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비겨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겨비겨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겨비겨비

16.1Km    2025-01-06

전라남도 순천시 오천3길 4-13

겨비겨비는 전남 순천시 오천동에 자리 잡고 있다. 주말에는 주차장이 꽉 차서 예비 주차장을 운영할 정도로 많은 사람이 찾는다. 대표 메뉴는 한우 갈빗살이다. 이 밖에 한우 차돌박이, 삼겹살, 목살을 판다. 음식점은 순천만 IC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다. 주변에는 남제골 벽화마을, 미림수목원이 있어 연계 관광에 나서기 수월하다.

스카이큐브

스카이큐브

16.2Km    2025-03-19

전라남도 순천시 강변로 435

스카이 큐브는 순천만정원 꿈의 다리에서 순천만으로 흘러가는 동천(東川)과 순천만 생태공원을 이어주는 약 4.6㎞ 구간을 왕복 운행하는 소형 무인궤도열차이다. 열차는 순천만정원의 정원 역과 순천만 습지의 문학관 역을 상공에 설치된 레일에 따라 운전자 없이 자동 운행한다. 스카이 큐브는 순천만 습지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전기 에너지로 움직여서 배기가스가 없고 소음도 적다. 높게는 10m 상공을 가로지르는 스카이 큐브에 오르면 발아래 펼쳐지는 순천만정원과 동천의 풍경을 내려다볼 수 있다. 정원 역에서는 순천 에코트랜스의 직원들이 승강장까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문학관 역에서는 갈대열차가 준비되어 있다.

리비에르

리비에르

16.2Km    2024-07-10

전라남도 순천시 서문교길 10 브런치마켓

리비에르는 순천 옥리단길 부근에 있는 예쁜 브런치 카페다. 깊은 바다를 연상시키는 파란색과 하얀색이 어우러져 마치 그리스에 온 듯한 이국적인 분위기다. 잘 관리된 마당에는 테이블과 파라솔이 마련되어 있고 근처에 계곡이 있어 시원한 물소리를 들으며 휴식을 즐길 수 있다. 내부는 넓은 편이며 테이블과의 간격이 넓어 쾌적하다. 주문은 자리에 비치된 테이블 PC를 통해 비대면으로 주문하며, 서빙은 로봇이 한다. 메뉴는 샐러드와 샌드위치, 파스타와 피자, 덮밥 등 다양한 브런치 메뉴가 있다. 듬뿍 들어간 치즈와 약간의 매콤한 맛이 느끼하지 않은 에그인 헬과 새우, 삼겹살, 구운 고구마 등 양이 푸짐한 샐러드가 인기가 좋다. 이 외에도 크림 브륄레 라테와 인연 라테 등의 커피류와 홍차류, 수제 차, 에이드 등 다양한 음료 메뉴가 있다. ※ 반려동물 동반불가

도담헌

16.3Km    2024-10-18

전라남도 순천시 상인제길 35 (인제동)
0507-1366-1604

전남 순천에 위치한 도담헌은 낮에는 푸릇한 넓은 마당이 매력적이고, 밤에는 아늑한 조명과 한옥이 어우러진 탐스러운 독채 한옥 공간이다. 실내는 안방과 작은방, 거실, 화장실 1개, 주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야외에는 넓은 마당, 스파존&바베큐장, 불멍존이 있다. 조식으로 빵과 잼을 제공하고, 특별하고 소중한 추억을 위해 느린 우체통에 편지를 붙이면 호스트가 발송해준다. 버스터미널에서 도보 10분, 순천역 및 순천정원박람회에서 자차 5분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좋다.

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곱향나무)

16.3Km    2024-05-30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천자암길 105

조계산 도립공원 내 송광사 천자암에 있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곱향나무로 나무 높이는 12.5m, 둘레는 3.98m로 수령은 약 800년이다. 두 그루가 나란히 한 쌍처럼 서 있고 두 나무 모두 주요 줄기가 꼬인 진기한 모습을 하고 있다. 곱향나무는 주로 중국과 백두산 지역에서 한정해 자생하는 나무로 천자암의 곱향나무는 남한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는 곱향나무로 비사리구시, 능견난사와 더불어 송광사의 3대 명물이다. 고려시대 보조국사와 담당국사가 중국에서 돌아올 때 짚고 온 지팡이를 나란히 꽂아 놓은 것이 뿌리가 내려 자랐다고 전해지며, 이때 지팡이를 거꾸로 꽂았기 때문에 가지가 하늘이 아니라 땅을 향해 자라는 형태를 지닌 현재의 쌍향수가 되었다고 전한다. 천자암 쌍향수(곱향나무)는 나무에 손을 대면 극락에 갈 수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으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2002년 12월에는 문화재청에서 전국의 희귀하고 아름다운 나무를 대상으로 지정하는 '아름다운 희귀한 나무'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보성 그린티하우스

보성 그린티하우스

16.3Km    2024-10-23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개울고개길 246-18
061-853-8585

농촌의 풍경을 즐기면서 쉬어갈 수 있는 조용하고 깔끔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보성 그린티하우스’는 여름향기 촬영지와 웰빙 열풍으로 더욱 유명해진 녹차밭과 12~15분 거리에 위치해 있는 테마펜션으로 바쁘고 복잡하게 돌아가는 일상으로부터 벗어나 맑은 공기를 마시며 편안한 여행을 하실 수 있는 고급 전원주택형 펜션이다. 약 4000평의 대지 위에 1동과 2층이 나뉘어 있는데 1동은 가족룸, 2동은 커플룸으로 사용하기에 편한 구조로 되어있다.

