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Km 2025-03-07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오창양지길 22-13
송천 서원은 목련산에 위치한 서원으로 조선 후기 김사렴 등 7인의 선현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다. 1695년(숙종 21)에 옥산면 환희리 송천마을에 김사렴, 최유경, 이정간, 박광우, 이지충, 조강, 이대건을 배향하고 후진을 교육하기 위하여 세운 서원이다. 1723년(경종 3)에 이제신을 추향 하고, 영조대에 최석정과 이인혁을 추향 하고, 1798년(정조 22)에 이효석, 남구만, 박문수, 이종성 등을 추가 배향하였다.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 8)에 철폐되었는데, 1975년에 지방 유림의 복원계획에 의해 현재 위치에 복원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5칸의 사우, 중앙의 모현문, 양 옆의 협문으로 된 삼문 등이 있다. 매년 음력 3월 20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18.7Km 2024-10-24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041-530-6319
영원한 이순신의 도시 아산에서 이순신 순국의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개최하는 이순신 장례 행렬 재연 축제이다. 그리운 우리의 영웅 이순신을 기억하고, 맞이하는 전통 공연과 시민참여형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색적인 장례문화축제를 통해 문화 예술 축제의 다양화를 선보인다.
18.7Km 2025-05-20
세종특별자치시 돌마루2길 7 진하우스
조치원짬뽕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위치하고 있다. 외관과 인테리어는 깔끔한 분위기다. 좌석 수가 많지 않아 웨이팅이 생기는 경우도 많다. 대표 메뉴는 얼큰하고 시원한 맛이 일품인 짬뽕면이다. 이 밖에 짜장면, 탕수육, 군만두 등도 많은 사람이 찾는다. 재료 소진 시 조기마감할 수 있으므로 방문 전 영업여부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18.7Km 2024-10-04
충청남도 아산시 현충사길 126
041-540-2428
성웅 이순신의 정신과 위엄이 깃든 현충사에서 가을밤의 아름다운 추억을 남길 수 있는 공연, 전시 및 체험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는 축제이다. 야간 경관 조성을 통해 주간의 정취와는 또 다른 야간의 매력을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을 통해 시민들의 휴식 공간을 구성했다. 국악의 향연, 가곡과 아리아 밤의 무대를 감상할 수 있고 미디어아트 전시와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18.7Km 2025-03-24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과학산업2로 565
오창 송대리에 위치한 방죽, 즉 송대제 저수지를 끼고 공원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곳이 송대공원이다. 송대제를 감상하며 걸을 수 있는 데크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공원 곳곳에는 쉴 수 있는 벤치와 운동기구가 있다. 봄에는 벚꽃이 만개하여 널찍한 잔디밭에 돗자리를 펴고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도 많다. 가족이나 연인끼리 가볍게 산책 겸 나들이 겸 방문해도 좋은 곳이다.
18.8Km 2025-05-20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금사길 75
예로부터 가마터가 많아 도자기 마을이라 불렸고 세종실록지리지에도 우수한 품질의 분청사기와 백자를 관아에 납품하였다고 기록된 ‘금사리’에 세종시립민속박물관이 자리 잡고 있다. 폐교된 금사초등학교를 활용하여 2012년에 개관한 세종시립민속박물관은 민속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연구·전시 교육하여 생활 속 우리 모습을 되짚어 보는 시간을 제공하는 문화공간이다. 상설전시관, 기획전시실, 체험학습실, 수장고, 야외전시장, 학예연구실로 구성되어 있다. 유물의 전시뿐 아니라, 각종 민속놀이와 체험학습 등의 다양한 문화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18.8Km 2025-05-20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도신고복로 585
도가네매운탕은 세종시 연서면 용암리에 자리 잡고 있다. 1980년대 초반부터 2대째 운영하는 전통이 있는 매운탕 전문점이다. 대표 메뉴는 국내산 양식 메기를 사용한 메기 매운탕이다. 양파와 다진 마늘을 가득 넣어 비린 맛을 잡았다. 이 밖에 참게 매운탕을 판다. 오전 10시 30분에 문을 열고 오후 8시 30분에 영업을 마감한다. 음식점 주변에는 고복저수지가 있다.
18.8Km 2025-05-20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도신고복로 586
고복자연공원은 오봉산의 자연림, 동굴, 사찰, 야외조각 전시장 등이 있으며, 수변길이 조성되어 있다. 주변 마을에는 포도, 복숭아, 배를 재배하는 과수 단지가 있다. 공원 변에 광장과 이화여대 미술대 강태성 교수가 조성한 야외조각 공원이 있어 방문객들에게 또 하나의 볼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특히, 야외수영장이 개장하는 여름방학 시기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 중간지점에 있는 ‘민락정’에서 내려다보는 경관이 일품이며, 벚꽃 필 무렵의 고복 자연공원은 아는 사람만 아는 숨겨진 명소이다. 고복 자연공원 주변에는 갈비, 한방오리와 메기매운탕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 등이 산재해 있어 미식가들의 입맛을 돋워 주며, 수변 전망이 가능한 카페들이 있어 휴식공간을 제공해 준다.
18.8Km 2025-05-20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도신고복로 586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고복저수지시립공원 안에 있는 공원이다. 연기대첩을 기념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1997년 고복저수지 상류에 높이 10m의 연기대첩비를 건립하고, 대첩비 주변 지역을 공원으로 조성하였다. 연기대첩은 1291년(충렬왕 17년) 고려를 침공하여 금강 연안까지 밀고 내려온 원나라의 반란군 합단적을 한희유, 인후, 김흔 등이 지금의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정좌산에서 격파한 싸움이다. 고려시대의 대표적 역사서인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동국여지승람 등에 기록되어 있는 7대 대첩 중의 하나로 꼽힌다. 공원 안에는 대첩비 외에, 급수대, 시범화장실, 주차장, 놀이시설, 파고라, 잔디광장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가족 단위의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명소이다.
18.8Km 2025-05-20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
044-865-2411
연기대첩제는 고려시대 대몽항쟁 전투 중 하나로, 고려 1291년(충렬왕 17)에 금강 연안까지 내려온 원라나 반란군 합단적을 한희유, 인후, 김흔 등이 격파한 싸움이다.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매년 2차전 승전일 양력 5월 첫째 주 토요일에 축제를 진행한다. 제24회 연기대첩제는 축제 참여자들에게 연기대첩의 역사와 가치를 알려 민족적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