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자상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내자상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내자상회

내자상회

10.0 Km    3     2023-08-24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10길 3

서울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인근에 위치한 카페 내자상회는 조선 시대에 궁중 식품을 관장하던 ‘내자시’의 터에 들어선 카페이자 다양한 생활잡화를 선보이는 편집숍을 겸하기에 ‘내자상회’라는 이름이 붙었다. 카페 내부는 예스럽고도 현대적인 미를 뽐내는 한옥으로 고운 처마 선과 서까래, 한옥 마당을 닮은 바닥재, 군데군데 칠이 벗겨진 벽이 운치가 있으며, 외벽을 통유리창으로 만들어 안에서 서촌 풍경을 바라볼 수 있다.

북촌한옥역사관

북촌한옥역사관

10.0 Km    5     2023-06-10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4길 3

북촌한옥역사관은 종로구 계동 4길 3에 있으며, 한옥을 개조한 공간에서 북촌 역사를 살펴 볼 수 있다. 1920~1930년대 '조선집'이라 불린 소형 한옥과 이를 공급하면서 당시 '건축왕'이라 불렸던 기농 정세권 선생을 조명한다.

뼈탄집

10.0 Km    0     2024-01-05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길 13

뼈탄집은 방송에서도 여러 번 홍보된 맛집으로 다양한 부위의 고기를 맛볼 수 있는 식당이다. 삼겹살 부위 중 가장 맛있는 부위는 뼈 옆에 붙어있는 부위라고 한다. 뼈탄집에서는 가장 맛있는 뼈대를 선별하여 자체 노하우가 담긴 숙성을 시켜 직접 구워 제공한다. 직접 구워주는 고기와 함께 정갈한 밑반찬이 제공된다. 숙성 삼겹살, 숙성 뼈탄삼겹살 등의 인기메뉴이며, 매운직화 뼈구이와 같은 특색 있는 메뉴도 맛볼 수 있다.

둔촌역전통시장

10.0 Km    1     2023-08-02

서울특별시 강동구 풍성로58길 34

지하철 5호선 둔촌역 3번 출구와 붙어 있는 둔촌역 전통시장은 곧게 뻗은 골목형 전통시장이다. 30여 년간 지역 주민의 사랑을 받아 온 둔촌역 시장은 시장 안으로 들어오면 좁은 골목이지만 80여 개의 점포가 의식주에 필요한 다양한 용품들과 먹거리 등을 알차게 진열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다른 시장과 달리 다양한 해산물을 판매하고 있다.

아라리오 갤러리(서울)

아라리오 갤러리(서울)

10.0 Km    23767     2023-12-08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5길 84

아라리오 갤러리(서울)은 2014년 3월 전속 작가의 개인전을 시작으로 종로구 삼청동에 첫 문을 열었다. 탄탄한 전속 작가 시스템을 도입하고 과감한 전시 기획력을 선보이며 동시대 미술 현장을 이끌어가고 있다. 2018년 4월부터 2019년 11월까지는 서울 홍익대학교 부근에 지역이 상징하는 젊고 새로운 실험정신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서울의 두 번째 전시 공간인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라이즈 호텔]을 열었으며 2023년 2월에는 삼청동에서 종로구 원서동으로 옮겨와 새로운 모습으로 재개관했다. 아라리오갤러리(서울)은 선제적 발굴 및 꾸준한 지원을 통해 작가들의 조력자로 활동하고 함께 성장하기 위해 실험적이고 진지한 전시 기획을 실현하고 있다.

경복궁

경복궁

10.0 Km    113901     2024-06-05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경복궁은 1395년 태조 이성계에 의해서 새로운 조선왕조의 법궁으로 지어졌다. 경복궁은 동궐(창덕궁)이나 서궐(경희궁)에 비해 위치가 북쪽에 있어 ‘북궐’이라 불리기도 했다. 경복궁은 5대 궁궐 가운데 으뜸의 규모와 건축미를 자랑한다. 경복궁 근정전에서 즉위식을 가진 왕들을 보면 제2대 정종, 제4대 세종, 제6대 단종, 제7대 세조, 제9대 성종, 제11대 중종, 제13대 명종 등이다. 경복궁은 임진왜란 때 상당수의 건물이 불타 없어진 아픔을 갖고 있으며, 고종 때에 흥선대원군의 주도 아래 7,700여 칸에 이르는 건물들을 다시 세웠다. 그러나 또다시 명성황후 시해사건이 일어나면서 왕조의 몰락과 함께 경복궁도 왕궁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말았다. 경복궁에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건축물인 경회루와 향원정의 연못이 원형대로 남아 있으며, 근정전의 월대와 조각상들은 당시의 조각미술을 대표한다. 현재 흥례문 밖 서편에는 국립고궁 박물관이 위치하고 있고, 경복궁 내 향원정의 동편에는 국립민속 박물관이 위치하고 있다. * 주요 문화재 1) 사적 경복궁 2) 국보 경복궁 근정전 3) 국보 경복궁 경회루 4) 보물 경복궁 자경전 5) 보물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 굴뚝 6) 보물 경복궁 아미산굴뚝 7) 보물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8) 보물 경복궁 풍기대

궁중문화축전

궁중문화축전

10.0 Km    65519     2024-02-22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02-3210-3506, 궁능활용프로그램 콜센터 1522-2295

‘궁중문화축전’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이며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사를 품고 있는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 등 서울 소재 5개의 궁궐과 종묘에서 매년 봄·가을 마다 펼쳐지는 문화유산 축제이다.
2024 궁중문화축전은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하여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에서 시간여행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흥례문 광장에서 진행되는 전통마켓, 세계문화유산인 창덕궁에서 열리는 전통공예 전시 등 궁궐과 궁중문화를 더 쉽게 경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들로 방문객 여러분을 맞이할 예정이다.
각각의 궁궐 전각과 장소의 특성을 반영한 공연, 전시, 체험, 의례 재현 등의 문화, 예술프로그램을 만날 수 있는 궁중문화축전은 궁을 사랑하는 많은 분들이 직접 축전의 주인공이 되고, 더 많은 분이 궁의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고 있다.

한국문화재재단 버들마루

10.0 Km    0     2024-03-23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7(세종로)

-

경복궁 생과방

경복궁 생과방

10.0 Km    10     2024-05-14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경복궁
1522-2295

경복궁 소주방 전각에 위치한 '생과방'은 궁중의 육처소(六處所) 가운데 하나이며, '국왕과 왕비'의 후식과 별식을 준비하던 곳으로 '생물방'이라고도 불렸다. 경복궁 생과방 프로그램은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토대로 실제 임금이 먹었던 궁중병과와 궁중약차를 오늘날에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유료 체험 프로그램이다.

경복궁 별빛야행

경복궁 별빛야행

10.0 Km    19     2024-03-26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1522-2295

은은한 별빛 아래 경복궁 소주방에서 국악공연을 즐기며 수라상을 맛보고 전문해설사와 함께 경복궁 북측권역으로 떠나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