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심가든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해심가든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해심가든

2.3Km    2024-01-12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천제연로 203-4 (중문동)

서귀포 중문동에 위치한 해심가든은 돼지갈비 맛집으로 이름을 알린 한식당이다. 돼지 양념갈비도 맛있지만, 양념 없이 그냥 구워 먹는 돼지 생갈비 맛이 일품이다. 두툼하면서 부드러운 돼지갈비가 인기이며, 탄력 있고 쫄깃한 식감에 육즙이 가득해 유명인들도 즐겨 찾는 곳이다. 돼지갈비는 큼지막하고 두껍게 썰어 고기의 맛을 더욱 풍성하게 살려놓았다. 갈비와 함께 나오는 구수한 된장찌개도 별미다.

만족한상회 중문점

만족한상회 중문점

2.4Km    2025-06-24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상로 58-5 (중문동)

만족한상회 중문점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동, 중문초등학교 근처의 조용한 주택가에 위치한 갈치요리 전문 맛집이다. 대표 메뉴는 ‘만족한상’으로, 제주산 생물 은갈치를 손질해 뼈를 제거하고 순살로 만들어 조림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살이 부드럽고 양념이 잘 배어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만족한상회의 시그니처 메뉴다. 이 외에도 통갈치 한 마리를 통째로 구워내 촉촉한 속살이 살아 있는 ‘통갈치한상’도 인기 있으며, 단품 메뉴로는 갈치구이, 고등어구이, 제주 황게장 등이 준비되어 있어 원하는 스타일에 맞게 다양하게 조합해 식사를 즐길 수 있다. 10년 이상의 조리 경력의 주방장이 정성스럽게 만든 음식과 깔끔하고 단정한 분위기의 실내 공간이 어우러져 한 끼 식사 이상의 만족감을 주는 식당이다.

강정천

강정천

2.4Km    2025-04-08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

강정천은 물이 많아 이름이 물 강(江) 물 정(汀)인 서귀포시 최남단 마을 강정마을 동쪽에 위치한 총길이 16km의 용천수 하천이다. 한라산의 천연 암반수가 사계절 내내 흐르고 1 급수 어종인 은어가 서식하고 있다. 또한 천연기념물인 원앙이 무리 지어 목격되기도 한다. 강정교 부근은 수심이 얕아 아이를 동반한 가족들이 물놀이 즐기기에 맞춤하며 가까이 제주 최대 규모의 사찰인 약천사를 비롯해 썰물 때만 건널 수 있는 서건도, 올레 7코스의 범섬까지 5분 거리에 있다. 수려한 자연경관과 맑은 물이 조화를 이루는 곳에서 더위를 날려보는 것도 제주에서 바다와는 또 다른 이색 체험이 될 것이다.

주상절리대(대포동지삿개)

주상절리대(대포동지삿개)

2.4Km    2024-11-27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이어도로 36-30

막혔던 가슴이 탁트이도록 시원스레 부서지는 파도, 신이 다듬은 듯 정교하게 겹겹이 쌓은 검붉은 육모꼴의 돌기둥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는 중문관광단지 동부지역 해안가의 주상절리대는 자연의 위대함과 절묘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천혜의 관광자원으로, 제주도 지정문화재 기념물이다. 아득한 옛날 지각변동으로 인해 이루어진 주상절리대를 보고 있으면 새하얗게 부서지는 포말 속에 석수장이의 애달픈 사연이라도 금새 실려오는 듯하다. 파도가 심하게 일 때는 높이 20m 이상 용솟음치는 장관을 연출한다. 천혜의 절경으로 인해 테마여행지로 각광받고 있는 명소다. 주상절리(柱狀節理, columnar jointing)란 주로 현무암질 용암류에 나타나는 기둥모양의 수직절리로서 다각형(보통은 4∼6각형)이며, 두꺼운 용암(약 섭씨 1100도)이 화구로부터 흘러나와 급격히 식으면서 발생하는 수축작용의 결과로서 형성된다고 하는데 이곳의 주상절리는 높이가 30~40m, 폭이 약 1km 정도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이다.

