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Km 2025-03-19
전라남도 목포시 신항로294번길 45
2014년 4월 16일 진도 해상에서 침몰한 세월호는 승객 304명이 사망ᆞ실종된 최악의 인재로, 침몰 3년 만인 2017년 3월 인양 후, 목포 신항만으로 옮겨와 4월 육상 거치되었다. 이후 2020년, 세월호 희생자 가족 단체 의견과 목포시민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목포 신항만이 거치 배후부지로 최종 확정되었다. 거치된 세월호는 선체 보존 처리를 마친 후 보존되며, 주변 일원엔 대형 참사를 추모ᆞ기억하는 공간 겸 국민의 안전의식 고취 및 재난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한 안전교육 체험 복합관이 건립될 예정이다.
4.1Km 2021-03-12
전라남도 목포시 하당로 212
061-283-1302
오랜시간 끓여낸 육수로 몸에 좋은 탕 요리다. 대표메뉴는 설렁탕이다.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4.2Km 2021-03-10
전라남도 목포시 상리로15번길 1-1
061-274-8002
목포시민들이 자주 방문하는 곳이다. 전라남도 목포시 부근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민물장어구이다.
4.2Km 2024-07-18
전라남도 목포시 백년대로323번길 31
061-984-3223
매운 해산물 요리를 맛볼 수 있는 매장으로, 목포지역 사람들이 자주 찾는 매장이다. 대표메뉴는 해물찜이다.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4.2Km 2021-03-12
전라남도 목포시 백년대로323번길 7
061-284-5966
돼지의 여러 부위를 구워먹을 수 있는 요리다. 대표메뉴는 막창이다.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4.2Km 2023-08-10
목포의 자연과 역사, 문화, 예술을 두루 체험하는 코스. 독특한 자연절경인 갓바위를 감상한 후 목포 문화의 거리로 발걸음을 옮겨 박물관 투어에 나서본다. 깨끗이 정비된 거리를 따라 목포문화예술회관을 비롯해 목포 자연사박물관, 목포 문학관, 남농 기념관 등이 자리해 있다. 삼학도는 여행길에 잠시 쉬었다 가기 좋은 야외 나들이 코스. 이순신 장군의 얼이 서려 있는 노적봉과 유달산 야외 조각공원은 목포 전경을 한 눈에 담는 최고의 전망을 풀어낸다.
4.2Km 2025-06-24
전라남도 목포시 용해동
목포 8경 중 하나인 갓바위는 마치 스님 두 분이 삿갓을 쓰고 있는 것 같다고 하여 갓바위라고 부르며 중바위는 훌륭한 도사 스님이 기거하였다 하여 중바위라 전해지고 있다. 갓바위 전설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진리를 깨달은 경지 높은 도사 스님이 영산강을 건너 나불도에 있는 닭섬으로 건너가려고 잠시 쉬던 자리에 쓰고 있던 삿갓과 지팡이를 놓은 것이 갓바위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 다른 전설은 아주 먼 옛날 목포에 병든 아버지를 모시고 부지런히 일하며 살아가는 젊은이가 있었는데, 아버지의 약값을 벌려고 집을 떠나 돈을 벌다가 아버지를 돌보지 않아 그만 돌아가시게 되어 자기의 어리석음을 깨닫고 사죄하는 마음으로 몇 날 며칠을 굶어가며 삿갓을 쓰고 하늘도 보지 않고 용서를 빌다가 돌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영산강변을 따라 해상 보행교가 설치되어 바다 위에서도 감상할 수 있으며, 물 위에 떠 있는 보행교는 밀물 때 약 1m 올라왔다가 썰물 때 바닷물을 따라 내려가며 아름다운 야경을 즐길 수 있다. 파도와 해류 등에 의해 바위가 침식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자연학습장으로 교육적 활용도가 크다.
4.2Km 2025-06-04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산단로 23 (대양동)
02-6358-7774
2025목포뮤직플레이는 목포시에서 주최주관하는 뮤직페스티벌이다. 2025 5월 23일 부터 25일까지 3일간 목포종합경기장 일대에서 행사가 진행된다. 메인무대, 진입광장, 프린지무대 세 공간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있다.
4.3Km 2021-03-12
전라남도 목포시 하당남부로 10
061-283-8144
보쌈과 김치말이를 함께 맛 볼수 있다. 대표메뉴는 보쌈이다.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4.3Km 2024-11-25
전라남도 목포시 통일대로 11-1
061-282-9172
해양모텔은 전라남도 목포시에 위치해 있으며 주변 관광지로는 목포 스타 마리너 유람선, 목포자연사박물관, 국립 해양문화재연구소, 목포 문화의 거리, 남농기념관, 목포시립도서관,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목포문화예술 회관, 목포문학관, 목포시 청소년 수련관, 이난영 목포의 눈물 노래비, 소설 삼학도 배경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