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 존심당 및 아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고흥 존심당 및 아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고흥 존심당 및 아문

16.3Km    2024-06-17

전라남도 고흥군 흥양길 40

옥하리에 있는 옛 지방 관아 건축인 존심당과 그 정문인 아문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974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존심당은 나주에 있는 금성관과 함께 조선시대 지방 관아의 건축양식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존심당과 아문의 건립 시기는 영조 41년(1765)으로 추정된다. 일제 강점기부터 1985년 12월 31일까지 군청사로 사용하다가 새로운 청사가 완공되 후 오늘날까지 보존하게 되면서 다소 원형을 잃었던 모습이 1987년 6월에 완전 해체 복원 과정을 거쳐 원형을 되찾았다. 고흥군청은 2023년 7월 6일 고흥 존심당 역사 문화 공원을 준공하면서 구 군청사 건물을 철거하고 그 부지에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하여 존심당과 아문의 역사적 가치를 재정립하고 주민들의 휴식 공간을 마련하였다 정문인 아문은 3칸인 3문 형식으로 가운데 칸의 지붕이 양쪽 칸의 지붕보다 높으며 3칸 모두에는 2짝씩의 널판장문을 달았다. 고흥군청을 기점으로 차량으로 5분, 도보로 약 25분, 1.5km 거리에 있다. 존심당에서 차량으로 5분 거리에 박지성종합운동장과 고흥종합문화회관이 있다.

해돋이횟집

16.3Km    2025-07-24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남부관광로 2313
061-852-6790

보성 율포해수욕장 정면에 자리해 앞바다를 바라볼 수 있는 해돋이횟집은 상호 그대로 정통 횟집이다. 전남이 인증한 친환경업소이자 ‘맛집명가’로 선정된 업소로, 친절 서비스 분야 전남도지사 표창을 수상했다. 돔, 광어 등 특별히 제철이 없는 어종은 물론 가을이면 전어, 여름이면 서대와 하모 등 계절별 제철 어종은 이 집을 찾는 고객들의 입맛을 사로잡는다.

할미꽃 한재공원

할미꽃 한재공원

16.3Km    2025-03-16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덕산리

남해로 둘러싸인 장흥군 회진면의 한재공원은 국내 최대의 할미꽃 자생군락지로 보송보송한 솜털로 치장한 검붉은 할미꽃이 지천으로 널려있다. 자생 할미꽃은 보통 3월 초순부터 꽃대가 일어서기 시작하고 3월 중순부터는 꽃봉오리가 올라온다. 그리고, 3월 하순부터 4월 중순까지 할미꽃이 지천으로 피어나 장관을 이룬다. 할미꽃은 꽃대가 구부러져 있어 초라한 들꽃 같지만 가까이에서 보면 아름다운 꽃이다. 이른 아침이나 오후의 햇살을 받아 자주색 꽃은 자수정처럼 반짝거리고 솜털 같은 꽃잎 주변의 잔털은 가볍고 부드럽다. 이 지역은 특별 관리 지역으로 할미꽃을 불법으로 채취하면 처벌받으므로 눈으로만 감상해야 한다. 한국 영화의 거장 임권택 감독의 영화 천년학 촬영지로도 유명하며 공원 위로 올라서면 드넓게 펼쳐진 다도해가 훤히 내려다보인다.

율포오토캠핑장

율포오토캠핑장

16.4Km    2024-07-23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충의로 52

율포 오토캠핑 리조트는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동율리에 있는 대규모 캠핑장이다. 바다와 인접해 있어 갯벌 체험이 가능하고 해수욕과 산책도 즐길 수 있다. 캠핑장 내부에는 풋살 경기장 1면, 족구장 2면, 농구장 1면, 배구장 2면, 배드민턴장 2면 등 운동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약 20,000㎡ 부지에 텐트를 칠 수 있는 야영장과 카라반이 나누어져 있으며 사이트는 잔디와 데크 두 종류다. 전기와 화로대를 사용할 수 있고 캠핑 장비도 대여 가능해서 빈 몸으로 찾아가도 캠핑을 즐길 수 있다. 캠핑장 주변으로 한국 차 박물관과 제암산 자연휴양림, 비봉 공룡화석지, 보성 차밭이 있어 보성의 다양한 매력과 함께 캠핑에 빠져들 수 있다.

보성다비치콘도

16.4Km    2024-06-12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충의로 36
061-850-1100

남해가 한눈에 들어오는 탁 트인 조망을 제공하는 객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120미터 지하 천연암반해수와 보성녹차를 사용한 해수 녹차탕은 녹차 온욕이 선사하는 색다른 경험이다. 콘도 앞에는 끝없이 펼쳐진 솔밭해변과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아름다운 은빛 백사장이 있다.

다향보성녹돈촌

16.4Km    2025-03-19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남부관광로 2320
061-852-9233

전라남도 보성군에 위치한 다향보성녹돈촌은 생삼겹, 생목살, 갈비 등 다양한 고기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이곳은 녹차를 먹인 돼지고기로 알려져 있으며 고기와 함께 녹차소금을 제공한다. 쌈무와 명이나물 등 든든한 기본 찬과 함께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식당 내부에 단체석이 있어 단체모임이나 외식장소로도 좋으며 주차는 가게 바로 옆에 주차장이 있으며 넓어서 주차하기 편리하다.

