니스까지 한 번에 즐길 수 있습니다.

엘리몽

엘리몽

10.6 Km    5     2023-09-12

대구광역시 달서구 조암로 38

엘리몽은 대구시 달서구 월성동에 자리 잡은 대구 최대 규모의 복합문화놀이공간이다. 2,650㎡에 30여 종의 다양한 놀이 시설을 갖춰 어린이들에게 즐거운 놀이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데 3층에는 짚라인, 미니기차, 레이싱카, 볼 풀장, 트램펄린, 푸드존이 있고 4층은 오락기와 함께 공주 놀이, 소꿉놀이, 마트 놀이처럼 역할놀이를 할 수 있게 배치했다. 특히 대구에서 최장 거리인 63m의 레이싱 카트가 있어 아이들이 직접 운전하며 스릴을 만끽할 수 있으며 진행 요원들이 있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무덤덤투어(더휴앤)

무덤덤투어(더휴앤)

10.6 Km    0     2023-12-05

대구광역시 동구 반야월북로53길 10

더휴앤은 과거와 현대가 공존하는 도시 대구에서는 대구만의 상품 개발을 하고 있는 지역 여행사이다. 그중 대표 상품인 무덤덤투어는 대구의 관광객이 제대로 대구를 느낄 수 있도록 만든 여행 상품이다. 이런 바람을 담아 만든 무덤덤투어는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에서 시작하며 옹기종기 붙어있는 수많은 무덤 사이로 깔끔하게 정돈된 길과 한 폭의 그림이 연상되는 장소에서 멋진 풍경을 배경으로 추억을 담을 수 있다. 스쳐 지나가던 천연기념물 측백나무 숲은 더 자세히 보고 싶은 공간이 되고, 도심의 전통 오일장에 숨겨진 스토리를 들으며 장도 보고 다양한 자연 풍경, 과거와 현대가 공존하는 공간에서 바쁘게만 살아온 나에게 주는 선물 같은 여행을 떠날 수 있다. 대표 상품 무덤덤투어 외에도 금호강을 따라 자전거로 떠나는 안달투어, 백조가 찾아오는 안심습지, 갓바위 여행 그리고 덤덤 야행과 외국인 생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상품을 만들고 있다.

쿄우다이

쿄우다이

10.6 Km    0     2024-01-31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배로46길 72

쿄우다이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에 있다. 일본 감성이 느껴지는 외관과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여러 종류의 초밥 20개를 비롯해 면류, 튀김 등이 나오는 모둠초밥 2인 세트다. 이 밖에 돈가스세트, 돈코츠라멘, 쇼우라멘, 우동, 냉모밀, 규동, 수제등심돈가스 등을 맛볼 수 있다. 초밥은 단품으로도 주문이 가능하다.

동명지수변공원

동명지수변공원

10.6 Km    3     2023-03-30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길 3

팔공산을 가다 보면 만날 수 있는 동명지수변생태공원은 원래 동명저수지로 칠곡과 대구 일대에 농업용수를 제공하는 저수지였다. 정비사업을 통해 수면 위에 뜨는 데크형 부잔교와 주탑 형식의 현수교를 설치해 저수지를 순환하는 산책로를 만들었다. 아울러 조명을 설치하여 야간에 환상적인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또한 자연 친화적인 생태연못, 체험시설까지 갖추고 있어 어린이들과 함께 찾기 좋다.

와룡시장

와룡시장

10.6 Km    0     2024-04-23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1750

와룡시장은 문화 관광형 시장이다. 150여 개의 점포로 이뤄졌으며 1994년에 형성되어 현재까지 달서구 지역의 대표 거점시장으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시장은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중심 상권에 있어 뛰어난 배후 상권을 보유하고 있다. 지하철 2호선이 지나가 접근성이 좋다. 아울러 100대 규모의 와룡공원 지하 공영주차장이 설치되어 있다. 2011년 시설 현대화 사업을 통해 아케이드 조성 사업을 완공하였고, 2015년 협업화 사업, 2016년 골목형 시장 육성사업을 거쳐서 2019년 중소벤처기업부의 문화 관광형 시장 육성사업에 선정되어 문화와 관광이 접목된 문화 관광 특화시장으로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
(사진 출처: 대구광역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