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박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소수박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소수박물관

소수박물관

7.5Km    2025-07-24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80

소수 박물관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인 영주 소수서원에서 보관하던 유물을 전시하며, 유교 문화를 통해 민족정신의 뿌리를 되새기기 위해 설립된 유교 전문 박물관이다. 2004년에 개관했으며, 지하 1층·지상 2층 규모로 5개의 전시실과 수장고, 시청각실, 야외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기획전시실에서는 기증받은 2만여 점의 유물을 순환 전시하고, 제1전시실은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문화유적을 소개한다. 제2전시실은 ‘유교의 전래’를 주제로 이황의 성학십도, 사서삼경, 학맥도 등을 전시하며, 제3·4 전시실은 서원과 향교, 그리고 소수서원의 창건과 관련 인물 및 유물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수 박물관 통합 관람권을 이용하면 소수서원, 영주 선비촌과 함께 관람할 수 있다.

선비촌

선비촌

7.7Km    2025-07-28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영주 선비촌은 한국 유교 문화 발상지인 영주 순흥 소수서원과 바로 접하여 위치한 곳으로 선현들의 학문 탐구의 장소 및 전통 생활공간을 재현한 곳이다. 또한 선비정신의 계승과 이를 통한 올바른 가치관 정립, 역사관 확립을 도모하고자 설립된 체험 교육장이다. 우리 민족의 생활 철학이 담긴 선비정신을 거양하고,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재조명하여 윤리 도덕의 붕괴와 인간성 상실의 사회적 병폐 현상을 해소시켜 보고자 충효의 현장으로 재현하게 된 곳이다. 또한 선비정신의 계승과 이를 통한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 역사관 확립을 위한 살아 있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각종 기획프로그램 (오감체험형 전시와 참여형 이벤트, 전통문화 체험 등)을 통해 옛 선비들의 당시 생활상을 체험함으로써 잊혀져가는 수준 높은 선비문화의 숨결을 느껴보실 수 있다.

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

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

7.7Km    2025-04-23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054-630-8708 054-639-6612

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는 선비정신의 본향 영주의 철학과 정서를 현대적으로 재조명하고 계승하여 선비문화와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축제이다. '선비의 온기, 만남에서 빚어진 향기'라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축제는 다양한 체험프로그램과 전시를 통해 공동체의 가치를 회복하고 사람을 느낄 수 있는 축제로 진행된다.

소백산 자락길

소백산 자락길

7.7Km    2025-08-06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소백산자락길은 경상북도 영주시·봉화군, 충청북도 단양군, 강원특별자치도도 영월군의 3도 4개 시·군에 걸쳐져 있다.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문화생태탐방로’로 가장 먼저 이름을 올렸고, 2011년 ‘한국관광의 별’로 등극되었다. 영남의 진산이라 불리는 소백산자락을 한 바퀴 감아 도는 자락길로 전체 길이가 143㎞에 이른다. 총 열두 자락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락은 평균 거리가 12㎞ 내외이며, 약 3~4시간이 소요된다.

안빈낙도 새로보기·음미하기·유람하기

안빈낙도 새로보기·음미하기·유람하기

7.7Km    2025-07-09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02-737-6444

'영주 선비촌에서 만나는 리얼선비 풍류'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선비들의 '풍류와 놀이'를 직접 체험하며 전통문화의 가치를 현대적 방식으로 경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안빈낙도란 영주를 찾아온 손님을 편안하고 즐겁게 한다는 뜻이며, 행사가 진행되는 영주 선비촌은 오늘날 우리가 본받아야 할 선비들의 정신과 몸가짐을 새롭게 이해하고 전달할 수 있는 장으로 활용하고자 영주 선비들이 실제 살았던 생활공간을 그대로 재현한 전통문화 테마파크입니다. 선비의 풍류와 놀이를 직접 체험하고, 영주의 특산품 및 영주 고유의 식문화를 체험하며, 선비촌만의 힐링 프로그램을 통해 마음의 휴식을 주는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순흥향교