대포해안

대포해안

2.4Km    2024-12-13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이어도로 36-30

대포동에 있는 포구로, 대포동은 주상절리가 아름답게 펼쳐진 지삿개 해안과 약천사가 자리 잡고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대포 마을 주변은 경사가 완만한 용암 지대가 넓게 분포해 있고, 끝없이 펼쳐진 바다와 넓은 초지대의 울창한 삼림지대가 있다. 대포포구는 월평마을의 아왜낭목에서 안덕계곡의 대평포구에 이르는, 제주올레 8코스 중간에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대포항에서는 요트 투어가 가능하며, 360도로 회전하는 제트보트 등의 이색적인 해상 스포츠도 경험할 수 있다. (출처 : 비짓제주)

중문수두리보말칼국수

중문수두리보말칼국수

2.4Km    2025-05-22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천제연로 192

중문에 위치한 수두리 보말칼국수는 2013년 9월 오픈한 이래로 꾸준하게 도민과 관광객들의 사랑을 받아온 맛집이다. 직접 반죽한 톳 면에 매일 아침 준비하는 자연산 보말을 활용해 육수를 낸다. 반찬 역시 직접 손질하고 만들어 제공해 모든 메뉴에서 이곳 주인장만의 손맛이 느껴진다. 메뉴는 4가지로 단출한 편이다. 톳 보말칼국수인 수두리 보말칼국수는 시그니처 메뉴이며, 진한 보말 육수와 쫄깃한 톳 면의 조화가 좋다. 이 밖에도 톳 성게 칼국수와 성게 전복죽, 애피타이저로 먹을 수 있는 물만두 메뉴도 한 번씩 맛보기를 추천한다.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국제컨벤션센터

2.5Km    2024-12-10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로 224

제주국제컨벤션센터는 서귀포시에 있는 종합 전시장이다. 2003년 3월 22일 개장하였으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했다. 영문약칭인 [ICC JEJU]로도 불린다. 이곳은 16,600여 평의 대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3,500명(최대 4,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국제회의장과 회의실, 전시실 및 기타 관련 부대시설을 완비한 국제회의 전문시설이기도 하다. 제주도와 도서 섬들을 형상화한 빼어난 외관이 주변 자연과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제주국제컨벤션센터는 뒤로는 한라산이, 앞에는 푸르게 펼쳐진 태평양이 있다. 2023년 9월 제2전시장을 착공하여 2025년 개장할 예정이고, 전시장 바로 앞에 버스 정류장이 있어 교통도 편리하다.

2024 제주펫페어

2024 제주펫페어

2.5Km    2024-09-27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로 224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펫페어 운영사무국 064-702-2846

댕냥이들 모여라! 제주 유일 반려동물 박람회 제주펫페어가 10월에 찾아온다. 오는 10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이벤트홀에서 진행되는「2024 제주펫페어」는 약 60여 개의 반려동물 산업 관련 업체가 참여하여 펫푸드, 펫용품, 펫서비스 등 다양한 전시 품목을 선보인다 첫날 반려동물 산업 업계 간 비즈니스 미팅을 시작으로 B2B·B2C 세미나, 반려동물과 함께 참여하는 체험 이벤트 등 다양한 부대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오는 9월 30일까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카카오톡에서 ‘2024제주펫페어’ 채널에서 사전등록을 진행하며 사전등록을 완료한 참관객에게는 펫페어 현장에서 다양한 반려동물 관련 경품 이벤트 참여의 혜택을 제공한다. 사전등록 : https://booking.kakao.com/short/-IosIDiIyh 자세한 내용은 제주펫페어 공식 인스타그램 @jejupetfai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제주헬스케어&라이프페어

2024제주헬스케어&라이프페어

2.5Km    2024-06-1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로 224 (중문동)
064-711-1002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증폭한 가운데 다양한 건강용품 및 서비스 그리고 라이프 스타일을 충족시켜 줄 인테리어 소품 등 다양한 품목이 준비되어 있는 행사이다. 건강 의료 서비스, 건강 관리 용품, 건강 기능 식품, 헬스 및 운동용품, 다이어트 용품, 수면 및 힐링케어 제품, 클린 가전용품 및 하우징, 방역 관련 기자재, 뷰티&에이징케어 제품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제7회 농촌융복합산업 제주국제박람회

제7회 농촌융복합산업 제주국제박람회

2.5Km    2025-06-09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로 224 (중문동)

제7회 농촌융복합산업 제주국제박람회는 소비자와 생산자가 직접 만나 농촌융복합산업 제품을 직접 경험하고, 제품의 가치와 우수성을 인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행사이다. 올해 7회째를 맞이하는 제주국제박람회는 매해 새로운 주제 전환을 시도하여, 참관객과 언론등의 관심을 이끌어냈다. 올해는 전년도에 이어 '푸드테크'를 주제로 AI로봇과 푸드테크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수출유통상담회, 국제포럼 등을 운영하여 농촌융복합산업의 다양한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