쎄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쎄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쎄쎄

쎄쎄

3.6Km    2021-03-15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 532
02-908-5640

화교가 운영하는 매장이다. 대표메뉴는 탕수육이다.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중식전문점이다.

스시초심

3.6Km    2024-01-19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해로85길 1

서울에 위치한 오마카세집이다. 합리적인 가격에 고퀄리티 스시 오마카세를 즐길 수 있다. 100%예약제로 운영되고 있어 편안한 분위기에서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오크힐커피

오크힐커피

3.7Km    2025-07-22

경기도 의정부시 동일로150번길 114 (장암동)

경기 의정부시 동일로에 있는 카페다. 실내 및 실외 좌석 모두 이용 가능하며, 야외 테라스 좌석에서는 멋진 뷰도 감상할 수 있다. 근처에 산책로가 있어 식사를 마친 후 걷기에도 좋다. 다양한 카메라 전시 및 사진, 오크힐 협업 작가들의 그림 전시도 즐길 수 있어, 단순히 커피를 마시는 공간을 넘어서 사진, 그림, 커피, 자연을 통해 문화를 공유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반려동물 출입금지

한옥카페 선운각

한옥카페 선운각

3.7Km    2024-07-30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173길 223

카페 선운각은 우이신설선 북한산 우이역 2번 출구 인근 도선사 방향에 있는 한옥 카페이다. 이곳은 북한산의 사계절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공간이다. 조선왕조의 왕궁을 제외하고는 서울에서 가장 큰 민간 한옥으로 고 현대 정주영 회장이 지었다고 한다. 이곳은 본래 한옥 웨딩과 방송 촬영지로만 사용되어오다가, 카페로 개방했다. 커피를 주문하러 가는 통로에는 한옥 카페의 사계절 풍경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카페에는 오래된 큰 나무들이 그늘을 만들어 여름철 야외에 앉아있어도 덥지 않다. 우이역에서는 걸어서 20분 정도가 걸리며, 주차장은 이용료가 있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

오크힐 스테이크 하우스

3.7Km    2024-01-09

경기도 의정부시 동일로150번길 102

커피 한잔의 여유와 자연 속에서 편한 식사를 하며 특별한 시간을 만들고 싶은 고객에게 최상의 메뉴를 즐기고 힐링의 기쁨을 누릴 수 있도록 정성껏 준비하고 있다. 자연에서 럭셔리하게 즐기는 스테이크는 지속적인 메뉴 개발과 맛, 질로 승부하여 언제나 같은 맛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수락산 당고개지구 공원

수락산 당고개지구 공원

3.7Km    2024-08-29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로 273

수락산 당고개지구 공원은 지하철 4호선 당고개역 인근에 있다. 지역주민의 편안한 휴식과 문화공간을 목적으로 지어졌다. 공원 중심에 나선형 광장과 어린이 놀이공간, 야외무대, 소나무 동산, 농구장, 배드민턴장, 체력단련장 등이 조성되어 있다. 인공암벽장이 있어 암벽오르기를 즐길 수 있다. 평일과 주말에 암벽등반 동호인들이 자주 이용한다. 나선형광장은 주민들의 커뮤니티 활성화 공간으로 설계 되어졌다. 어린이 놀이공간은 하절기에는 물놀이 시설로 사용되어진다. 공원에서 수락산 등산로가 연결되어 있다.

상계중앙시장

3.7Km    2024-07-10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로23가길 24

서울시 노원구 상계5동에 위치한 전통시장으로 2010년 개설되었다. 서울 지역의 정비구역 지정사업인 재개발의 붐으로 인해 시장의 존폐 여부가 대립되었던 곳이다. 현재는 시장현대화사업을 통해 지중화 공사, 아케이드 설치, 주차장 완비 등으로 편리성이 좋아져 지금은 주민들의 나들이 장터로 사랑받고 있다. 4호선 상계역 2번 출구에서 도보 5~7분 거리로 접근성이 좋다.

