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차이나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차이나

13.3Km    2024-12-23

경상북도 영주시 지천로 135
054-638-5959

경북 영주시에 위치한 차이나는 깔끔하고 멋스러운 인테리어로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는 중국음식 전문 레스토랑이다. 문어짬뽕과 고추간짜장이 대표 메뉴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중식 요리들을 맛볼 수 있다. 냉우동은 무더운 여름에 입맛을 확 살려주어 여름에 많이 찾는 음식이며, 문어짬뽕, 고추간짜장과 더불어 이 집에서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메뉴 중 하나이다.

올리브영 경북영주역점

13.3Km    2024-06-11

경상북도 영주시 대학로 35

-

영주문화원

영주문화원

13.3Km    2024-11-04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로 255

영주시 가흥동에 있는 영주문화원은 1971년 9월 2일 설립되었으며, 시설로는 선비문화연구소, 다목적실, 강당, 강의실, 사무실 등을 갖추고 있다. 영주 지역의 고유문화 계발, 보급과 보존, 전승, 향토사 연구와 자료 수집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문화행사 및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선비인문학 아카데미], [청소년 충효교실], [영주학생음악경연대회] 등 다양한 행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고, [영주학아카데미]를 통하여 영주의 역사를 알리고 있다. 또한 1986년부터 진행한 [소백문화제], [영주의 문화재]는 다양한 문화 축제는 많은 관광객과 모든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외에 [영주금석문], [영주100년사], [순흥사람들의 삶과 문화] 등 영주문화와 관련된 여러 서적을 출판하고 전시회 등 학술 및 문화 관련 행사를 진행, 참가하고 있다.

복어마을

13.4Km    2025-01-02

경상북도 영주시 대학로 40
054-632-1118

영주 홈플러스 맞은편에 위치하며 주차장이 있어 접근성이 좋은 곳이다. 20석의 넓은 공간으로 다양한 손님을 받을 수 있는 곳이다. 복지리와 복매운탕은 별도의 육수를 내어서 사용함에 따라 시원하면서도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다. 복불고기는 복어죽이 나오며 뼈를 발라낸 복어 순살을 사용하여 담백한 맛과 함께 조금 단 듯하면서 매콤한 맛이 야채와 곁들여져 훌륭한 맛을 낸다.

서늘기문화[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서늘기문화[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3.4Km    2025-01-15

경상북도 영주시 창진로194번길 119-1
0507-1382-7828

경북 영주시에 자리한 서늘기문화는 앞에서 보면 한 채지만, 위에서 보면 집이 새 채인 구조의 한옥이다. 사랑채(방2, 온돌마루방, 단독욕실, 툇마루, 마당)와 중간채(중간방, 온돌다락방, 전통부엌, 단독욕실, 쪽마루, 뒤뜰)에서 숙박할 수 있다. 바비큐장비를 대여해주고 사계절 텐트도 있다. 영주 시내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어 이동에 편리하다.

오산서원

오산서원

13.5Km    2025-03-17

경상북도 영주시 대동로103번길 31-32 (가흥동)

영주시에 위치한 오산서원은 순조 34년(1834) 오산서원을 창건 하고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난상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묘호를 경현사라 하고, 강당을 명교당이라 하였다. 기문은 이휘녕이 짓고, 봉안문은 유태좌가 지었으며, 상향문은 이광정이 지었다. 서원이 승격할 때 고유문은 김희주가 지었다. 오산서원은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경 훼철된 뒤 복원하지 못하였다. 지금은 서원자리에 김난상의 정자인 매양정과 김난상의 신도비, 사당이 세워져 있으며, 사당안에는 오산이사, 경현사, 오산서원 현판이 보관되어 있다.