글로벌 콘텐츠 페스티벌 in 순천

글로벌 콘텐츠 페스티벌 in 순천

16.4Km    2024-11-01

전라남도 순천시 오천동
061-749-3114

<글로벌 콘텐츠 페스티벌 in 순천>은 B2C와 B2B가 융복합되어 이루어지는 종합 콘텐츠 축제이다. 슬로건은 올텐가!(All Content Garden)로 모든 콘텐츠가 정원에 모인 행사의 약자이자 창작자들에게 보내는 순천으로 오라는 편지를 사투리를 섞어 표현하였다. 푸른광장으로 뛰어나온 다양한 콘텐츠와 드론쇼, 애니 OST 공연, 싱어롱쇼 등 매일매일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져 다양한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이번 페스티벌을 통해 기업은 비즈니스 마켓을 통해 지역과 상생·성장할 수 있는 PLAY GROUND를, 학생은 애니메이션 어워즈, 업계 인사 강연을 통해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관람객은 콘텐츠를 통해 새로운 놀거리와 문화를 향유하는 재미를 한 곳에서 만날 수 있다.

순천 오천그린광장

16.4Km    2025-03-18

전라남도 순천시 오천동
061-749-5789

오천그린광장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대규모 홍수를 예방하는 기능에 머물던 저류지를 정원으로 바꿔낸 곳이다. 저류지에 사계절 잔디를 깔고 어싱길과 경관조명, 바닥분수 등을 연출해 모든 시민들이 모여 만남과 소통을 이어가며 순천의 새로운 ‘광장문화’를 꽃피운 곳이다. 대규모 마로니에 숲을 비롯하여 다양한 수목들이 어싱길, 잔디밭과 어우러져 시민들이 많이 찾고 사랑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여 방문객들의 감탄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신광수 다원

신광수 다원

16.4Km    2025-01-16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386

명인 신광수 차 다원은 명인 신광수 씨가 직접 운영하는 다원으로 순천 조계산 기슭에 있다. 수려한 주변 경관을 즐기면서 명인의 차를 맛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안읍성과 선암사가 위치하고 있어 관광하기에 좋은 곳이다. 명인 신광수 수제차는 오염원이 없는 청정지역 십 오만여 평의 다원에서, 차나무 생육 이래 단 한 번도 비료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농법으로 재배 관리하여 국립농산물 품질 관리원으로부터 유기농산물 품질인증을 받은 찻잎만을 채취하여 40여 년의 수제차 법제 경력 속에서 터득한 노하우와 온갖 정성을 다하여 가공 생산한다. 유기농산물 인증을 받은 야생찻잎으로 만든 녹차가루를 활용한 체험을 진행하고 있다.

남도영화제 시즌1 순천

남도영화제 시즌1 순천

16.5Km    2024-09-24

전라남도 순천시 오천동
061-727-2272

자연과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생명의 땅 전남에서 열리는 영화제 남도영화제는 ‘남도 Everything’을 슬로건으로 남도의 모든 것에 흠뻑 빠져 즐기는 영화축제다. 또한 남도의 생태, 음식, 역사, 예술 등 남도의 자연과 문화를 영화와 엮은 로컬영화제로서 한 상 가득 차려진 남도한정식처럼 보고, 먹고, 힐링하면서 영화도 보는, 남도의 다채로운 매력을 담은 영화제다. 올해 아름다운 정원의 도시 순천에서 개최하는 남도영화제는 ‘영화의 정원을 거닐다’라는 콘셉트로 영화 상영과 대화, 공연을 드넓은 오천그린광장과 향기로운 순천만국가정원에서 즐길 수 있다. 일상과 삶, 자연과 사람에 대한 새로운 감수성과 미적 시선을 담은 영화들을 만나고, 남도의 문화와 풍경을 느끼고, 영화와 어우러진 공연과 행사를 즐기는, 남도영화제만의 특별한 즐거움을 선사하고자 한다. 특히 남도영화제는 ‘N개의 남도영화제’ ‘남도 로컬프로그래머 양성’ ‘남도영화제 컨퍼런스’ 등 영상문화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전남 곳곳에서 영화와 함께 문화 활동이 활발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영상문화생태계를 만들어가는 영화제가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