순흥향교

7.7Km    2025-09-17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청구길 15-36

순흥향교는 정확한 창건 시기는 미상이나, 고려 말기 혹은 조선 초기에 설립된 것으로 추정한다. 처음에 순흥부 북쪽 금성에 창건되었다가 1718년(숙종 44) 동쪽 위 야동으로 이건 하였고 이후 1750년(영조 26) 남쪽 석교리로, 1770년(영조 46)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 하였으며, 1971년에 중수하고 1975년에 누각과 단청을 보수하였다. 본래 순흥향교는 조선시대 순흥 지역 유생들이 머물며 학문을 닦고,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향사를 지내는 제향의 공간이었다. 후에는 향촌 자치 기구로 활용하기도 하였으나 16세기 이후 향교 운영상의 어려움과 사회, 경제적 변화 속에 교육 기능은 약화하고 제향의 기능만 남았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7칸의 대성전, 6칸의 명륜당, 각 5칸의 동무와 서무, 4칸의 동재 7칸의 문루, 삼문, 협문, 주사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 10 철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송조 6현과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이 밖에도 조선 후기 향교 운영 과정에서 작성된 집사안, 면분류원임안, 교중잡록 등의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선비촌종가집

7.8Km    2024-12-18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054-637-9981

한국관광의 별로 선정된 영주선비촌 입구 저잣거리에 있으며 선비촌의 대표적인 음식점이다. 이 집 영주청국장은 지역 특산물인 부석태를 이용하여 만들어 콩이 굵고 고춧가루를 사용하지 않아 담백하고 구수한 맛이 일품이며 무엇보다 1인분씩 뚝배기에 담아 나와 위생적이다. 떡갈비정식은 지역 영주한우를 사용하여 부드럽고 구수한 맛이 특징이며, 선비촌삼계탕은 이 집 주인장 고유의 노하우로 전통방식으로 만들어 여름철 보양식으로 추천할 만하다. 아울러 신선한 채소를 많이 사용하여 선비 음식에 맞는 전통음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업소이다.

선비촌

8.0Km    2024-11-26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054-638-6444

영주 선비촌은 한국 유교 문화 발상지인 경북 영주 순흥 소수서원과 바로 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선현들의 학문 탐구의 장소 및 전통 생활공간을 재현하여, 우리 고유의 사상과 생활상의 체험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설립되었다.

죽계구곡

8.0Km    2025-09-15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죽계로315번길

배점리에서 초암사에 이르는 계곡을 죽계구곡이라 한다. 옛날 퇴계 이황선생이 계곡의 절경에 심취하여 물흐르는 소리가 노래소리 같다하여 각 계곡마다 걸맞은 이름을 지어주며 죽계구곡이라 불렀다. 계곡 밑바닥이 훤히 보이는 맑은 물, 울창한 푸르른 숲, 그 사이로 보이는 하얀 바위들이 모여 빚어놓은 죽계구곡은 어느 지점에서든지 주저앉아 발을 담그고 휴식을 취할 수 있어 특히 무더운 여름 휴가철을 맞아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계곡이다. 인근에 소수서원, 부석사, 읍내리벽화고분 등 관광명소가 있다. 죽계구곡을 따라 올라가면 소백산 기슭에 자리잡은 조그마한 사찰인 초암사를 볼 수 있다. 이 사찰이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호국사찰을 세우고자 산수 좋은 이곳에 초막을 지어 임시 거처를 정하고 명당자리를 골라 부석사를 세운 뒤 초막을 지었던 곳에 절을 지어 초암사라 했다. 초암사는 6.25의 병화를 맞아 쇠락해 있던 것을 이보원 스님의 각고의 노력 끝에 현재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한국선비문화수련원

8.1Km    2024-11-27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806
010-7302-8484

경북 영주시에 위치하고 있는 한국선비문화수련원은 해동 유종으로 추앙받는 안향 선생의 정신이 깃든 한국 최초의 사액서원 소수서원과 함께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