수락산 학림사

수락산 학림사

3.8Km    2024-08-26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129가길 241

멀리서 바라보는 수락산은 드물게 암벽이 우뚝 솟아 봉우리를 이루고 있고, 그 아래로는 울창한 숲이 바다를 이루며 펼쳐져 있다. 남쪽 산록에 자리한 학림사는 주변지세가 마치 엄마가 자식을 품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그래서 절 이름도 학이 알을 품고 있는 것과 같다고 해서 학림사라 하였다. 이러한 학림사는 서울 근교에 자리한 많은 사찰 가운데 그 역사만큼이나 기도 도량으로 명성이 높다. 천혜의 자연 조건이 갖추어져 있어 참배는 물론 가족이 함께 산행까지 겸할 수 있는 웰빙 사찰이다. 울창한 숲을 걸으며 삼림욕을 즐기고, 산사에 들러 시원한 감로수 한 모금이면 속세에 찌든 온갖 티끌이 씻겨 내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 학림사는 기도와 수행, 포교와 교육의 도량을 함께 갖춘 사찰이다.

석림사(의정부)

석림사(의정부)

3.8Km    2024-06-13

경기도 의정부시 동일로122번길 177

수락산 산중에 위치한 석림사는 반남박씨 박세당의 원찰로, 매월당 김시습을 충절을 흠모하던 조선 후기의 문신 박태보가 중창한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 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자 비구니 절로 경기도 전통사찰 이다. 수락산 일대는 박태보의 할아버지인 박정이 인조반정의 공을 인정받아 하사 받은 사패지의 일부였다. 그 연고로 박태보의 아버지인 서계 박세당 선생(1629~1703)이 1668년 관직을 그만두고 이 골짜기에 터를 잡으면서 유서 깊은 문화유적이 다수 탄생되었고, 석림사의 역사도 함께 시작되었다. 석림사는 1671년(조선 현종 12) 석현과 그의 제자 치흠이 창건한 사찰로, 당시 서계 박세당 선생이 석림암(石林庵)이라 이름 짓고 「석림암기」와 「석림암 상량문」을 지어주었다고 한다. 1796년(정조 20)에 유담이 삼소각을 세웠고, 숙종 때의 문신으로 인현왕후의 민씨의 폐위를 반대하다 세상을 떠난 박태보(1654~1689)가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중창하였다. 김시습은 계유정난 후 속세와 인연을 끊고 이곳 석림사 계곡에 은거했다고도 전하는데, 그의 절개를 흠모하던 박세당이 인근에 청절사라는 사당을 세워 기리기도 하였다. 현재는 노강서원이 그 터에 자리잡고 있다. 1698년(숙종 24)에는 삼소각을 중건하였으며, 1745년(영조 21) 대홍수로 유실된 것을 복원하고 석림사로 명칭을 바꾸었다. 그 후 1950년 6·25전쟁 때 전소되어 소실되었고, 1960년대 비구니 상인이 제자인 보각과 함께 중창을 시작하여 오늘에 이른다. 사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중심 전각인 대웅전 대신 대방(큰 법당)을 중심으로 요사채 2동과 진영각·칠성각·독성각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대방에는 아미타삼존불을 비롯하여 후불탱화와 신중탱화 등을 봉안하고, 그 앞에 1969년 상인이 부처의 사리를 구해 봉안하고 건립한 탑이 있다. 6·25전쟁의 상흔으로 인해 경내 중요 문화재는 전하지 않지만, 수락산 정상으로 향하는 필수 코스 중의 하나여서 많은 등산객들의 발걸음이 머무른다. 또 석림사로 가는 길엔 서계종택을 중심으로 반남 박씨 가문의 선산과 서계가 세운 서당인 청풍정, 박태보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노강서원 등 유서 깊은 문화유적과 시원한 계곡이 함께 위치해 있어 함께 둘러볼만하다. 또 의정부시 문화관광과를 통한 사전 신청 시 문화관광해설을 들을 수 있다. 7호선 장암역 1번 출구에서 도보 약 20분 가량 소요된다. 절의 주차장은 신도들을 위한 곳으로 협소하므로, 장암역 환승공영주차장 이용을 권장한다. 인근에 의정부 동부광장, 망월사, 도봉산, 수락산, 장흥유원지 등이 있다.

우이시장

우이시장

3.8Km    2025-01-02

서울특별시 강북구 노해로23길 68

1962년에 문을 연 강북구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시장으로, 옛 재래시장의 정겨운 모습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