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화폐박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427.5M    2025-07-24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39 (남대문로3가)

한국은행 화폐박물관은 우리나라 초기 근대 건축물로서 대한민국 금융의 역사와 함께 해온 유서 깊은 화폐박물관 건물은 1981년 국가중요문화재(사적)로 지정되었다. 1907년 일본 제일은행이 사용하기 위해 공사를 시작했지만 1909년 대한제국의 중앙은행으로 (구) 한국은행이 설립되어 준공 이후에는 (구) 한국은행 건물로 사용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구) 한국은행이 조선은행으로 개칭되고, 1912년 건물이 완공된 뒤에는 조선은행 본점 건물로 이용되었다. 1950년 6월 12일 한국은행이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으로 창립되면서 한국은행 본점 건물이 되었다. 한국전쟁 때 내부가 거의 파괴되었지만 1958년에 복구하였다. 1987년 이 건물 뒤편에 한국은행 신관(현 본관)이 준공되면서 원형복원 공사를 착수했다. 외벽은 이전과 같이 복원하였으나 내부는 대리석으로 마감하는 등 현대적 건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변경하여 1989년 완공했다. 이후 2001년 한국은행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2001년 6월 12일에 화폐박물관으로 개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화폐박물관은 다양한 화폐와 소장 미술품 기획전을 개최하여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화폐의 역사와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하는 일과 중앙은행 제도에 대해 알아볼 수 있고 화폐의 제조, 순환과정과 위·변조 화폐의 식별법도 설명해 준다. 화폐·금융·경제 관련 자료를 수집, 보존, 연구, 전시함으로써 어린이와 청소년을 비롯한 많은 국민들에게 화폐경제교육의 생생한 체험의 장이 되고 있다. 화폐박물관의 상설전시실은 총 2층과 13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시물은 외부 전시 일정 및 전시품의 보존 상태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있다. 기획전시실은 일정 별로 화폐에 관한 다양한 주제로 하여 특별기획전을 개최하고 있으며, 체험학습실에서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화폐를 좀 더 즐겁게 학습할 수 있다.

화포식당 시청

화포식당 시청

430.3M    2022-04-12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1길 16

서울특별시 북창동에 있는 바비큐 전문점이다. 직원이 직접 구워주는 고기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숙성 통 삼겹살이다.

인터넷안경

430.4M    2024-06-11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72

-

광화문국밥

광화문국밥

431.1M    2025-09-23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53 (정동)

지하철 3호선 광화문역 6번 출구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있는 국밥 전문점이다. 맑은 국물의 돼지국밥과 평양냉면, 부드러운 돼지수육이 인기이다. 피순대와 가자미식해 같은 특별한 메뉴도 맛볼 수 있다. 넓은 내부 공간으로 단체 방문이나 혼밥에도 적합하다. 근처에 다양한 박물관과 미술관이 있어서 식사 전후에 둘러보기 좋다.

이마트24 한국은행

이마트24 한국은행

441.1M    2024-03-24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길 9 (북창동)

-

톡스앤필의원 명동점

톡스앤필의원 명동점

443.8M    2024-06-28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84 (남대문로2가)

-

서울 정동교회

서울 정동교회

452.0M    2025-07-22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46 (정동)

정동교회는 개신교가 이 땅에 보급된 후 가장 먼저 세워진 교회이다. 1885년 미국 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 우리나라에 입국하여 배재학당을 세워 한국의 근대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는 학교에서 종교 활동을 하였으나 예배만을 위한 건물을 구입하여 베델(Bethel) 예배당이라 하고 1887년 첫 예배를 시작하였다. 교인들이 늘어나면서 5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교회 건립이 필요하게 되자 1895년 공사를 시작하여 1897년 12월 26일 봉헌식을 가졌다. 이 건물이 현재까지 유일하게 남아있는 19세기 교회 건물이다. 이 건물은 구조는 단층이지만 층고가 높아 2층으로 보이고 남측 종각은 3층 높이로 지어졌다. 미국식의 단순화된 고딕양식으로 건립 당시의 사진을 보면 이웃한 기와집이나 덕수궁과 잘 어울린다. 이곳에서는 많은 토론회와 음악회 등이 열려 신문화 수용과 민족의식 고취에 크게 공헌하였다. 본래는 십자형으로 380.16m²(115평)이었으나 1926년 증축 때 양쪽 날개 부분을 넓혀서 현재는 578.5m²(175평)의 네모난 모양을 이루고 있다. 원래 건물은 그대로 두고 양 날개 부분만 늘려지었기 때문에 건물의 원래모습에는 손상이 없다. 벽돌 쌓기를 하였으며, 곳곳에 아치형의 창문을 내어 고딕양식의 단순화된 교회당 모습을 이루고 있다. 돌을 다듬어 반듯하게 쌓은 기단은 조선시대 목조 건축의 솜씨가 배어있어 주목된다. 이 교회당의 종은 장식 없는 내부 기둥들의 겉모습과 함께 소박한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소박한 분위기를 지니고 있는 북미계통의 단순화된 교회건물이다.

