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나 게스트하우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온나 게스트하우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온나 게스트하우스

온나 게스트하우스

19.2Km    2020-04-28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4
010-6642-1770

#본 업소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외국인만 이용이 가능하며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대구의 중심인 동성로와 가깝고 근대화골목투어코스인 약전골목에 위치하고있어 여행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김광석거리 및 서문시장도 도보 10분거리에 위채해 있다. 조식 무료 제공 및 개인사물함이 제공 된다. 각 침대에 개인커튼이 설치 되어있다. 저렴한 가격에 내집에 온듯한 편안하고 깨끗한 곳에서 여행의 피로를 풀기 좋다.

아떼에르 인 예다숲

아떼에르 인 예다숲

19.2Km    2024-12-30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송내길 144-11

아떼에르 인 예다숲은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에 위치한 한옥 스타일의 대형 카페이다. 이곳은 자연 속에 자리잡아 아름다운 정원과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 있어 방문객들에게 편안한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대표 메뉴로는 누룽지 조청 라떼와 브라운 치즈 라떼 등이 있으며, 브런치 메뉴와 다양한 베이커리 및 디저트도 선보이고 있다. 아떼에르 인 예다숲은 대구 근교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좋으며, 자연과 어우러진 한옥 카페로서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여주현_감성독채한옥숙소

19.3Km    2025-03-19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13길 7-6 (서성로1가)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

19.3Km    2025-07-31

대구광역시 중구 약령길 33-10 (계산동2가)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은 대구 약전골목에 있는 문학체험 전시공간이다. 6.25 전쟁 이후 대구 중구를 배경으로 한 소설 마당 깊은 집의 스토리와 등장인물, 대구 피난민의 삶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한 곳이다. 옛 남성동 경로당 부지에 한옥을 리모델링하여 조성하였으며, 전시관, 안내실, 화장실, 마당(회랑), 골목, 외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관은 마당 깊은 집 모형, 등장인물 소개, 50년대의 대구 풍경과 생활사진, 길남이네 방, 김원일 작가 기증품 아카이브, 작가의 방으로 되어 있다. 마당과 골목에는 수돗가, 포토존, 사진 게시판을 설치해 피난민의 생활상을 느낄 수 있다. 소설에 등장하는 실제 장소는 아니지만, 이곳에서 50년대 대구를 만날 수 있다.

예연서원

예연서원

19.3Km    2025-03-19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구례길 123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했던 곽재우(1552∼1617)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곽재우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조직하여 경상도 일대에서 활약하여 큰 공을 세운 인물로 붉은 옷을 입은 장군이라는 뜻의 ‘홍의장군’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광해군 10년(1618)에 ‘충현사’로 처음 세웠고 현종 15년(1674)에 규모를 확장하여 서원의 모습을 갖추었다. 숙종 3년(1677) 나라에서 인정한 사액서원으로 ‘예연’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5년(1868)에 폐쇄되었고 한국전쟁으로 완전히 소실된 것을 1977년과 1984년에 걸쳐 복원하였다. 현재는 곽재우의 재종숙으로 정유재란 때 공을 세운 곽준의 위패를 추가로 모시고 있다. 경내 건물로는 사당과 강당 등 주요 건물과 제물을 준비하여 두던 고사, 숙소로 사용되던 동·서재 등이 있다. 사당은 곽재우와 곽준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건물이다. 강당은 유림의 회합장소와 교육 장소로 사용하던 건물로 중앙에는 마루를 구성하고 양 옆으로 온돌방을 배치한 구조이다. 해마다 3월과 9월에 제사를 지낸다. 경내에는 나라에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땀을 흘린다는 비석이 있어 흥미롭다. (출처 : 국가유산청)

이모식당

이모식당

19.3Km    2024-06-27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13길 9

이모식당은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1가에 있다. 30년 넘게 영업했으며,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활의 달인에 소개된 바 있다. 오랜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외관과 예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막창순대이며, 순대국밥, 돼지국밥, 섞어국밥, 수육, 모듬 등도 준비되어 있다. 서대구IC와 대구 지하철 3호선 서문시장역에서 가깝다. 주변에는 청라언덕, 대구근대역사관이 있다.

8번식당(7전8기8번식당)

19.3Km    2024-12-23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13길 8

8번식당은 대구 중구 서성로1가에 있다. 1976년 개업한 이곳은 유명인들의 방문이 잦은 소문난 맛집이다. 대표 메뉴는 모듬 수육이다. 수육 외에 막창순대와 섞어국밥도 판다. 8번식당은 대구 지하철 3호선 서문시장역에서 가까우며, 주변에는 대구아쿠아리움, 김광석다시그리기길 등이 있다.

금송향

금송향

19.3Km    2024-10-08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덕운로 1351
054-931-0519

가야산 야생화 식물원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금송향’(구. 솔마루)는 원목을 이용한 구조와 각종 인형 및 소품을 이용한 실내 인테리어가 눈에 띄는 곳으로, 어탕, 어탕국수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야외에도 자리가 마련되어 있어 시골에 온 듯한 분위기를 즐길 수 있다. 어탕국수 맛이 진하고, 씹히는 게 많지 않아서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맛과 정성이 담겨있다.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19.3Km    2025-05-12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관문로 61

1928년 건축된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은 6·25전쟁 당시 남한으로 피난 온 독일 성 베네딕도회 수도자들이 세운 수도원이다. 베네딕도 성인의 정신에 따라 [일하며 기도]하는 수도원 단체로서 천주교 포교 활동과 사회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국 전쟁을 전후로 만주 연길의 성 십자가 수도원과 북한의 덕원 수도원이 공산당 정권에 의해 폐쇄되고, 종교탄압으로 갖은 박해와 희생을 겪어 이곳으로 이주하였다. 1955년 수도원 건물이 세워지며 수도원 인원이 크게 증가하였다. 왜관수도원에서는 순심중학교, 순심여자중학교, 순심고등학교 등 교육 사업을 비롯하여 분도출판사, 분도인쇄소, 분도목동소, 분도농장, 피정의 집 등을 운영하고 있다.

왜관 성베네딕도 수도원 홀리 페스티벌

왜관 성베네딕도 수도원 홀리 페스티벌

19.3Km    2025-06-13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관문로 61
054-979-6087

홀리 페스티벌은 경북 칠곡군이 보유한 풍부한 천주교 문화유산(자원)과 관광을 연계한 축제 콘텐츠로 Holiday(휴일, 재미)와 Holy(신성한, 가치)의 중의적 의미를 표현하며 관광객들에게 신성한 안식과 재미를 동시에 제공하고자 기획한 문화관광형 축제이다. 축제는 천주교의 역사와 정신이 깃든 왜관수도원을 중심으로 개최되며 빛의 성당 연출, 유럽 감성의 스테인글라스 구현, 이해인 수녀 토크콘서트, 왜관 in 비긴어게인 공연[소향, DK(디셈버)], 테라스 음악회 등 이색적인 경관과 다양한 공연이 펼쳐지며 다채로운 체험프로그램(하늘성당 미사체험, 수도원 투어, 스토리북 투어, 나만의 사진첩 만들기 등)도 준비하여 관광객을 맞이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