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Km 2024-12-17
경기도 가평군 상면 수목원로 4-5
031-585-5203
원조닭갈비막국수는 경기 가평군 상면에 위치한 음식점으로 대표 메뉴는 춘천닭갈비와 막국수이다. 주차공간이 넉넉하며 음식점의 외관은 깔끔한 모습이다. 실내는 넓고 깨끗한 분위기로 25개의 좌식 테이블이 준비되어 있어 편안하게 식사를 할 수 있다. 쌀과 닭고기는 국내산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화예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체 손님일 경우에는 미리 예약을 하면 편리하게 식사를 할 수 있다. 주변 관광지로 아침고요수목원, 가평레저카트장, 영양잣마을 등이 있다. 원조닭갈비막국수는 영양과 맛과 위생을 최우선으로 하여 정성을 다하고 있다.
5.6Km 2025-01-07
경기도 가평군 상면 청군로 697
031-584-6190
가평군 상면 임초리 입구의 청평과 아침고요수목원 방향 갈림길 코너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까운 주변여행지로는 아침고요수목원을 포함하여 조종천, 청평호반, 운악산 현등사, 운악산 등이 있다.
5.6Km 2025-05-13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비룡로782번길 71-40
마이포터리는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에 위치한 도자기 공방 겸 카페이다. 이곳은 큰 길에서 언덕을 따라 경사진 길을 올라야 하는 어려움이 있지만, 오히려 한적한 시골 마을에 자리를 잡아 주변이 조용하고 아늑하다는 장점도 있다. 카페 건물 앞은 푸른 잔디 정원이 펼쳐져 있으며 군데군데 테이블이 놓여져 있어 바깥바람을 쐬며 차를 마시기에 좋다. 건물 1층은 도예 공방으로 손작업과 물레작업 중 하나를 택해 원데이클래스를 받을 수 있다. 원하는 모양을 직접 내 손으로 만들어 보는 즐거움과 창밖으로 보이는 전경에 취해 행복감이 두 배가 되는 공간이다. 2층은 저 멀리로 산능선이 보이는 커다란 격자무늬 창이 사방으로 나 있는 아늑한 카페 공간이다. 언덕에 위치한 덕분에 앞이 가로막히지 않은 시원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어떤 계절, 어떤 날씨이든 핑계 삼아 오고 싶게 만드는 공간이다. 특히, 한쪽 벽면을 따라 배치한 좌식석은 1시간 이용제한이 있는 예약석일 만큼 인기있는 자리이다. 3층 옥상 루프탑은 개방형으로 되어 있어 야외에서 막힘없는 뷰를 감상하기에 제격이다. 시간의 여유가 있다면 공방 체험 후에 풍경화 같은 창가에서 향기 좋은 차 한 잔까지의 소박한 사치를 누리기에 좋은 곳이다.
5.7Km 2025-07-17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지둔로307번길 47-4
물맑음수목원은 남양주시에 위치한 체험 중심의 생태 수목원으로, 자연 속에서 배우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수동면의 청정 자연 환경을 바탕으로 조성된 이곳은 아이들과 가족이 함께 자연을 체험하고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목공예와 유아숲 체험, 숲해설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계절에 따라 색다른 방식으로 제공된다. 놀이숲은 아이들이 숲을 자유롭게 탐색하며 신체 활동과 창의 놀이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숲문화센터는 최신 디지털 콘텐츠와 자연물을 활용한 전시로 교육과 오락을 결합한 체험을 제공한다. 센터 내 하바리움과 압화 전시는 식물의 아름다움과 구조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옥상정원은 넓은 조망이 가능한 장소로, 수목원 전경과 주변 산세를 감상하기에 적합하다. 수목원 전역에는 완만한 산책로와 쉼터가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편안하게 머무를 수 있다. 반딧불이 생태학습관은 야간 생태계의 신비로움을 주제로 구성되어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 모든 공간은 단순한 관람을 넘어 자연과의 교감을 통한 치유와 배움을 중심에 두고 있다.
5.7Km 2025-10-23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지둔로 122-17
40년 전통의 동양국악기제작소는 가야금, 거문고, 아쟁, 해금 등 국악기제작에 좋은 재료 사용과 부단한 기술 개발로 더 좋은 전통악기를 제작하여 보급·계승하는 일에 사명감을 갖고 최선을 다하고 있는 전통국악기 제작업체이다. 동양국악기제작소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아름다운 전통음악을 위한 국악기제작에 본래의 악기 기능과 함께 온전한 보존과 계승, 전통에 기반을 둔 개량적, 창조적, 기술적인 노력을 지속시켜 왔다. 전통음악이 우리 삶에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고, 세계문화예술에서도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일조하고자 하여 전통악기를 제작하는 장인(匠人)으로서 새롭고 더 좋은 악기를 제작·보급해 악기를 연주하는 모든 연주자들과 음악과 예술을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기업가치관을 실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국악기 체험 프로그램, 지역 축제 참여 등을 통해 국악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있다.