하이커 그라운드

하이커 그라운드

453.4M    2025-08-29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40 한국관광공사 서울센터

한국관광공사 서울센터에 개관한 ‘하이커 그라운드’는 K-POP 체험과 미디어 아트 관람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한국 관광 홍보관이다. '하이커 그라운드'의 이름에는 한국(KR)이 반가운 인사(Hi)를 건네고 글로벌 여행자들의 놀이터(Playground)가 되겠다는 뜻이 담겨있다. 특히 MZ 세대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한국 관광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1층은 대형 미디어 ‘하이커 월’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 아트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미디어 아티스트 이이남 작가의 ‘신도시산수도’, 글로벌 한류 팬들이 공모한 한국 관광 영상 등을 볼 수 있고 2층「케이팝그라운드」에서는 XR 라이브 스튜디오를 활용하여 K-pop 뮤직비디오를 직접 제작해보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청계천이 보이는 창가에서 설치미술가 서도호 작가의 ‘North Wall’ 작품을 감상하며 계단을 올라가면 3층 「하이커스트리트」를 발견할 수 있다. 국내 1세대 그래피티 라이터인 알타임죠 작가의 작가의 작품과 함께 골목골목 한국의 자연스러운 일상문화 콘텐츠를 AI, AR, XR 등 최신기술로 구현한 상설전시이다. 4층「로컬그라운드」에서는 한국 로컬 관광을 다양한 예술, 체험, 전시를 통한 기획전시(~25.06 「노마드의 모자샵」, PER:SCENT, 「나의 한국적 취:향香」 전시 중) 로 만날 수 있으며 마지막 5층 하이커 라운지에서 청계천을 조망할 수 있는 포토스팟 테라스와 함께 관광안내센터가 위치하고 있어 다양한 한국관광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위라이드 서울전차

위라이드 서울전차

453.4M    2025-06-26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40 (다동)
070-7722-9284

“돌아온 전차가 여행에 감성을 더한다!” 위라이드 서울전차는 오직 페달과 배터리로만 달리는 레트로 스타일의 15인승 차량으로, 이를 타고 탁 트인 시야를 유지한 채 서울의 도로와 골목을 체험할 수 있는 이색 여행법이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서울역사문화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20세기 마지막 전차인 ‘381호 전차’를 모티브로 만든 위라이드 서울전차는 마치 전차 시대의 서울을 다시 만나기라도 한 듯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운행 시간은 총 1시간 30분이며, 네이버 예약을 통해 날짜와 좌석을 지정해 예매해야 이용이 가능하다. 이미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페달 펍(pedal pub, 배터리와 페달로 동력을 얻어 움직이는 투어 프로그램) 여행의 서울 버전으로 차장이 운행을 멈추고 종을 흔들면 페달을 밟아 동력을 보태야 한다. 여럿이 함께 페달을 굴리는 색다른 재미가 있는 데다가 검표원 겸 가이드의 문화해설까지 곁들여지기 때문에 여행의 즐거움이 배가 된다. 어른들에게는 지난 추억을 소환하는 시간을, 아이들에게는 색다른 문화체험을 해보는 소중한 시간을 선사하는 특별한 여행을 즐길 수 있다.

게임문화축제

게임문화축제

453.4M    2025-09-02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40 (다동)
02-554-6763

게임을 매개로 모든 세대가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게임문화행사를 통해 게임의 문화적 가치를 확산하고 올바른 게임문화를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