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은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은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학은재

607.1M    2024-11-27

전라남도 목포시 유동로 51
010-9448-4398

국내와 해외에서 근무하며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많은 곳을 여행했던 사장님이 퇴직 후 목포가 좋아 별장으로 사용하던 한옥을 개방하였다. 50년이라는 흔적을 간직한 한옥 속의 작은 정원에는 동백과 오죽, 팔손이, 장미 등이 자라고 있으며 주변에는 유달산, 성옥 기념관, 목포역, 여객선 터미널 등이 걸어서 10분 이내에 있다.

목포항구축제

목포항구축제

612.4M    2025-09-12

전라남도 목포시 삼학로92번길 6 (산정동)
061-270-8441

목포는 1897년 개항하여 교역, 물류 교통의 중심지로서 과거 전국 3대항, 6대 도시의 영광을 누리면서, 지역경제의 부흥을 주도했으며 현재에는 서남해안의 배후 중심 도시이다. 목포항구축제는 설화가 공존하는 삼학도에서 항구 내음 가득한 목포항의 전통 파시(波市)를 전국에서 유일하게 축제로 재현하여 역사적인 가치를 널리 알린다. 또한 제철 수산물을 활용한 파시 경매, 경매 받은 수산물을 즉석해서 구워먹고 요리 해먹는 등 풍요로운 목포항의 낭만을 가득 담은 행사가 마련되어 있는 가을 축제이다.

엠모텔

621.7M    2024-12-05

전라남도 목포시 호남로64번길 13
061-244-1717

목포 대안동에 위치하고 있는 엠모텔은 목포역에서 도보로 3분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좋으며 가성비 좋은 모텔이다. (정보제공자: 목포시청)

선창횟집

621.8M    2024-07-10

전라남도 목포시 만호로 6-1

선창횟집은 목포시 만호로에 위치한 준치와 병어만 전문으로 하는 횟집이다. 준치 철인 5월에 대량으로 잡아 냉동하여 사용하고 있다. 신선한 국내산 재료들과 시골에서 직접 키운 채소들로 맛있고 깔끔한 맛을 내려고 최선을 다한다. 준치회무침과 밥이 담긴 큰 대접이 나오면 준치회무침을 넣어 비벼먹으면 맛이 일품이다.

삼학도공원

623.3M    2025-03-16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 1455

1968년부터 5년에 걸친 간척공사로 육지가 된 목포 삼학도공원은 봄의 튤립, 여름의 해바라기, 가을의 코스모스, 겨울의 동백까지 계절마다 아름다운 꽃들이 맞아 준다. 꽃밭을 지나 산책로로 이동하여 기다란 수로 주변에 뻗어있는 한적한 길을 걷다 보면 일상의 시름이 덜어지고, 수로를 따라 내려가다 보이는 멋스러운 작은 다리가 운치 있게 느껴진다. 산책길이 여러 곳으로 막힘없이 나 있어 반려견들과 산책하기도 좋고, 자연을 바라보며 힐링하기도 좋다. 공원 내에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과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카누체험캠프도 있어서 온 가족이 다 같이 오기 좋은 곳이다.

에스핏(목포)

에스핏(목포)

631.1M    2024-04-24

전라남도 목포시 수문로 20번길 7

-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638.8M    2025-09-18

전라남도 목포시 삼학로92번길 98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은 해양과학에 대한 차별화된 교육 공간을 마련하여 해양문화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을 위해 2013년 2월 5일 삼학도 근린공원 일원에 개관하였다.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은 지상 3층 규모로 ‘바다’를 테마로 하여 바다상상홀, 깊은바다, 중간바다, 얕은바다, 바다아이돔 등 다섯 개의 주요 전시공간으로 구성되었다.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은 해양과학에 대한 차별화된 체험교육을 제공하여 21세기 해양시대의 주역인 어린이에게 과학적 사고와 능력을 심어주고자 한다.

옥단이길

옥단이길

654.6M    2025-08-14

전라남도 목포시 죽동

유달산과 목포역, 남교시장을 기반으로 발달한 목원동은 목포 근대문화의 1번지이자 상권의 중심지이다. 목포의 심장 목원동에는 옥단이길이 조성되어 있는데, 옥단이는 목포 출신 극작가 차범석의 작품 ‘옥단어’의 주인공으로 실존 인물로, 유달산 자락에서 물을 길어주면서 살았던 사람이다. 옥단이가 걸었던 그 길을 오늘날 ‘옥단이길’로 재탄생되었다. 과거와 현대를 이어주는 생활의 길이자 역사의 길이자 옥단이가 누비고 다녔던 목원동의 이곳저곳을 걷다 보면 어느새 대한민국 근대역사의 길을 밟게 된다. 옥단이길은 목포역에서 시작하여 차없는거리로 이어지며 한 바퀴 뱅 돌아 순환하는 코스이다. 긴 거리이지만 과거 역사를 되돌아보며 골목골목을 누비는 재미가 있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