5.7Km 2025-08-19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조선 중기 한문 사대가(漢文四大家)의 한 사람인 월사 이정구(李廷龜, 1564∼1635)의 문집 『월사집(月沙集)』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목판이다. 원집(原集) 799판, 별집(別集) 79판, 연보 61판 총 939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는 28.0×53.0㎝, 두께 3㎝ 내외이며, 책판의 양 끝에 나무를 끼워 평평하게 하였다. 『월사집』은 최유해(崔有海)에 의하여 1636년 공주에서 처음 간행되었으나 병자호란을 겪으며 소실되었다. 이후 1688년 이정구의 손자 이익상(李翊相)이 경상감영에서 원집과 부록을 간행하였고, 1720년에는 증손 이희조(李喜朝)가 별집을 간행하였다. 연보 목판은 1930년에 새겨졌다. 월사집 목판은 원래 대구 용연사(龍淵寺)에 보관되었다가, 1928년 충북 옥천군 이원면 이원리로 옮겼고, 다시 1987년 4월 현재의 이곳으로 장판각을 지어왔다. 월사집 목판 자체의 의미와 함께 한 가지 더 중요한 사실은 월사의 손자 이은상의 『동리집』, 월사의 6대손 이천보의 『진암집』 도 가평의 장판각에 남아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월사집 목판은 국내외에 잘 알려졌으나 『동리집』과 『진암집』은 제대로 알려지거나 평가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이 목판들은 조선시대에 이미 기록으로 남아있었으며 말기까지 그대로 유지된 것이 확인된다. (출처 : 국가유산청)
5.8Km 2025-08-19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 1564~1635)는 조선 중기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는 문인이다.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윤근수(尹根壽)의 문인이다. 벼슬은 좌의정에 이르렀으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선생의 묘는 부인 안동 권씨(安東權氏)와 합장(合葬)되어 단분(單墳)으로 조성되었으며, 봉분 아래에는 원형의 호석(護石)을 둘렀다. 봉분 앞에는 묘표, 혼유석, 석상, 향로석이 놓여 있으며 좌우로 동자석, 문인석 망주석이 설치되어 있다. 이정구선생 묘 위쪽으로는 손자 이일상(李一相), 아들 이명한(李明漢)의 묘가 조성되어 있다. 묘역 하단에는 이정구, 이명한, 이일상의 신도비가 건립되어 있다. 모두 지붕돌과 네모난 비석 받침의 형태이다. 이정구 신도비는 1656년에 건립되었으며, 김상헌(金尙憲)이 비문을 짓고, 김상용(金尙容)이 전서(篆書)를 썼으며, 이경석(李景奭)이 글씨를 썼다. 1658년에 건립된 이명한 신도비는 비문을 김상헌이 짓고 이경석이 썼으며, 이정영(李正英)이 전서를 썼다. 1703년에 건립된 이일상 신도비는 박세채(朴世采)가 비문을 짓고, 조상우(趙相愚)가 썼으며, 김창협(金昌協)이 전서를 썼다.
5.8Km 2025-10-23
경기도 가평군 상면 연하리
가평군 이천보 고가 내에 위치한 향나무이다. 조선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이천보의 선조가 심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향나무는 사계절 푸른 상록성으로 잎이 침형인 키 큰 교목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잘 자랄 수 있다. 정화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절간, 묘지 등 신성한 곳에 많이 심겨 왔다.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아 건물 주변의 잔디밭에 심거나 가로수로 심고 있으며, 가지가 곧게 또는 구부러지는 모양새를 하고 있어 정원수나 생울타리로 이용하고 있고 분재용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가평 연하리 향나무는 높이 13m, 수관폭 12m의 우람한 품격을 지니고 있다. 수령은 약 3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이천보 고가 대문이 잠겨있는 경우가 많아 담장 너머로 봐야 한다.
5.8Km 2025-07-22
경기도 가평군 상면 역촌길 84-14
이천보 고가는 조선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이천보가 살았던 집으로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정면의 사랑채와 오른쪽의 행랑채이다. 사랑채는 동쪽을 향해 있으며, 경기 지방에서는 흔하지 않은 일자형으로 지어졌다. 왼쪽부터 높게 만든 마루인 누마루, 방, 대청, 방, 부엌 순으로 정면 6칸, 옆면 1칸 반의 규모이다. 특히, 누마루 쪽의 지붕은 팔작지붕이고, 부엌 쪽은 맞배지붕으로 서로 다른데 연이어 두 건물이 있는 경우에 보이는 형식이기도 하다. 대청 위를 받치는 도리에 「동치육년(同治六年)」이라 적힌 상량문으로 보아 고종 4년(1867)에 고쳐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 행랑채는 지금 담장 밖에 있던 것을 1975년 지금의 자리로 옮기면서 1칸을 늘려 지었다. 이천보 고가는 일제강점기에 일본 순사들이 머무르던 주재소로 사용되었고, 한국전쟁 때는 인민군 사령부로 쓰였다. 사랑채 뒤쪽으로 가문의 선조가 심었다는 향나무가 있으며, 고가 오른쪽으로 1975년 김포에서 이장한 묘와 석물이 있다.
5.8Km 2025-05-12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철마산로 316-31
경기도 남양주 수동면 수산리에 위치한 수산 아카데미 오토캠핑장은 울창한 산림과 청정계곡으로 둘러싸인 캠핑장이다. 아카데미란 명칭은 옛날 기업체 연수시설로 이용되었기 때문이다. 캠핑장 곳곳에 나무가 많을 뿐만 아니라 크기도 커서 시원한 그늘을 즐길 수 있다. 수산 아카데미 오토캠핑장은 A~F까지 총 6종류의 사이트가 있다. 각 사이트마다 자동차를 세우고도 여유 공간이 넓어 여유롭다. 4개 팀이 한 번에 들어갈 수 있는 단체팀 사이트도 있다. 계곡물을 이용하는 수영장도 마련돼 있어 여름철엔 물놀이를 즐기기 좋다. 수영장 주위 나무가 크고 울창해서 그늘에서 쉬기에도 좋다. 관리동 뒤편 어린이 도서관에는 책이 비치되어 있어 독서를 즐기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