봉화선유교

봉화선유교

13.6Km    2024-12-10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고계리

봉화 선유교는 미슐랭의 관광 가이드북인 그린가이드의 한국 편에서 유일하게 별점을 받은 곳으로 알려진 안동~봉화~태백으로 이어지는 35번 국도의 구간에 있다. 봉화 가송리에서 청량산까지 이어진 드라이브 길을 지나다 보면 예던 길 선유도라는 안내표를 만날 수 있는데 예던길이란 옛 선비들이 다니던 길이란 뜻으로, 퇴계 이황이 10대 때 숙부에게 글을 배우기 위해 청량산 오산당(현재 청량정사)을 오가던 길이다. 이 길 가운데 흐르는 낙동강 위의 다리 선유도는 신선이 노니는 다리라는 뜻으로 푸른 강물과 기암절벽이 뛰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출렁다리로 되어 있으며 시작과 끝 지점에 잠시 쉬어 풍광을 볼 수 있도록 벤치와 정자가 있고 다리 옆으로는 산책로가 놓여 있어 옛 선비의 발길을 따라 걸을 수 있다.

자연묵집

13.6Km    2025-01-03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회헌로 508
054-637-2979

자연묵집은 경북 영주시 동촌리 국도 옆에 자리 잡은 향토음식점이다. 이곳은 식당의 규모가 넓고 내부가 깨끗하며 점심에만 영업을 하기 때문에 시간을 잘 맞춰가야 음식을 맛볼 수 있다. 깔끔한 밑반찬과 함께 메인 메뉴가 정갈하며 자극적이지 않은 건강함이 묻어나는 맛이다. 이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묵, 두부, 청국장은 직접 농사지은 콩과 메밀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고 있으며 채소 역시 음식점 바로 옆 밭에서 직접 재배한 농산물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두부를 만들고 남은 비지를 이용한 콩비지 전은 다른 곳에서 먹어볼 수 없는 특별한 음식이다.

구고서원

구고서원

13.8Km    2025-03-17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단산로121번길 27-8

구고서원은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사천리에 있는 조선시대 서원이다. 서한정(1407~1490)을 제향 한 서원으로, 조선 후기 영주 지역 달성서씨 가문의 향촌 사회활동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구고서원은 서한정을 추모하기 위해 지역 유림들이 1786년(정조 10) 건립한 구고리사에서 출발한다. 구고리사는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에 따라 철폐되었으나 이후 구고서당으로 현판을 바꿔 달고 운영하였다. 원래는 영주군 단산면 구구리에 건립되었으나, 관리가 어렵고 퇴락이 심해져 1974년 종택이 있는 영주군 단산면 사천리 새내마을로 이건 하고, 구고서원으로 승격시켰다. 구고서원에는 상절사를 비롯하여 전사청, 강당, 책실 등이 남아 있다. 상절사는 서한정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구고서원은 팔작지붕 건물로, 평면구성은 전면에 툇간을 두는 형태이다. 강당은 팔작지붕 건물로 평면구성은 중앙에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이다. 전사청은 현재 향사나 향사 전 당회를 개최할 때 모임 장소로 활용된다. 현대식 시멘트벽에 슬레이트 지붕을 덮었다. 책실은 목판을 보관하는 곳으로 창고형 건물이다. 책실에 있던 서적과 책판은 현재 소수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매년 음력 3월과 9월 중정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백산서원(영주)

백산서원(영주)

13.9Km    2024-10-22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단산로115번길 37

백산 서원은 단산면 사천리 새내마을 안쪽에 있는 서원으로 개항기 의병 서재승을 제향하기 위해 1951년 설립한 서원이다. 백산 서원은 지방 유림과 달성 서씨 문중의 발의로 1951년에 창의사로 건립되었으며, 1973년에 백산 서원으로 개칭하였다. 경내에는 강당인 삼안재, 전사청, 명사루, 창의정, 동재, 월영당, 학구재, 서장각 등이 있다. 경내에는 강당인 삼안재, 전사청, 명사루, 창의정, 동재, 월영당, 학구재, 서장각 등이 있다. 이 서원에는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의병활동에 투신하여 일본 관헌에게 체포되어 총살당한 서재승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으며, 매년 음력 2월과 8월 하정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