만리회관

16.4Km    2025-07-22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우암길 4
061-852-8025

보성 율포해수욕장에 자리한 만리회관은 2대째 운영 중인 전통 있는 횟집이다. 청정해역 보성 앞바다에서 건져 올린 싱싱한 자연산 회와 각종 해산물은 고객들의 입맛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여기에 소라, 멍게, 해삼 등 해산물을 포함한 20여 가지에 이르는 각종 반찬은 입안을 바다 내음으로 가득 채운다. 만리회관의 특이한 점을 꼽는다면 계절별 제철 해산물을 주메뉴로 한다는 점이다. 봄에는 바지락, 여름엔 서대회와 참갯장어(하모), 가을엔 전어와 주꾸미, 겨울엔 싱싱한 키조개를 맛볼 수 있다. 보성 율포는 여름 휴가철뿐만 아니라 겨울 바다를 찾는 이들도 많고, 연말연시엔 해넘이와 해돋이 명소로 관광객이 붐비는 곳이다.

노력도

노력도

16.4Km    2025-03-17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노력도1길 215

장사리가 뱀 형상이고 죽도가 너구리 형상이었는데 뱀이 너구리를 잡아먹으러 오다가 이 섬에 노룡이 있기 때문에 오지 못하고 죽도에 머물렀다고 한다. 그래서 노룡이 있는 섬이라 하여 노룡도라 부르다가 노력도로 바뀌었다. 그리고 물이 좋아 노인들이 장수하는 섬이라 하여 노력도라 불렸다. 1895년 완도군이 설치되면서 완도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장흥군 대덕면에 편입, 1986년 장흥군 회진면에 속하게 되어 오늘에 이른다. 회진면 육지와 노력도를 잇는 회진대교가 건설되어 육지화되었다. 회진대교에서 노력항 터미널까지 해안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해안은 대부분이 사질 해안이고 서쪽 해안에는 간석지가 발달하여 있다. 노력도항 앞에는 금당도와 조약도 그 사이에 금일도, 생일도가 보인다.

녹차향펜션

녹차향펜션

16.5Km    2024-11-13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남부관광로 2319-8
061-853-7754

전남 보성에 있는 녹차향 펜션은 콘도형의 펜션으로 2종류의 객실로 되어있다. 쾌적하고 넓은 객실, 일체의 주방용품과 바비큐 시설, 넓은 주차장을 완비하고 있습니다. 주로 가족단위의 여행객들이 머물기에 적합하며, 아파트 형식의 콘도로 되어 있어 깔끔하고 도시적이다. 차량 이용 시 5분 거리에 보성 차밭이 자리 잡고 있으며, 율포 해수욕장, 해수 풀장, 해수 녹차탕이 근처에 있어 여름철 피서지 및 휴양지로 이용하시기에 탁월하다. 또한, 회타운과 편의점이 가까이 있어 편리한 여행이 될 수 있다.

흥양읍성터 및 고흥옥하리홍교

16.5Km    2024-06-12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흥양읍성터] 고흥읍이 있는 자리는 세종 23년(1441) 흥양현이 생긴 이래 1914년에 행정명이 고흥군으로 개칭되기까지 흥양현이 있던 곳으로 고흥 읍내에는 흥양현 시절에 쌓은 읍성의 자취가 남아 있다. 우선 고흥 존심당 역사문화공원 뒤편 비탈진 마을 길을 거슬러 올라가면 윗등성이에 성벽의 자취를 볼 수 있다. 성벽의 총 길이는 1.7km 가량이며, 흥양읍성터에는 성문, 성벽, 치성, 우물 등이 남아 있어 고흥군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고흥옥하리홍교] 고흥옥하리홍교는 조선 후기에 축조된 무지개 형태의 다리이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옥하리를 흐르는 너비 8~9m의 고흥천에 150m 간격으로 두개의 홍교가 있다. 이 중 위쪽 홍교의 규모는 4.5m, 길이 8.7m로 비교적 큰 다리이다. 무지개 모양의 앞면에는 용머리를, 반대쪽에는 용 꼬리를 새겨 놓았다. 아래쪽 홍교는 규모가 높이 6m, 길이는 10m나 되며 위쪽 다리보다 규모가 크다. 형태는 위쪽의 것과 비슷하나, 용머리가 다리 아랫면 천장 중앙에 부착된 것이 앞의 홍교와 다르다. 이 다리에는 고종 8년(1871) 건립된 내용이 적혀있다. 두 다리 모두 조선 후기에 만든 것으로, 규모가 크고 장엄하다. 현재 두 다리의 정상이 지면보다 훨씬 높은데, 이는 후대로 내려오면서 지형이 바뀐 탓으로 추측한다. 흥양읍성터와 고흥옥하리홍교의 거리는 도보 8분 거리이다.